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이렇게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아무리 노력해도 좋은 대학에 못 가고, 그러면 취업도 좋은 데 못할 거고, 먹고 살기 힘들겠죠. 그럼 지금 이렇게 노력하는 게 소용없잖아요. 노력할 힘이 없는데, 노력해도 잘 안될 게 뻔하니까 너무 사는 게 힘들어요.”
#. “죽고 싶어요. 살 의미가 없어요. 죽으면 제가 어떻게 될까요…. 사람들이 저를 기억은 할까요? 저는 잊혀지는 거예요? 없었던 사람인 것처럼요.”
#. “저는 왜 태어났을까요? 다들 뭔가 하나는 잘하는 게 있는데 저는 뚜렷이 잘하는 것도 없고, 누구에게 뭔가 도움이 되는 것도 없는 거 같고. 왜 태어나서 뭐 때문에 살아야 하는지… 당당하게 뭐 하나 내세울 게 없는데, 뭘 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답답해요.”
몇 해 전부터 상담실을 찾는 청소년 내담자들에게서 ‘실존’의 문제를 종종 접하게 된다. 이들이 호소하는 어려움이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정서적 문제든, 자존감과 열등감의 문제든, 진로와 학업의 문제든, 대인관계 갈등이나 트라우마 문제든, 하나하나 이야기를 풀어가다 보면 ‘왜 사는지’, ‘무엇 때문에 살아야 하는지’와 같은 존재의 이유에 관한 물음에 다다른다.
몇 년 전만 해도 청소년 내담자의 호소는 사는 것이 힘들어서 죽고 싶다는 것이었다. 현재 삶의 고통을 피하거나 중단하고 싶은 것이다. 그러나 최근 청소년은 양상이 조금 다르다. 즉, 죽고 싶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살아야 할 이유가 있는 것도 아니라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왜 사는지,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한다. 자신의 삶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관한 의구심이다. 이들의 고민을 다르게 바라보면, ‘의미 있게’ 살고 싶은 갈망으로 이해된다. 루저로 살고 싶지 않고, 한 줄기 희미한 빛이라도 밝히며 살고 싶다는 것이다. 그런데 현실은 스스로 빛을 발할 아주 작은 불씨조차 찾을 수 없다는 것이 문제다.
안타까운 것은 이런 물음의 근거가 소위 사대문에 있는 대학에 갈 수 있을 만큼의 그럴듯한 학업적 성취가 없는 현실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그나마 현실과 조금이라도 타협한 아이들은 대학에는 못 가도 좋으니 다른 무엇이라도 뚜렷하게 잘하는 게 있었으면 좋겠는데 없는 것이 문제라고 한다. 친구를 잘 사귀는 것도 아니고, 재능을 가진 것도 아니고, 꿈이 있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성공과 실패라는 이분법적인 구조 속에서 자신을 실패자라고 여기는 아이들의 자의식은 삶의 무의미함을 야기한다. 아이들은 대화의 말미에 이렇게 반문한다. ‘선생님은 왜 사세요?’ 이렇게 되묻는 아이들은 필자를 통해서라도 살아갈 이유를 찾고 싶어 발버둥을 치는 게 아닌가 싶다.
이들은 대부분 자신의 삶을 세상이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성공과 실패로 판단한다. 학업적 성취, 곧 ‘어느 대학에 들어갈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미래의 직장과 부, 결혼 등 많은 인생의 숙제들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중요한 신호탄이라고 보고 있다. 현재의 성적이나 성취가 미래의 웰빙(well-being)과 직결된다고 믿는 것이다. 때문에 성취가 저조한 청소년들은 일찌감치 고생스럽게만 느껴지는 학업과 꿈을 포기하고 삶 전반에 무력감을 드러낸다.
불안에의 보상심리로 즉각적 만족 추구
청소년 내담자들의 이 같은 생각과 판단은 누가 봐도 과잉 일반화이자, 흑백논리에 빠진 것으로 보인다. 현실의 상황이나 사건의 사실이나 의미를 잘못 자각하거나 왜곡해서 받아들이는 인지오류(cognitive error)를 범한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가? 세상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이는 아이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견디게 해 줄 무언가 필요하다. 불안에 대한 보상심리로 아이들은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한다. 잠깐이나마 위로가 되고 편안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혹하게도 현실은 항상 즉각적인 만족을 주지는 않는다. 그래서 아이들은 그것이 성적이든, 친구든, 재능이든, 돈이든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것들을 붙잡으려 한다. 당장 잡히고 보이면 웃고, 그렇지 않으면 운다. 눈앞에 보이는 현실과 상황에만 의존해 자신의 미래를 점치고, 기분이 오르고 내린다. 그러다가 현실에서 손에 잡히는 것이 없고, 미래가 불확실하게 느껴지는 상황이 반복되면 삶의 무력함에 빠진다.
만족이라는 것은 좀 더 먼 미래의 어느 순간에 주어질 수 있다. 삶 전반의 궁극적인 만족은 더욱 그러하다. 이 사실을 믿고 인내하면 진정 원했던 만족이 주어진다. 그러나 즉각적 만족을 추구하고, 만족을 지연할 줄 모르는 아이들은 쉽게 좌절하고, 불안해질 수밖에 없다. 자기조절 및 자기통제로 미래의 더 큰 가치를 위해 현재의 욕구나 만족을 참고 지연하는 태도인 만족지연(delay of gratification)이 어려운 아이들은 미래를 위해 지금 노력하고 희생하는 것이 의미 없다고 생각한다. 지금의 즐거움과 만족이 미래의 즐거움과 만족을 예견한다는 섣부른 판단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재의 노력과 희생, 고통을 견디지 못하는 것이다.
