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응팔(응답하라 1988) 세대’이다. 사회는 우리를 ‘X세대’라고 불렀다. 더 이상 대학에서 ‘사상논쟁’을 하지 않았고, ‘데모’도 하지 않았다. 그저 워크맨으로 ‘서태지와 아이들’의 노래를 들으며 우리가 살아온 시대적 모순에 공감했다. 막내딸은 2000년 이후에 태어난 ‘Z세대’이다. 놀이문화도, 사고방식도 완전 딴판이다. 때론 당황스럽고, 때론 부러우며, 때론 걱정되기도 한다. 하지만 어쩌랴. 시대가 변했고, 그 변한 시대에서 우리 아이는 지극히 ‘평범’한 보통 아이이며, 그 변한 시대를 살아내야 하는 것을.
지금 학교 현장에는 2000년 이후 태어난 ‘Z세대’ 아이들로 빼곡하다. 올해 고등학교 3학년은 2002년생, 초등학교 입학생은 2013년생이다. 게다가 ‘Z세대’의 출발 주자인 1995년 이후 출생한 교사도 교단에 발을 디디고 있으며, ‘자유분방함’의 끝판왕인 ‘이해찬 1세대’가 30대로 진입하면서 왕성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학부모 역시 역사상 가장 진보적 세대라고 불리는 ‘X세대’가 주도권을 쥐기 시작했다. 가끔 보이던 60년대 후반 학부모는 자취를 감추고 있다.
매일 ‘Z세대’와 섞여 생활하고 있는 교사가 ‘Z세대’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아마도 학교생활의 만족도가 낮아질 것이다. 나 역시 최근 몇 년 사이 학생들 만나는 것에 극도의 피로감을 느낄 때가 많았다. 아이들이 이상해진 것인지 아니면 내가 갱년기 증상이 온 것인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학교생활이 힘들었다. 하지만 곧 알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 함께 살고 있지만, 나와 아이들은 전혀 다른 세상에서 생활하고 있다는 것을. 언제까지 “쟤네 왜 저래? 맘에 안 들어”라고 ‘마땅치 않은 눈빛’으로 볼 수만은 없는 노릇임을. 이해하고, 품으며 ‘공존의 길’을 찾아야 한다. 그렇다면 도대체 Z세대는 어떤 특성이 있을까? 어디까지 이해하고, 교육자로서 지도해야 할까?
Z세대, “도대체 누구냐, 넌?”
Z세대를 잘 묘사하고 있는 책 <90년대생이 온다>에는 유명한 구절이 나온다. B스타트업의 부장은 매일 정시에 딱 맞춰 출근하는 신입사원을 불러 10분 일찍 다니는 것이 좋다고 충고했다. 그러자 신입사원은 반문했다. “10분 일찍 오면 10분 일찍 가도 되나요.” ‘버릇없고 개념 없어’ 보이는 이 말속엔 ‘Z세대’의 여러 가지 특성들이 잘 나타난다.
