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고교 1년생이 읽기 능력과 수학 과목에서 세계 최정상으로평가된 반면 과학은 세계 1위에서 6년만에 11위로 추락했다.
4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공개한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 2006)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만 15세(고교 1년) 학생의 읽기 능력은 OECD 회원국 30곳을 포함한 세계 57개국중 1위, 수학은 4위(최고 1위~최저 4위), 과학은 11위(최고 7위~최저 13위)로 평가됐다.
OECD 30개 회원국만을 비교하면 읽기는 세계 1위, 수학은 1~2위, 과학은 5~9위로 나타났으며 순위가 범위로 표시된 것은 표본 샘플 조사가 이뤄져 오차 범위를 감안했기 때문이다.
읽기 부문은 2000년 6위에서 2003년 2위로 올랐고 지난해에는 부동의 1위를 차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추이를 보였고 수학은 2000년 2위, 2003년 3위에 이어 지난해에는 4위(1~4위)로 평가돼 세계 최상위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해석된다.
성적 최상위 5% 이내 학생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읽기는 1위, 수학은 2위를 차지해 상위권 학생들의 성취도도 세계 최고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과학 부문은 2000년 1위를 차지했다가 2003년 4위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급기야 11위로 추락해 성취도가 갈수록 하락하고 있다.
성적 최상위 5% 이내 학생도 과학 부문에서는 세계 17위로 내려앉아 국내 과학 교육 체제에 대한 대수술이 필요한 게 아니냐는 지적을 낳고 있다.
과학 부문 최상위 5% 이내 학생의 순위는 2000년 5위에서 2003년 2위까지 뛰어올랐으나 지난해에는 17위로 급격히 추락한 것이다.
교육계는 현재 시행중인 제7차 교육과정이 과학 탐구 영역을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바꾸고 이수 시간을 줄이면서 과학 성취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읽기 영역의 경우 절대 평가가 이뤄지는 최상위 수준인 '수준 5'에 속하는 학생 비율은 21.7%로 세계 1위를 차지했고 수학의 최상위 수준인 '수준 6'에 속하는 학생 비율은 9.1%로 세계 2위로 나타났다.
과학은 최상위 수준인 '수준 6'에 속하는 학생 비율이 1.1%로 세계 18위에 그쳤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과학 영역의 성취도가 하락한 것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과학에 대한 태도에 있어 우리나라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일반적인 가치'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돼 교육 정책적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