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자율동아리 ‘담장’의 지도교사가 된 건 2018년 봄이었다. 자율동아리 취지에 걸맞게 교사의 개입은 최소화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방안을 찾아가는 방향으로 ‘옆에서 조용히 지켜보는’ 지도교사였다. 학생들은 ‘청소년 사회참여발표대회’를 준비하고 있었는데, ‘초·중·고 교육과정 내 교과서 속 성역할 정형화에 대한 고찰과 제언’이란 주제로 탐구하고,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모습이 눈길을 끌었다. 온전히 아이들의 힘으로 고민하고, 자료를 찾아 읽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사실상 교사의 역할은 필요한 자료를 함께 찾아보고, 기존 정책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며, 때로는 달콤한 간식으로 피로를 풀어주는 역할 뿐이었다.
마침내 아이들이 스스로 준비한 보고서가 예선을 통과하고, 본선에 나가게 된 날 나는 너무나 부끄러움을 느꼈다. 사회참여에 대해 나는 얼마나 생각하고 살아왔을까? 그때부터 늦었지만, 동아리 학생들의 본선 준비를 도왔다. 발표를 위해 보완할 점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호소력 있게 우리의 주장을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자주 연습시켰다. 아이들은 대회에 참가해서 우수상을 받아왔다. 이를 계기로 나도 학교에서 수업시간을 통해서 아이들과 실천할 수 있는 사회참여방안이 무엇일지 고민했고, 관련된 교사연수도 적극 참여했다.
2019년 3월, 새 학기가 시작되며 우리 학교에서는 주제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되었다. 대주제를 ‘대한민국 100년, 평화를 말하다’로 정하고, 부서별·학년별·교과별 교육활동에 대해 토론하는 과정을 거쳤다. 평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이 있고, 평화와 연결 지을 수 있는 무궁무진한 분야 중 어떤 부분에 집중할 것인가를 고민했다. 그래서 고등학교 1학년 7개 학급을 대상으로 주당 1시간씩 진행하고 있는 독서수업시간을 통해 평화에 접근하는 방법을 모색해보기로 하고,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기 시작했다.
수업 준비 과정
올해 개정판이 나온 <아름다운 참여>(양설 외 6인 지음)라는 책을 기본도서로 준비했다.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참여를 통해 자신과 사회를 변화시킨 청소년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고, 우리의 관심과 참여를 기다리는 10가지 대표주제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지 잘 설명되어 있다. 또한 실제 사회참여활동을 위해 계획하고, 분석하고, 실천하고, 평가하는 4단계 방법도 제시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교과시간·동아리시간·학년 전체시간 등 다양한 시간별로 사회참여를 지도하는 방안에 대한 실질적인 사례도 담겨 있어서 처음 시도하는 교사에게 많은 용기와 자신감을 주는 책이다.
먼저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어요’라는 부분을 복사해서 한 학급 인원수만큼 준비했다. 그리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서 운영하는 청소년사회참여발표대회(http://youth.kdemo.or.kr/) 사이트 참여영상을 예시로 준비했다. 참고도서로는 <세상을 바꿀 용기>(존 슐림 지음)라는 책도 활용했다. 다양한 실제 사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또한 모둠별로 ‘평화’에 대해 마인드맵을 하며 작은 실천을 위한 소주제를 정해보는 활동도 진행해보았다. 아이들 스스로 평화에 대해 생각하는 분야를 적어보고, 가지를 그려보며, 생각을 정리하고 모으는 과정을 통해 자신과 타인이 연결되는 지점을 찾아보고, 거기서 실천할 수 있는 평화를 위한 노력이 무엇인지 고민해보는 시간을 갖기 위해서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참여’의 범위를 ‘학교’라는 사회부터 출발할 수 있도록 실천 장소를 일상 속에서의 학교로 한정지어서 학생들의 ‘참여’ 동기를 높이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