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과 글쓰기
글은 생각의 산물이다. 글쓰기는 기본적으로 ‘생각 쓰기’다. 글쓰기를 어렵게 여기거나 두려워하는 것은 우선, 생각을 잘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생각을 하기는 하는데, 이 생각들을 깊이 밀고 나가서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논리적 모순 없이 일관되게 정리하는 것이 어렵다고 여기는데 그 원인이 있다.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든, ‘생각을 잘한다’는 것은 날것 그대로의 자기 생각에서 출발해서 차츰 가다듬어 나가는 것이다.
글쓰기는 생각을 가다듬어 가는 과정과 분리될 수 없다. 생각이 없어서 글쓰기는 것이 어렵다면, 거꾸로 글 쓰는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생각을 만들어 갈 수 있다. 막연하고 어렴풋하게 떠오른 자기 생각이나 느낌을 글로 표현하기 위해 노력하면 자기 생각이 어떤 것인지 점차 분명해진다. 아무리 복잡하고 어려운 지식도 글쓰기를 통해 자기 나름대로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판단과 관점을 뚜렷하게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글쓰기 과정은 자기 자신과 소통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글쓰기는 배움의 도구다. 글쓰기는 사실과 개념을 이해하는 데 사용하는 수단이 된다. 읽기와 달리 글쓰기는 육체적인 활동이다. 글쓰기는 반복되는 언어적 노력을 통해서 사유를 뒤쫓고, 조직화하며, 마침내 명료하게 표현해 내는 과정을 거친다. 글을 쓰면서 끊임없이 ‘나는 지금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말하고 있는가?’라고 자문해야 한다. 이러한 질문은 자신의 글쓰기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를 아는 데 유용하다.
글쓰기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설명적 글쓰기이고, 다른 하나는 탐구적 글쓰기다. 설명적 글쓰기는 기존의 정보나 생각을 남에게 전달하기 위한 글쓰기이고, 탐구적 글쓰기는 글을 쓰는 가운데 자신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를 깨닫게 되는 글쓰기다. 기획안은 설명적 글쓰기에 해당한다. 직원에게 회사정책을 설명하는 글을 쓰거나, 상관에게 자신의 생각을 제안서 형태로 제시하는 경우가 설명적 글쓰기에 해당한다. 설명적 글쓰기는 글을 쓰는 입장이든, 읽는 입장이든 일상생활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글쓰기다. 설명적 글쓰기의 유일한 목적은 정보전달에 있으며,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설명적 글쓰기를 할 때는 다음의 과정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명료하게 사고하도록 스스로를 강제할 때만 명료한 글을 쓸 수 있다. 진정한 어려움은 글쓰기가 아니라 생각하기에 있다는 점을 명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