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8.0℃
  • 맑음강릉 19.4℃
  • 맑음서울 16.6℃
  • 맑음대전 18.3℃
  • 구름조금대구 18.4℃
  • 구름조금울산 18.1℃
  • 구름조금광주 18.3℃
  • 구름많음부산 18.2℃
  • 맑음고창 16.1℃
  • 구름많음제주 17.0℃
  • 맑음강화 15.3℃
  • 맑음보은 16.7℃
  • 맑음금산 17.3℃
  • 맑음강진군 18.8℃
  • 맑음경주시 19.2℃
  • 구름많음거제 1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시론> 메르스에 감염된 창체

한국의 초·중등 교육과정은 해방 후 교수요목으로 시작해 그동안 열 차례의 제·개정이 있었다. 현행 초·중등학교에서 적용하고 있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창체)’의 두 꼭지다.

야외학습 전부인 양 취소·감축 소동

교과는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영어) 등 10과이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등 4개 영역에 범교과 39개 주제다.

이 중 창의적 체험활동은 이전 교육과정의 ‘재량활동, 특별활동, 우리들은 1학년’ 등을 통합해 학생들이 강의 중심의 교실수업에서 벗어나 하고 싶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율적 체험과 탐구 수행·참여를 위해 도입됐다.

2011학년도부터 연차적으로 초·중·고에 적용 중인 창의적 체험활동이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와 목적에 충실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아직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성패를 평가하기에는 이르지만,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봐야 할 것이다.

올해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의 여파로 전국 대부분의 초·중·고교에서 수학여행, 현장체험학습활동, 야외학습 등 학교 밖 학습을 감축 내지 취소했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창의적 체험활동이 크게 위축된 한 학기였다고 이야기한다. 이는 메르스 여파로 각급 학교에서 휴업을 하고 ‘학교 밖에서 수행하는 활동과 학습’을 줄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학생들이 학교 밖으로 나가지 못했기 때문에 창의적 체험활동이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부실하게 실행(Implementation)됐다고 생각하는 것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본질에 부합되지 않는 시각이다. 학교 밖 창의적 체험활동이 어려울 경우, 반드시 학교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실행해야 하는데, 이를 간과한 점을 자성해야 한다.

현행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은 현장체험학습, 교외 및 야외학습과 동치(同値)가 아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반드시 학교 밖으로 나가서 실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학교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교내에서 얼마든지 질 높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고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본질이고 정신이다. 각 교실, 강당(체육관), 운동장, 학교 텃밭, 교정 등에서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등 창의적 체험활동을 실행할 수 있다.

교내 체험활동 내실화 계기 삼아야

물론 교외에서 이뤄지는 창의적 체험활동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교내에서 전개되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의미 있고 다양하게 전개되려면 담임(담당) 교사들의 교재연구와 자료 개발이 필수적이다. 역대 어느 교육과정보다도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담임(담당) 교사들의 교육과정 전문성, 수업 전문성에 바탕을 둔 교육과정의 재구성, 지역화를 강조하고 있다. 올 1학기처럼 메르스 대란이 야기됐을 경우 학교 내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을 실행하기 위한 교원들의 다양한 교재연구, 자료개발 등이 더욱 활발하게 이뤄져야 하는 것이다.

결국 창의적 체험활동이 학교 현장에서 활성화되고 유의미하게 시행되려면 단위학교의 학교교육과정의 자율성과 교원의 교육과정 전문성, 수업 전문성 등이 담보돼야 한다. 학교교육과정 운영의 다양성, 자율성, 탄력성 등의 바탕 위에서 우수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서 실행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