아이들은 과거의 실패, 상처, 아픔, 고통이 없던 시절로 돌아가지 않는 한 자신들의 삶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자신들이 이렇게 살 수밖에 없도록 만든 사회 구조를 비판하고, 교육 체제를 원망한다. 현실을 부정하고 원망과 복수심에 매몰되며, 허무주의, 비관주의, 냉소주의, 패배주의에 빠지기도 한다. 이들은 하나같이 다시 태어나지 않는 한, 이번 생은 희망이 없으며, 죽지 못해 산다고 한다.
의미 있는 일 찾아 노력하는 힘 길러야
이들에게는 좀 더 멀리 보고, 만족을 지연할 수 있는 훈련이 필요하다. 성적, 대학, 직장 등 가시적인 것이 아닌 보다 먼 미래에 만족을 줄 삶의 가치나 신념과 같은 더 크고 추상적인 목표의 성취를 위해 당장의 만족을 지연하고, 노력과 수고를 쏟을 수 있는 훈련 말이다. 사회의 구조와 교육 체계는 변하지 않아도 자신의 현실은 변화시킬 수 있다. 실패한 것으로만 보이는 과거가 현재에 반복·재생되지 않을 수 있고, 미래에 대한 절망보다는 또 다른 희망을 품을 수도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과거의 자신에 대한 시선을 바꿔야 한다. 인생에 두 번 다시 없을 고통이 현재와 미래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불만족스러운 현재에 넋 놓고 있지 말고, 무력하게 멈추었던 삶에서 벗어나 새로운 소망을 향해 움직이면 된다.
사실 현재의 노력과 희생이 늘 미래의 만족과 성공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다. 때문에 인간은 근본적으로 미래에 대해 무력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세상이 내 삶에 대한 성공과 실패를 정한다면 그것은 나의 삶일 수가 없다. 그렇다. 우리는 각자 자신의 삶을 살아야 한다. 사회적 기준에서의 성공과 실패가 아닌, 자신에게 의미 있는 일에 노력과 희생을 쏟아야 한다. 의미는 성공과 실패의 결과론적 판단으로부터 자유롭다. 의미 있는 삶은 성공과 실패의 이분법으로 판단할 수도, 설명할 수도 없다. 때문에 어떤 이의 삶도 의미가 있고, 의미의 관점에서는 어떤 이의 삶도 성공일 수밖에 없다.
삶은 최종 목적지에 다다를 때까지 많은 굴곡들로 이뤄진다. 인생의 내리막에 있다고 느껴지든, 오르막에 있다고 느껴지든, 그것이 종착지라 섣불리 생각하고 멈춰버리면 안된다. 연습을 통해 내가 올라야 할 산에 오를 수 있는 근성을 만들어야 한다.
여러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대학원 공부를 하던 시절이었다. 학교에서 공부를 마치고 집으로 가는 지하철 환승역에서 우르르 뛰어내리며 환승 구간을 달리던 사람들 틈에서 나도 함께 뛰었다. 사람들에게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며 뛰던 중 뇌리를 번쩍 스친 간 생각이 있었다. ‘내가 왜 뛰고 있지?’ 순간 뛰지 않아도 되는데 사람들 틈에 끼어 함께 뛰고 있는 나를 발견한 것이다.
그때 결심한 것이 있다. ‘내가 뛰어야 할 때 뛰고, 내가 걸어야 할 때 걷자’ 이 단순한 일이 인생에서는 왜 그리도 힘든 걸까. 내가 올라야 할 산과 그가 올라야 할 산은 분명 다르다. 또 산을 올라야 할 사람이 있고, 바다를 항해해야 할 사람이 있으며, 육지를 탐험해야 할 사람이 있다. 남들 따라 아등바등, 북적북적 에베레스트를 오르려고 해서는 자신만의 삶의 의미는 존재할 수 없다.
아이들이 자신의 인생에서 어떻게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까? 아주 사소한 것부터 시작된다. 사람들이 쫓는 것을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기로 결심해야 한다. 내부에서 꿈틀대는 무엇, 자기에게 생기를 불어 넣어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필자를 심리학자로 이끈 반짝이는 불씨는 ‘사람이 좋다’였다. 사람을 공부하고 싶다는 간단한 움직임, 그 꿈틀댐과 호기심이 지금, 여기까지 이끌었다. 어떤 직업과 직책이 아니라, ‘사람을 살리는 일’이 나의 일이 된 것이다. 어떻게 보면 막연하고, 추상적인 가치가 지금도 필자를 숨 쉬게 한다.
필자가 만난 어떤 아이는 낙서가 좋다고 했다. 낙서가 좋아서 무엇을 할까 싶지만 그 아이는 좋은 글귀를 다양한 글씨체로 디자인하는 디자이너를 꿈꾸었다. 또 어떤 아이는 아이들이 웃는 모습이 좋다고 했다. 그렇게 아이들이 웃을 수 있는 동화작가를 꿈꾸었다. 지루함이 싫다는 또 다른 아이는 많은 이벤트와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꿈을 꾸었다. 우리 아이들을 숨 쉬게 하는 그 무엇을 발견해줄 수 있는 좋은 사람들, 교사, 부모, 친구가 있다면, 우리 아이들은 얼마나 숨통이 트일까. 당장 현실에서 손에 잡히고 눈에 보이는 것이 없다손 치더라도 살맛 나는 세상일 것이다. 자신의 유일함을 알아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존재할 만할 것이다. 김민녀 임상심리전문가·교권침해 교사상담, 반디상담센터 부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