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이 항상 배우는 즐거움, 아는 즐거움이라고 말씀하시잖아요. 그런데 저는 솔직히 배우는 즐거움보다 해보는 즐거움이 더 큰 것 같아요. 학교에서는 왜 해보는 즐거움을 경험하면 안 되죠?
학생들의 목소리에서 학교와 배움의 의미를 고민하게 되었고, 미래학교 모습의 이상을 깊이 생각해보았다. 미래의 아이들은 어떤 공부를 해야 할까?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은 학교도서관에도 변화를 가져왔고, 대면과 비대면 공간에서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온라인 독서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온라인 기반 프로젝트 수업은 독서에 대한 흥미·사고력·문해력 등이 낮은 디지털세대 학생들에게 창의·융합적 사고력을 키워줄 수 있는 수업방식이다. 특히 실생활과 연결되어 ‘교과서 너머 학교 밖 배움’이라는 점과 특정 주제에 대한 이해 및 문제해결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미래역량을 기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교 ‘방학독서체험활동 프로그램’은 2006년부터 실시하여 온 도서관 장수프로그램이다. 오랜 기간, 여러 시도를 거쳐 지금의 프로그램으로 정착하였다. 교과·학년의 경계 없이 ‘독서 기반 프로젝트학습’으로 다양한 체험활동 관련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문기관·박물관·미술관 등 주제 관련 인프라를 활용하여 학교 밖 체험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고, 진로교육과도 연계하고 있다. 코로나19임에도 온라인 기반 활동과 관련 전문가를 초빙하여 학교 밖 활동을 보완·운영하고 있다.
새를 보다: 우리 주변 생태 살펴보기 프로젝트
코로나가 처음 우리에게 다가왔을 때, 두려움은 우리 삶 속으로 다가왔다. 분주하던 우리는 일시 멈춤처럼 모두가 잠시 멈췄고, 어느 신문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코로나로 도시가 조용해지자 새소리는 부드러워졌다.’ 평소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변화였다. 사실 하루하루 정신없이 지내던 우리는 새소리도 잠시 잊고 지낸 것 같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도시가 봉쇄돼 소음이 줄자, 도시의 새들 노랫소리는 부드러워지고 더 멀리 퍼져, 보다 매력적으로 들리게 됐다는 연구결과에 관한 기사였다. 새들에게 사람들은 어떤 존재일까? 새소리에 관심을 두고 학생들과 나누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현장체험학습도, 교육여행도, 독서체험활동도 학교 밖으로 나갈 수 없는 상황이지만 집 주변 공원에서 새소리에 집중할 수 있고, 새들의 모습은 관찰할 수 있었다. 새삼 우리 주변 가까운 곳에서 배움을 찾는다면 충분한 교육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하며 ‘새를 보다’ 수업을 설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