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교과에도 인성요소를 찾아 적용“삼각형 꼭짓점에 연장선을 그으면 외각이 생겨요. 내각과 외각의 합은 180도 평각이라고 부르고. 우리 마음속에 내각이 있다면 우리 주변에는 안정되게 나를 받쳐주는 외각과 같은 사람이 있죠? 나를 든든하게 지켜주는 친구와 가족들을 위해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요?”
경기 정발중 1학년 수학 시간. 윤상숙 수석교사는 다각형의 내각과 외각 등의 개념을 활용한 글짓기로 수업을 마무리했다. 학생 모둠별로 ‘외각, 내각, 행동, 안정적, 시킨다, 부모님’, ‘삶, 보기, 가을, 외각, 내각, 평각’등과 같은 단어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해 3개 이하의 문장으로 글쓰기를 하도록 했다.
윤 수석교사는 “도덕이나 사회 교과 같이 인성의 개념이 직접적으로 나오지 않는 교과지만 교사가 좀더 고민하면 인성 요소와 연계시킬 수 있다”며 “이같은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확산적 사고를 갖게 하고 인성교육을 실천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학은 설명하고 문제풀이만 시켜도 진도 나가기에 시간이 부족한데 언제 이런 활동까지 할 수 있냐고 생각하는 교사들도 있다. 그러나 학생들은 이날 수업에서 이미 20여개의 문제를 다 풀고 풀이과정까지 익힌 상태다. 어떻게 시간을 활용하면 이같은 활동을 할 수 있을까?
그 해답은 바로 ‘거꾸로 수업’에 있다. 거꾸로 수업은 학생이 수업 전에 교사가 제공한 강의 영상을 미리 보고 수업에 참여토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영상에는 그날 배워야 할 기본 개념이나 핵심 내용이 담겨 있다. 수업시간에 교사의 강의식 설명이 줄게 되면서 그 시간을 학생들이 협력해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 시간으로 온전히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교사가 직접적으로 지식을 전달하기보다는 학생들이 토론이나 실험 등을 통해 지식을 도출해가는 것이다. 학생이 중심이 된 배움 과정을 통해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협동심을 높일 수 있다.
규칙지키기 통해 자기관리능력 키워
거꾸로 수업에서 교사는 학생들이 사전에 영상을 보고 온 것을 전제로 수업 시간에 같은 설명을 반복하지 않고 수업을 진행한다. 영상을 미리 보지 않으면 수업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윤 수석교사는 영상을 미리 보지 않은 학생이 있으면, 보고 온 학생들이 내용을 가르쳐 주도록 한다. 수업 전에 지켜야 할 약속을 어기면 다른 학생을 번거롭게 하는 셈이다. 수업도 대부분 모둠 친구들과 협력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과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미리 공부를 하지 않고 오면 문제를 푸는 과정에 참여하지 못하고 다른 친구에게 과제를 떠맡기게 될 수도 있다.
기존의 수업은 학생들이 별다른 준비를 하지 않고 수업에 참여해도, 수업 시간 내내 가만히 있어도 크게 문제될 것이 없었지만 거꾸로 수업에서는 다르다. 학생들은 수업에 참여하기 위해 짧은 영상 강의를 보고 와야 한다는 규칙을 스스로 지키면서 자기관리능력을 키울 수 있다. 윤 수석교사는 “교사가 엄격함과 너그러움으로 학생과의 경계를 잘 세워 시청과제, 수업참여 등의 규칙을 지킬 수 있도록 관계를 제대로 형성하는 것이 이 수업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모둠활동으로 협력적 문제해결력 배워
강의 영상을 보고 나면 일종의 생각지도(Thinking Map)를 작성해 배울 내용을 정리하도록 한다. 윤 수석교사는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원을 그려 가운데 원에 핵심 내용을 적고, 수업을 들으며 추가적인 내용을 화살표 등을 통해 작성하도록 하는 ‘써클맵’을 활용하고 있다. 선생님이 정리해 준 것을 그대로 따라 적기보다는 직접 수업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며 스스로 학습을 주도해 갈 수 있는 것이다.
교사가 활동지 유형을 다양하게 준비해 학습 참여 효과를 높이기도 한다. 윤 교사가 담당하는 수학 교과의 경우 문제풀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기본’, ‘심화’, ‘점프’ 등 수준별로 문제를 구성하거나 조별 구성원별로 역할을 정해 다른 문제를 제시하거나 다른 교과와 연결된 퀴즈를 주는 등 형태를 다르게 한다.
수학 교과는 학생별로 수준차가 크기 때문에 학생들이 서로 가르쳐 주며 답을 도출해 내도록 한다. 처음에는 ‘내가 왜 얘를 가르쳐 줘야 해요?’라고 묻는 학생들도 있다. 그럴 때 윤 교사는 ‘남을 가르칠 때 최고의 학습효과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설명을 해줬다. 협력학습이 공부를 잘하는 학생, 못하는 학생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학생 개인별로 문제를 풀고 답을 맞추는 데에만 초점을 뒀던 기존의 수업은 학생들 간의 경쟁 체제를 강화했다. 그러나 거꾸로 교실은 다른 사람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가야 한다. 내가 잘 안다고 해서 나만 혼자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나보다 부족한 사람을 이끌어야 한다. 내가 잘 모르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해서 결국 모두가 함께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사회에서는 공부만 잘하는 인재를 원하지 않는다. 남과 함께 어울려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를 키울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법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