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드는 학생, 욕하는 학부모 등에 자존감 무너지고 무력감, 우울증 참을 수밖에…스트레스 경고 수준 마음 터놓고 공감, 치유할 곳 없어 “눈물‧상처 씻을 ‘감정해우소’ 절실”
“수업 중간에 나와 죽고 싶다는 선생님을 데리고 올라와 상담을 한 적이 있어요. 대놓고 무시하는 학생들에 지쳐 선생님은 자존감이 무너지고 통제력이 상실된 상태였죠.”(경기도의 한 중학교 전문상담교사) “자녀 말만 믿고 계속 학교에 찾아와 ‘니가 교사 맞냐?’며 소리지르고 덤비시는데 정말 감당하기 힘들었습니다. 교사니까 참고 또 참을 수밖에요. 그 스트레스에 신경정신과를 찾은 적이 있어요.”(서울 모 초등교사)
학생 생활지도 붕괴, 막말하는 학부모, 톱다운 방식의 개혁과 과중한 업무 등에 교원들의 스트레스, 마음의 상처가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스승’이라서 무조건 참고 친절하기를 강요받는 감정노동(복지사, 상담원처럼 자신의 감정과는 무관하게 직무를 수행해야 하는 감정적 노동)이 더 이상 남 일이 아니다. 하지만 마음을 터놓고 공감, 치유할 공간, 제도적 지원시스템은 거의 전무하다. 이 때문에 남몰래 사설 상담소나 병원 문을 노크하는 경우도 많다.
인천 모 공고의 한 교사는 “담배 검사했더니 내 돈 내고 피는데 지랄이냐고 하더군요. 무단결석 가정에 전화했을 때는 사생활 간섭하냐며 학부모가 욕을 하고요. 어디 가서 전 교사라고 얘기도 안 합니다. 그게 요즘 교원들의 심정일 것”이라고 토로했다.
문제는 억눌린 마음이나 상처를 씻어낼 ‘감정해우소’ 같은 게 없다는 점이다. 학생들을 위한 상담실(프로그램), 위센터 같은 게 교원들에게는 사실상 없다. 강원도의 한 초등교사는 “아픈 몸에 업무 스트레스로 학교를 그만둬야 하나 궁지에 몰린 상태예요. 집에서 하소연해 보지만 응어리가 풀리겠어요? 그렇다고 교사 상담프로그램이 있는 것도 아니고…지금도 마음 삭이며 혼자 눈물짓곤 한다”고 말했다. 서울 모 고교 교사는 “술 마시거나 화장실에서 혼자 욕을 하는 것 외엔 방법이 없다”고 털어놨다.
감정 억제와 자기희생이 지속되면서 교원들의 스트레스는 심각한 상태다. 심리치유 전문기업 마인드프리즘이 최근 집단공개상담에 참여한 교사 50명의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한 결과, 평균 ‘2단계 주의’ 단계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의학적 경고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는 상태다. 김언정 홍보팀장은 “사회적 기대치가 높은 교사가 일반 직장인보다 심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더러 학교나 Wee센터에 배치된 전문상담교사를 찾지만 한계가 있다. 기본적으로 학생 상담만도 벅차고 소문도 두렵다. 연수원 등의 ‘힐링연수’도 대다수 교사가 모르거나 이용할 수 없을 정도로 희박하다. 지난해 9월 부산시교육청 등 4개 교육청이 교원치유센터 시범청으로 지정됐지만 아직 본격 가동되지 않았다.
그래서 점차 사설 상담기관이나 병원 문을 노크하는 교사가 늘고 있다. 동료 간 갈등을 겪고 있는 경기 모 중학교사는 “학교가 두렵고 모욕감, 상실감, 우울증이 심해져 신경정신과 치료를 몇 달째 받고 있다”며 “주변 교사들도 병원을 이용하곤 한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전문상담교사는 “학생 상담만으로도 벅차 교사 몇 명을 잠깐 상담한 경험은 있다”며 “요즘은 사설 상담소, 병원 등을 찾는 교사가 꽤 있고, 실제로 소개해 준 적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1회(1시간)에 8~10만원 정도, 보통 10회 정도 진행하는 상담비용은 부담스럽다.
현장의 전문상담교사들은 “해소구를 찾지 못한 교사들의 마음을 빨리 회복시켜 주지 않으면 교실에, 아이들에게 고스란히 투영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차라리 학생지도를 포기하게 된다”는 냉소적 반응이 대표적 예다.
교원들은 상담‧힐링을 위한 제도적‧정책적 지원시스템(프로그램) 마련을 호소한다. 더 이상 개인문제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경남 모 초등교사는 “교육청 단위의 상담센터를 이용하는 건 교사로서 부담스럽고 주위 시선이 두려운 측면도 있다”며 “교육청에서 사설 상담기관과 연계해 지원해주고 철저히 익명을 보장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충남 모 중학교사는 “교사들의 마음치유 연수, 교육, 치료를 전문기관에 위탁해 받게 하면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모 초등교감은 “힐링프로그램은 사실 거의 없고 그나마도 학기 중에 운영해 참여가 어렵다”며 “방학 중 상담, 힐링프로그램을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상담 전문가들은 “센터나 프로그램 마련에 앞서 상담은 자신의 행복을 위해 유익한 것임을 알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상담에 대한 인식개선 노력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