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신문으로 교육 관련 기사를 검색해보니 참혹하기 그지없는 사건들 일색이었다. 급우들로부터 학대를 받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아이, 같은 학급의 친구들로부터 성추행을 상습적으로 당한 여학생. 우리는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학교 안에서 불철주야 고민하고 헌신하며 아이들을 위해 열정을 다했음에도 현실에서는 참혹한 결과가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위기’라는 말의 부정적 함의를 알기에 쓰고 싶지 않지만 어느 때보다 심각한 상황이기에 ‘위기의 교육’이라는 말을 벽두부터 쓸 수밖에 없는 현실이 안타깝다.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과 더불어 살아가며 갖게 된 작은 바람을 두서없이 몇 자 적어보도록 한다.
우선 교육현장의 폐쇄성이 사라져야 한다. 그간 우리는 교실을 열린 공간으로 만들고 구성원들이 모두 만족하는 행복한 곳이 될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가시적인 성과도 있었고, 많은 희망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왕따 문제, 교권 침해, 이해관계에 따른 분열 등의 모습을 보면 여전히 폐쇄성을 벗지 못하고 있다. 구호에만 그치는 것이 아닌 소통과 상생의 과정을 거쳐 혼연일체가 되어야 한다. 교사와 학부모는 알량한 자존심이나 소모적인 논쟁을 버리고 아파하는 아이들의 삶 속으로 직접 들어가 치유하고 가치를 만들어 줄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새로운 빛이 될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문서 차원에서만 바뀌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맞게 능동적인 변화로 우리 교육이 거듭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STEAM처럼 교과간의 경계를 허물고 아이들의 미래에 빛을 줄 수 있는 발전적인 교육이 되어야 한다.
끝으로 흔들리지 않는 뿌리 깊은 나무가 되어야 한다. 드라마를 통해 인기를 끌었던 세종대왕을 재론하지 않더라도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시류에서 교육이 중심을 잡지 못한다면 우리 사회도 흔들릴 수밖에 없다. 우리 사회의 뿌리는 교육이다. 그리고 교육의 뿌리는 우리 교사들의 확고한 철학일 것이다. 거창한 철학적 담론을 이야기함이 아니라 아이들을 가르치는 마음가짐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첫 발령, 첫 수업, 첫 제자를 마음에 다시 새기며 나를 새롭게 다잡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