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활동을 실천하는 교사 입장에서 새로운 교육정책이 제시될 때마다 각종 공문과 실적 보고 등으로 업무 부담이 가중되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생태전환교육은 전 지구적 당면 과제로 미래세대의 생존과 관련된 문제이기에 소홀히 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므로 우리 교사들의 책임과 역할이 중요하다 하겠다.
우선, 생태전환교육의 기본적인 방향을 점검해 보자.
환경 문제를 나의 문제로 받아들이고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과 행동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환경과 자신과의 관련성을 내면화하는 자기환경화의 과정이 필요하다.1 헝거포드(2002)는 어린 시절의 야외활동이 환경감수성 함양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2 또한 애플(2014)은 환경 문제를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이나 지역의 구체적인 상황과 연결하여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고 역설하였으며, 이를 위해 최석진 교수(2015)3는 학생과 학교가 놓여 있는 지역의 여건과 상황에 따라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에 현행 교육과정 속에서 생태전환교육을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은 교사의 부담을 줄일 뿐 아니라, 교실에서 내실 있는 생태전환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생태전환교육의 범위가 워낙 넓고 다양하여 각 학년 대부분의 교과에서 연계 영역을 찾을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저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 생태전환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제시하고자 한다.
통합교과는 저학년 발달과정에 맞춰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4권의 교과서로 구성된 주제 중심 통합교과이다. 교과명에서 드러나듯 계절과 자연,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체험과 야외활동, 조작 활동이 주를 이룬다. 별도의 프로젝트 학습 계획을 수립하지 않아도 교과서 자체가 하나의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어서 사전준비과정을 많은 부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감수성 함양이나 학생과 학교, 지역사회와 연계한 생태전환교육 활동을 실천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저학년 시기에 경험한 자연친화적인 활동은 어린이들의 마음속에 자연을 사랑하는 씨앗이 되어 친환경생활을 실천하는 의지로 자라게 될 것이다.
교실과 학교, 학교 주변 마을에서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생태전환교육 활동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통합교과서의 활동과 상당 부분 겹쳐져 있어 쉽게 실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