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연합뉴스) 심언철 기자 = "원어수업? 좋은 생각이지만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Teaching English in English? Great idea, but it needs lots of efforts)"
영어교육 강화정책의 일환으로 초중고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원어민 강사들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추진중인 영어 공교육 강화방안에 대해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좋은 발상이지만 현실적으로 실현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며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지난 1일 경기도 수원시 영덕초등학교에서 만난 원어민 강사 데이비드 킴(David Kim.30.미국)씨는 영어로 영어수업을 진행하는 영어 공교육 강화 방안에 대해 "기본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2-3년 안에 이뤄지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게 개인적인 견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영어교사와 인프라로는 단기간내에 큰 변화와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위험하다"며 "단계적으로 원어수업을 실시한다면 5-10년내에는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3년 전 한국에 와 영어전문학원 등에서 1년간 학생을 가르친 뒤 2년 전부터 영덕초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데이비드씨는 "한국에 와서 가장 두드러지게 느낀 점은 아이들이 학교보다 학원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운다는 것"이라며 "그러다보니 아이들의 영어실력도 편차가 커져 학교 수업은 더욱 어려움을 겪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영어를 원하지 않는 어린 학생들에게 강압식 교육을 시키는 것은 절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무조건적으로 정책을 실시하기보다는 영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 태장고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미국인 말라 카웰(Marla Cowles.여)씨는 "원어수업을 늘리고 원어민 강사를 확충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효과적인 '조직과 계획'을 세우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에서 4년째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그는 "현재의 원어민 영어수업처럼 일주일에 한번 성적에도 들어가지 않는 수업을 진행해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정책을 시행하기에 앞서 효과적인 계획을 구상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몇년 전부터 원어민 수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제대로 된 교재와 커리큘럼도 준비되지 않은 상태"라며 "어떨 땐 단지 정책에 의해서 우리 원어민 교사와 학생들이 교실에 모여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말라씨 역시 "영어를 강화하는 교육정책은 바람직하다"며 "앞으로 몇년간 몇몇 학교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하면서 천천히 확산시키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영어교육 강화에 공감하고 있는 이들 두 원어민 강사도 영어수업을 다른 과목으로 확대하자는 '영어몰입교육' 방안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말라씨는 "왜 사회나 과학같은 과목까지 모국어가 아닌 영어로 배워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공식적인 제2국어로 영어를 선정하겠다는 것이냐"고 되물었다.
데이비드씨도 "현재 여건으로는 불가능"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들은 또 "한국의 영어교육이 10년을 배워도 의사소통도 못할 정도로 '죽어있는' 이유는 쓰기.읽기 중심의 교육과 열악한 공교육 환경"이라고 입을 모았다.
데이비드씨는 "어떤 한국인들은 나보다 많은 단어를 알고 있어 놀랄 때도 있지만 그들의 회화실력은 실망적"이라며 "읽기.쓰기를 먼저 배우는 교육방식과 자신감 결여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 반에 영어실력도 제각각인 30-40명이 모여 회화를 배운다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며 "교육환경의 개선에 예산을 더 투입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