우선 개인주의적이다. ‘자신의 삶’이, ‘자신의 취향’이, ‘자신의 가치’가 ‘집단의식’이나 ‘협력’보다 더 소중하다고 여긴다. 전체를 위해 개인의 희생은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기성세대는 물론 ‘열정페이’로 희생을 강요당했던 ‘N포세대’와도 사고방식이 다르다. 열정페이는 부당하다고 당당히 거부하는 그들이다. 또한, 개인의 취향을 존중하기 때문에(일명 ‘개취존중’) 타인의 취향도 존중할 줄 안다. 이들에게 취향은 단순히 호불호가 아니다. ‘자신의 정체성’이다. 그래서 자신의 취향을 저격한 것에는 시간과 비용을 아낌없이 투자한다. 온·오프라인에서 끊임없이 탐색하며 ‘자신만의 취향’을 갖기 위해 노력한다. ‘얼죽아(얼어 죽어도 아이스 음료)’, ‘얼죽숏(얼어 죽어도 숏패딩)’ 등 남들과 똑같은 것을 거부하고, 나만의 것을 추구하고 싶어 한다. 태어나지도 않았던 시대인 7080에 열광하는 것도, BTS(방탄소년단) 멤버나 노래에 관심을 두지 않는 것도 모두 자신의 ‘취향 저격’이 아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대신 ‘나와 다른 그들’과는 더 이상 사회적 관계를 맺지 않는다(일명 ‘손절’한다). 굳이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 불편함을 참아가며 자신의 시간과 감정을 투자하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신과 같은 취향을 가졌다면 SNS를 기반으로 온·오프라인을 구분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취향을 공유하거나 소통한다. 하지만 ‘끈끈한 모임’은 거부한다. 살짝 발만 담갔다가 아니다 싶으면 미련 없이 발을 뺄 수 있는 느슨한 관계를 선호한다. ‘가취관(가벼운+취향 위주의+관계)’이라는 신조어가 Z세대의 대인관계 방식 기준을 제시해준다. 학생들에게 친구 관계의 소중함, 우정과 화합 등을 이끌어내기 위해 준비한 학급운영방법이 먹혀들어 가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펭수도 ‘Z세대’, 거침없이 솔직하다
두 번째는 솔직한 감정표현과 소신 발언이다. 더 이상 ‘좋은 게 좋은 거니까, 내가 참는다’는 말은 통하지 않는다. 기성세대가 ‘모난 돌이 정 맞을까 봐’ 앞에서는 웃으며 ‘Yes’라 말하고, 뒤에서는 ‘뒷담화’를 했다면 ‘Z세대’는 눈치 보지 않고 ‘No’라고 말한다. 감정표현도 솔직하다. 타인을 배려한다는 이름으로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슬프면 울고, 기쁘면 환호하고, 기분 나쁘면 분노를 표출하는 등 이성보다 감성에 충실하다.
EBS 연습생 ‘펭수’에게 열광하는 가장 큰 이유 역시 ‘거침없는 솔직함’에 있다. ‘펭수’는 자기감정을 드러내는 것도 거리낌 없다. 왕따 가해자를 지구 끝까지 쫓아가서 한 대 때려주겠다고 상담해주는가 하면, “화해했습니다. 하지만 보기 싫은 건 똑같습니다”라고 말한다. “눈치 챙겨!”를 외치며, ‘눈치 보지 말고 원하는 대로 살아라’라고 조언한다. 거침없는 솔직함에 유쾌함과 통쾌함을 넘어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
이러한 의식은 Z세대의 도덕성과도 맞닿아 있다. 이미 미투, 최순실 게이트, 불법 이민자 강제 추방 금지, 조국 사태 등 굵직굵직한 사회적 이슈에서 보았듯이 ‘공정’하지 못한, ‘부당한’ 것을 바로 잡아야 한다는 의식이 꽤 높으며, 국민청원에 적극적으로 자기 목소리를 낸다. 이른바 ‘소피커(所(바 소)/ 小(작을 소)+Speaker(말하는 사람)이라는 뜻)’가 되어, ‘다수의 의견과 다른 생각’을 당당하게 말하고 있다.
하지만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은 서툴다. 그들을 이해하기보다는 ‘손절’하는 것이 편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끔 아이들의 솔직한 감정표현이 우리에겐 당황스럽고 불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들의 감정표현에 익숙해져야 한다. ‘개념 없고, 버르장머리가 없는 것’이 아니라 ‘아닌 걸 아니라고 말하지 못하는’ 복잡함을 벗어던지고 나의 소신을 거리낌 없이 말하고 있을 뿐이라고 주문을 외우면서.
