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로서 보람을 느끼고 행복을 느낀다면 단연히 아이들이 커가는 모습을 눈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운동회가 있는 날이면 최선을 다해 달리기를 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이 세상에서 가장 고귀한 직업이 선생님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얼마 전 우리 학교에서 운동회가 열렸다. 이 날을 위해 아이들도 선생님들도 지난 2주 동안 체육시간마다 운동장에서 따가운 햇살과 뿌연 모래바람을 친구삼아 정말 열심히 연습했다.
아침에 모두가 들떠 있었다. 운동회라는 것이 아이들이나 선생님, 학부모 모두에게 큰 행사임에는 틀림이 없고 특히 아이들에게는 1년에 한번 있는 기쁜 날이다. 하지만 이 날의 기쁨은 오후 운동회를 마칠 때쯤, 한 순간에 사라져 버렸다.
운동회 하이라이트인 청백계주 선수가 대기하고 있을 때, 5반의 한 아이가 씩씩거리며 우리 반 제일 앞줄에 있는 아이에게 다가와 주먹을 쥐고 때릴 태세를 하고 있었다. 왜 그러냐고 물었더니 “1반 아이가 돌을 던졌어요”라는 것이다. 혹시 눈에는 들어가지 않았나, 얼굴에 상처는 입지 않았나 살펴봤더니 아이가 “다친 데는 없어요”라고 말했다.
그 아이가 지목한 우리 반 아이에게 미안하다고 사과를 하라고 했다. 그러나 지목당한 아이는 극구 자기가 그러지 않았다며 항변을 했고, 둘은 계속 실랑이를 벌였다. 마침 경기가 시작되는 시점이어서 나는 우리 반 아이에게 미안하다고 하라면서 화해를 시키려 했다.
그 때였다. 5반 아이의 어머니인 듯한 사람이 나와 어느 녀석이 돌을 던졌냐고 큰 소리를 쳤다. 내가 아이들을 화해시키고 있는 와중에 학부모가 나서서 그런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어머니, 제가 아이들에게 화해를 시키고 있는데 어머니가 이러시면 경우가 아니죠”하고 말씀을 드렸다.
학부모는 막무가내로 “경우고 뭐고 필요 없어요. 도대체 어떤 놈이냐?”하고 소리치면서 “왜 우리 아이를 나무라느냐”고 내게 따지는 것이다. 나는 아이에게 “선생님이 너에게 뭐라고 하더냐, 어머니에게 말씀 드려라”했더니 그 학부모는 자기 아이를 다그치지 말라면 계속 큰 소리였다. 그러더니 “아줌마! 내 아이 일에 간섭하지 마세요”라는 것이 아닌가.
너무 황당했다. 내가 선생님인 것을 뻔히 알면서 아줌마라니…. 아무리 교사가 힘이 없고 별 볼일 없는 존재로 인식된다고 해도 학교 안에서, 그것도 우리 반 아이들이 모두 지켜보고 있는 순간에 그런 말을 해야 한단 말인가. 지켜보던 다른 학부모가 말리면서 상황은 끝났지만 단 2분의 상황에 온몸에 피로가 몰려옴을 느꼈다.
모든 상황에서 참아야만 하는 교사의 위치에 너무 실망감을 느꼈다. 다른 학부모가 “선생님 너무 속상해 하지 마세요”라고 위로해 주었지만 너무 힘들고 지친 하루였다. 저녁에 집에 돌아와 하루 동안 뒤집어쓴 모래 먼지를 씻고 자리에 누웠지만, 왠지 모를 분노와 허탈감은 씻겨 나가지 않았다.
`교권 추락하다’라는 신문의 헤드라인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오늘날 교단의 위상을 단면으로 보여주는 작은 일화가 아닐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