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현재 7차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교과를 담당할 교원인력 충원을 위해 현직교원에게 부전공 연수를 확대 실시하고 있다. 부전공제는 전공과의 인접 또는 관련과목에 해당하는 교과의 부전공 연수를 받도록 하면 해당 교과에 대한 기본적 자질과 능력을 함양하기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사범대학 등 교원양성기관의 부전공제도 역시 교과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능력을 갖추는데 부족하지 않을 학점을 이수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교과담당 인력에 대한 파악과 준비를 충분히 하지 못한채 7차교육과정을 현장에 적용하다보니 교원인력의 재배치를 위한 부전공 연수가 무리하게 운영하지 않을 수 없는 형편에처해 있다. 필요한 교과 인력을 충원하기에 급급해 교사개인의 자질이나 적성을 묻지 않고 필요한 인원을 할당식으로 연수자를 지명하고 있는 점이 큰 문제다. 교원들도 자신의 적성과 능력보다는 자격을 따놓는 것이 안전하다는 생각으로 부전공 연수를 희망하거나 차출에 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도교육청에서는 우선 수업을 할 자격교원을 교실에 투입해야하기 때문에 단기간의 연수를 급하게 실시하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다. 그래서 여름·겨울 방학을 이용하여 하루 8시간의 집중수업으로 자격증을 주는 등 부실인력을 양산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하여 최근 교육부가 대책을 수립하여 시달한 것은 때늦었지만 다행한 일이다. 교육부의 대책에도 포함되어 있지만, 무엇보다 부전공연수 대상자를 선발하거나 지명할 때 대상 교원의 적성과 자질, 본인의 희망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종전과 같이 필요한 인원수를 할당하는 식이나, 특정 교과 교사 모두를 연수대상자로 지명하는 등의 적성과 희망을 무시한 숫자채우기식의 연수대상자를 배당하지 않기 바란다. 다음으로 연수기관의 교육과정 선정과 운영에서 대학의 교육과정에 맞추지 않고 중등학교의 교육과정에 맞추어 과목을 선정하고, 교과내용도 현장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사운영에 있어서 방학기간동안은 1일 수업시간을 6시간 정도로 줄이고 부족한 시수는 주말이나 방과후, 원격연수 등의 방법을 활용하면 좋을 것같다. 또한 교원양성기관의 학생에게 부전공자격을 부여할 경우 현행 학점수를 늘리고, 교육실습도 부전공의 경우 실습 일수를 늘려서 전공교과와 부전공교과를 모두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교원 양성과정은 바로 교육의 질에 직결된다. 7차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1차적 과제는 다양한 교과에 대한 자질과 능력있는 교원인력을 충분히 갖추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