비싼 배달료? 직접 가는 시간이 더 아깝다
세 번째는 합리성이다. ‘정시 출근 정시 퇴근’은 당연한 권리이다. 오히려 정해진 근무시간이 8시간이라면, ‘10분 일찍 오면 10분 일찍 가는 것’이 합리적 계산법이다. 10분을 먼저 와야만 하는 ‘합리적 이유’ 없이 ‘신입사원이기 때문에 상사보다 먼저 출근해야 한다’는 ‘비합리적 이유’라면 받아들이기 어렵다.
비효율적이고 비합리적인 것을 싫어하는 ‘Z세대’ 사고방식은 이미 우리 생활 속에 자리 잡았다. 바로 ‘가성비’이다. 이제 무조건 싸다고, 유행한다고 소비하지 않는다. 가격·시간·트렌드·순간의 즐거움 등 다양한 조건에서 만족을 느끼는 합리적 선택을 한다. 한마디로 다양한 정보력으로 짧은 시간에 ‘최고의 결과’를 얻어내려고 하는 ‘가장 똑똑한 세대’인 셈이다. 하지만 가짜뉴스와 광고성 정보가 넘쳐나면서 무조건 정보를 받아들이기보다는 ‘팔로인(Follow(따른다)+人(사람)이라는 뜻의 신조어)’하기 시작했다. 시간을 낭비하며 정보를 검색하기보다는 전문성 있고 진정성 있는 정보를 주는 사람을 믿고 따르는 것이다. 배달앱이 인기 있는 것도 같은 이유이다. 시간을 투자해서 맛집을 직접 가는 것보다 검증된 맛집의 메뉴를 편하게 먹는 편이 가성비가 높다는 것이다. 비록 비싼 배달비를 주더라도 말이다.
Z세대는 결코 집단생활을 싫어하지도 적응 못 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집단 내에서 ‘핵인싸’가 되기 위해 노력하며, 집단의 정해진 규칙에서 벗어나는 이기적인 행동을 싫어한다. 그래서 학급에서 민폐를 일으키는 행동이나, 한 사람의 잘못으로 학급 전체가 페널티를 받는 상황을 못 견뎌 한다. 즉, 집단생활을 못 하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이지 못한 상황을 싫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대의 흐름에 맞게 교사와 학생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대안적 학교문화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꼰대’로 기억되지 않기 위해
어느 시대에나 ‘신세대’는 존재한다. 그리고 그들은 늘 ‘골치 아픈’ 존재들이다. 그중에서도 최근 등장한 ‘Z세대’는 좋게 말하면 ‘똑 부러지는 합리성’을 지녔고, 나쁘게 표현하자면 ‘공감 능력이 부족한 개인주의적 성향’을 보인다. 가장 뚜렷한 특징은 ‘우리’보다는 ‘자신’의 삶을, ‘미래’보다는 ‘현재’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하지만 ‘Z세대’가 원하는 삶 역시 기존 세대가 바라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Z세대’ 역시 모든 세대가 그러했듯이 ‘공동체적 삶’을 꾸리고 싶어 하고, ‘부당한 대우’를 받고 싶어 하지 않으며, ‘안정적’이고 ‘행복한’ 삶을 살기를 원한다. 오히려 급변하는 사회·경제 상황에 맞서 ‘살아남기 위해’ 그 어떤 세대보다도 치열한 전투를 벌이고 있는지도 모른다. 기존 제도와 사회가 강조하던 ‘가치’로는 도저히 살아가기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말이다.
안타까운 것은 포털사이트에 ‘Z세대 특징’을 검색하면 수없이 많은 정보가 쏟아져 나오지만, 대부분 광고성 정보이거나 너무나 단편적이어서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 교사 앞에 놓인 시대적 과제인 것 같다.
기업들이 최대 소비자인 Z세대를 잡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하는 것처럼, 우리도 매일 만나는 Z세대를 이해하기 위해 심호흡하고 마음을 다잡아야 한다. 이해하지 못한다면 영원히 ‘꼰대’로 남아있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