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이 시작됐다. 우리는 삶의 편리를 위해 달력과 시간을 만들고 과거와 현재, 미래를 가정한다. 그러나 우주 공간 어디에도 시간의 금이 없으니 시간은 다분히 인위적이며, 절대적 진리가 아닌 상대적 개념일 뿐이다. 인류가 시간의 단위를 만들지 않았다면, 시간을 인식하지 않고 지금보다 훨씬 자연스럽게 살지 않았을까? 드넓은 우주에서 이 순간도 여전히 돌고 있는 지구를 상상하면 시간을 재며 사는 행위가 얼마나 가소로운 일인가.
광대무변한 세상에 나 하나 꽃 피어 숨 쉬고 사는 지금 이 순간이야말로 기적이다. 또 나와 똑같은 사람이 단 한 명도 없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이 경이롭다. 그러니 날마다 떠오르는 태양은 날마다 새날이다. 이 순간의 신비를 생각하면 태양은 바로 내 가슴 속에서 떠오르니 날마다 해맞이를 하며 살아야 한다.
선생님으로서 할 일이 바로 이것이다. 아이들 가슴 속에 잠들어 있는 태양을 꺼내 자신만의 꽃을 피울 수 있도록 일깨워야 한다. 헬렌 켈러처럼 보지 못하지만 눈 뜬 사람보다 더 치열하게 열정적으로 꽃피워 살게 해야 한다.
힘든 사람들이 넘쳐나고 어른들도 길을 잃고 갈팡질팡 헤매는 세상이다. 먹고 살만하면 더 좋은 세상이 오리라 믿고 달려왔건만 가난하던 때보다 더 추운 사람들이 넘쳐난다. 남을 탓하고 환경을 탓하며 책임지는 사람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밝고 희망적인 언어는 사라지고 치열한 경쟁 속에 시들어가는 젊음은 꽃조차 피울 엄두를 못 내는 암울한 현실이다.
하지만 어둠이 깊을수록 불꽃놀이는 장관을 이룬다. 매서운 추위 속에 핀 동백꽃은 절절함마저 안겨준다. 지금은 교육이 희망의 등불을 들어야 할 때다. 일제강점기를 이겨낸 애국지사들처럼, 6․25 전쟁의 틈바구니에서도 천막 학교를 열었던 위대한 교육자들처럼, 선생님 한 사람 한 사람이 '나 하나 꽃 피어' 아프고 지친 제자들의 영혼을 일으켜 세워야 할 때다.
변화란 대단한 리더나 지도자가 이끌어 내거나 커다란 동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작은 2%에서 시작한다. 담임을 맡은 반 아이 한 명 한 명에게 진심 어린 조언을 하고 격려해주며 읽어주는 책 한 구절에서 시작될 수 있다. 제자들에게 어떻게 하면 자생력을 기르고 자존감을 키워주며 그 마음에 감동을 줄 방법을 고민하면 답이 나온다. 나 한 사람이 변해 민들레꽃을 피우면 그 홀씨들이 번져 갈 테니.
환자에게 의사가 절실하듯, 힘든 제자에게 선생님이 희망이다. 교직은 배워서 남에게 주는 일이자 가르치며 배우는 숭고한 자리다. 겨울 찬바람을 이겨내고 붉은 가슴을 드러낸 동백꽃의 처연한 아름다움처럼 상처를 딛고 일어서 꽃대를 올린 제자를 보는 일은 무엇보다 찬연하고 벅차다. 가르치는 것은 가장 오래가는 꽃을 보는 매력적인 일이다.
지금까지 내 제자들은 내가 다가선 만큼, 가슴 아파한 것만큼, 아니 그 이상으로 꽃피워 감동을 안겨줬다. 내 인생에서 가장 잘한 일은 무명교사로 사는 바로 지금이다. 다시 태어나도 이 길을 가고 싶다.
나는 겨울방학 동안 아이들 모두가 지극한 존재임을 알게 하는 일, 얼마나 소중한 꽃씨를 품었는지 마음 밭을 다독일 마이더스의 손을 가꾸도록 최대한 충전하는 중이다.
배워야 가르칠 수 있으니, 평생 배움을 놓지 않게 하는 보너스에 더욱 감사하며 좋아하는 책들과 열애할 예정이다. 책은 선생님에게 최고의 동력이고 에너지원이다. 책을 읽지 않고 무엇을 가르칠 수 있으랴! 쏟아지는 정보와 변화의 물결을 단편적인 인터넷 정보만으로는 감당하지 못한다. 그가 먹은 음식이 그 사람의 몸을 이루듯, 그가 읽은 책이 그 사람을 말해 준다.
겨울방학이 짧아지기도 했지만 독서와 원격연수, 겨울학교 출강 등 스스로 연찬하다 보니 벌써 중반에 와 있는 느낌이다. 내가 먼저 꽃피워 몸으로 보여주는 교육을 해야 아이들을 설득하기 쉽다. 아이들은 자기 부모뿐 아니라 담임선생님도 닮아간다. 말버릇도 닮고 생활하는 모습도 닮아간다. 선생님의 어려움이 여기에 있다. 예민한 감성을 지닌 아이들에게 역할 모델이 되기 때문이다.
학기 중 모든 수업 시간마다 풍부한 지식으로 제자들을 이끌어가기 위해 방학만큼 좋은 기회는 없다. 끊임없는 자기연찬을 통해 아이들의 희망이 되도록 노력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