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양

[방과후재테크] 연금저축 어디에,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

# 연금저축의 이해

 

2022년 연금저축과 관련된 기사를 보며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전년 연금저축 신규 가입자 수가 전 해에 비해 무려 194%나 폭증했습니다. 특히 20대 연금저축 가입자 비중은 약 37만 명에서 약 62만 명으로 70%가량 증가했고, 30대의 경우 약 102만 명에서 약 124만 명으로 22%가량 증가했습니다.

 

이후 금감원에서 새로운 통계를 내놓진 않았지만 연금저축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높은 것 같습니다. 연구회를 통해 많은 선생님과 재무관리 챌린지와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데 만나는 선생님 대다수가 연금저축을 언급하거나, 노후 대비의 필수 수단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아마 연금저축에 대해서 들어보진 못한 분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연금저축이 무엇인지 여전히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간단히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연금저축은 국민들의 편안한 노후를 위해 정부가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정부 주도로 관리되는 국민연금, 직장 주도로 관리되는 퇴직연금에 더해 개인적으로 가입하고 관리하는 금융상품이며 무엇보다 가장 큰 장점은 연간 600만 원까지 13.2~16.5%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소득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연간 600만 원을 납입하고 13.2%를 적용 받으면 무려 79만 2000원의 수익(세액 공제)을 올릴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 개인형 퇴직연금(IRP)을 포함한다면 최대 900만 원, 118만 8000원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연금저축에 대해 관심을 조금이라도 가져본 분들은 이 정도 내용은 충분히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모임을 통해 선생님들을 만나면 연금저축 계좌를 개설하고 돈을 입금한 후 무엇에 투자해야 되는지, 어떻게 투자해야 되는지 막막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 연금저축을 통해 무엇을, 어떻게 투자해야 되는지 소개드리겠습니다.

 

# 연금저축 종류와 투자

 

연금저축을 통해 투자를 하려면 계좌 종류부터 선택해야 합니다. 연금저축 계좌는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펀드 이렇게 3종류가 있습니다. 이 중 어떤 계좌를 개설해야 되냐,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노후대비라는 연금저축 계좌의 취지에 맞는 선택을 위해서 연금저축펀드가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연금저축보험은 용어에서 바로 알 수 있는 것처럼 보험회사에서 판매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좋게 보면 노후대비를 위한 연금 상품의 기능과 보험 상품의 기능을 동시에 하는 금융상품이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보험 상품의 기능도 하고 있기 때문에 매달 사업비 명목으로 나가는 수수료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한참 동안 납입해도 해지환급률이 100%가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재무상담이나 모임을 진행할 때 항상 얘기하는 것이 있습니다. 보험은 보험다워야 하고, 연금은 연금다워야 한다. 조금 번거롭지만 차라리 보험 상품 가입 따로, 연금 상품 가입 따로가 훨씬 더 경제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신탁은 은행에서 판매했던 금융상품입니다. 왜 판매했던이라는 과거형을 썼냐하면 2018년부터 신규 가입자를 더 이상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비록 예‧적금처럼 보수적인 운용으로 원금 보장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만큼 수익률을 담보하지 못해 가입률이 저조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다보니 물가 상승에 따른 화폐 가치 하락을 좇아가지 못하는 수익률에 실질적 손실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고객들의 외면을 받게 된 것입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증권회사에서 판매하는 금융상품 입니다. 연금저축펀드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한 투자 상품을 고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증권사가 다양한 투자 상품을 취급하는 금융기관인 만큼 연금저축펀드를 통해 국내외 주식형 펀드 및 채권형 펀드 등 각종 펀드 상품에 투자할 수 있으며, 요즘 각광받는 ETF에도 투자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대안적인 부동산 투자 방법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리츠(REITs)나 사실상 원금 보장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인 MMF(초단기 채권 및 예금 투자)에도 투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금저축보험과 달리 사업비 명목으로 높은 수수료를 떼지 않습니다.

 

# 연금저축펀드 투자

 

증권회사 앱을 통해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개설하시고 계좌에 돈을 입금하셨다면 이제 투자 상품을 고르셔야 합니다. 가끔 자동적으로 투자되는 것으로 착각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연금저축 계좌에 돈을 입금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는 있지만 투자 상품을 선택하는 것은 본인이 직접해야 합니다. 이때 가장 크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내가 얼마나 오랫동안 투자할 수 있는가 입니다. 가령 미국 S&P500 ETF와 같은 주식형 ETF나 펀드에 투자를 한다고 가정하면 단기간 투자 시에는 원금손실의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10년 이상 투자한다면 원금손실의 가능성이 훨씬 낮아지고 높은 투자 수익률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0년 이내의 짧은 기간 투자하고 연금 수령의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 우리나라 국채, 미국채 관련 ETF나 펀드와 같이 원금 손실이 거의 없는 상품 위주로 투자하고 주식형 ETF나 펀드에는 낮은 비중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 10년 이상 장기간 투자할 수 있다면 높은 투자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주식형 ETF나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시장 하나만으로 불안하다면 한국, 인도, 중국, 일본 등 주요 국가 관련 ETF를 하나씩 추가하여 분산 투자하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펀드가 아닌 ETF를 추천드리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ETF가 펀드에 비해 운용수수료가 훨씬 낮기 때문입니다. 1% 미만의 차이라도 오랜 기간 누적되면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은 세액공제 연간 한도 금액의 2배인 1200만 원까지 매년 납입 할 수 있습니다. 여유가 있다면 이 한도를 채워보는 것도 좋습니다. 왜냐하면 연금저축의 경우 일정 조건만 만족하면 투자 수익에 대해 3.3~5.5%의 매우 낮은 저율과세를 하기 때문입니다.

 

내년이면 잊혀질 뉴스에 흔들리지 말고 매달 월급을 받으면 꼬박꼬박 연금저축에 적립하여 경제적 여유가 있는 행복한 노후를 맞이하시기 바랍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