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 한계… 반려하는 사례도
온라인 병행에 교사업무 가중
교총 “구체적 지침 제시해야”
[한국교육신문 김예람 기자] 전국 학교에서 온라인 개학이 진행되는 가운데 긴급돌봄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이 3배 이상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교총 등 교육계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역행하는 방식의 긴급돌봄 수요 확대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경기 A초는 3월 2일 처음 긴급돌봄을 시작할 때만 해도 한 개 반이었던 것이 점점 수요가 늘어나 21일에는 반이 4개로 늘었다. 봉사 도우미를 뽑고 교사들이 초과근무를 달면서 맡고 있지만 점점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게 이 학교 B교사의 설명이다. 그는 “각자 사정이 있겠지만 맞벌이가 아닌데도 온라인 개학 이후 자녀를 챙기기 힘들어서인지 긴급돌봄에 보내는 경우가 체감할 정도로 많이 늘었다”며 “학교에 보내면 공부도 시켜주고 밥도 주니까 일단 보내려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20일 기준 돌봄교실 참여 인원은 1만9170명으로 개학연기 초인 3월 3일 참여인원 5421명에 비해 4배 가까이 늘었다. 10일에는 1만2179명, 16일에는 1만 4505명으로 2배에서 3배로 늘더니 20일에는 4배 가까이 치솟은 것이다. 신청인원 대비 실제 참여율도 40%에서 85%까지 올랐다. 전국적인 참여 추이도 지난달 2일 2만3000여명에서 16일 기준 8만5000명으로 크게 늘었다. 1~3학년 온라인 개학이 시작된 20일 이후로는 긴급돌봄 수요가 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이렇게 늘어나는 수요에도 교육당국이 돌봄운영 대상이나 방법 등에 대해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지 않아 학교 현장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신청을 모두 수용하지 못해 반려하는 사례까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 B초는 교육부와 교육청에서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해주지 않자 아예 자체적인 기준을 세웠다. 이 학교 C교감은 “최대 수용 인원이 100명 정도인 것으로 보고 1학년을 가장 우선적으로 받되 자리가 남으면 2학년과 3학년까지 수용하기로 하고 4~6학년은 받지 않는 것으로 기준을 정하고 학부모들에게 안내했다”며 “컴퓨터 등 스마트 기기가 없는 가정에는 교육청에서 대여하거나 학교 자체적으로 구비한 기기를 추려 가정으로 나눠줬다”고 말했다.
기기 사용이 미숙한 가정에는 담임과 과학담당 교사들이 설치 및 운영 방법에 대한 상담을 제공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차원에서 어쩔 수 없는 결정이었다는 것을 학부모들에게 여러 차례 안내하면서 일단 불만은 잦아들었지만 학교 내부적으로는 고민이 많았던 만큼 교육당국이 책임 있는 자세로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안내해줄 필요가 있었다는 게 C교감의 설명이다.
한국교총은 9일 온라인 개학에 대한 학교현장 지원 협조요청에서 이미 긴급돌봄 급증에 대한 우려와 이를 불식시킬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한 바 있다. 교총은 “온라인 개학과 함께 가정에서는 온라인 학습지도·돌봄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긴급돌봄으로 전환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다는 학교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전 국민이 감염예방을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 개학으로 긴급돌봄 인원이 오히려 큰 폭으로 늘어난다면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정부 정책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교총은 또 “교원들은 온라인 수업 관련 각종 업무에 매진해야 하는 상황임에도 수요 급증 등으로 교원들에 대한 긴급돌봄 담당 요구와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며 “돌봄이 꼭 필요한 학생은 보호하되, 돌봄의 대폭적인 확대로 학교가 감염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교육부 차원에서 긴급돌봄 기간, 대상, 방법 등 운영 방안에 대한 구체적 지침을 마련해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