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의 발전과 개혁을 위해서는 현행 지배구조와 운영체제를 전면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8일 서울대 교수협의회(회장 장호완 교수)가 개최한 토론회에서 잇따라 나왔다.
홍준형 행정대학원 교수는 '대학본부의 조직과 기능'에 관한 발제문에서 "서울대 본부의 행정 조직이나 의사결정 구조는 전반적으로 크게 낙후됐다"고 평가한 뒤 "대학 지배구조(거버넌스)가 모호하고 불완전한 데다 대학 본부의 의사정책 결정구조와 조직ㆍ인사ㆍ재정의 자율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많다"고 비판했다.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홍 교수는 ▲ 부총장직 신설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 처ㆍ실ㆍ국장 등 본부 주요 보직의 조직 진단을 통해 업무 효율성을 제고하고 ▲ 평의원회의 위상 정립을 통해 의사정책 결정구조를 개선하고 ▲ 조직과 인사, 재정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준웅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서울대 학과(부)의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해 전체 학과(부)장에게 실시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 현형 시스템은 학과(부)장의 역할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고 ▲ 학과(부) 스태프의 임무와 업무가 관행에 따라 불분명하게 규정돼 있으며 ▲ 단과대 내 학과 간의 협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고 ▲학과별 형평성에 기초해 단대 차원의 의사 결정이 이뤄진다고 진단했다.
그는 "학과(부)장의 민주적 리더십을 강화하고 스태프의 임무와 업무 규정을 명문화해야 한다"며 "학과 이기주의로 인한 불신과 비협조를 극복하기 위해 단과대 차원에서 신뢰에 근거한 협조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흥식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대학(원) 운영체제와 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발제문에서 "개별 단과대의 자율성이 존중돼야 한다"고 전제한 뒤 "이를 위해 학장회가 출신 단과대 이기주의에서 나아가 대학 전체의 발전을 위한 과감한 정책 결정을 추진하고 한 단과대만 반대하면 사실상 결정이 봉쇄되는 현재의 의사결정 절차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토론회에서는 총장의 바람직한 역할과 리더십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성원 영문과 교수는 "서울대 총장은 대학이 지켜야 할 핵심 가치를 일관되게 천명하고 이를 대학의 내면적 삶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대학의 자율성을 지키는 일이야말로 총장이 수행해야 할 가장 큰 임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는 바람직한 서울대의 개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서울대 교수협의회가 마련했으며 서울대 교수 10여명이 참석해 토론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