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부터 고교 도입되는 통합사회·통합과학에 대한 걱정이 벌써부터 현장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도입에 대한 찬반을 떠나 어떻게 운영될지 방향성이 너무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특히 교원 배치 문제는 큰 화두다. 교육부에서는 과학·사회 분야 교사에 대한 연수만으로토 공통과목 지도에 문제가 없다고 설명하지만 현장 교원은 대부분 반대의견을 냈다.
지금도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을 묶은 '과학'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서울 A고 교사는 "가르치는 것 자체에 특별한 어려움은 없지만 전공이 아닌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분명한 한계를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상급 학년에서 배울 심화된 내용이 어떻게 전개될지 등을 설명하기는 특히 어렵다"고 했다.
경기 B고 수석교사(역사)도 마찬가지였다. 이 교사는 "과거 시골 소규모학교에 근무할 때 지리수업을 맡은 적이 있는데, 간혹 나조차 이해가 되지 않을 땐 그냥 넘어가기도 했다"고 털어놨다. 이어 "같은 사회과로 묶이긴 하지만 윤리과 선생님들의 경우엔 이런 어려움이 훨씬 크실 것 같다"고 걱정했다.
관리자 역시 이런 상황이 골치 아프긴 마찬가지다. 경기 C고 교감은 "교사들이 공통사회, 공통과학을 기피해 전공 교과를 우선 배정하고 부족한 시수를 공통과목에 배정하는 식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교육부 말대로 가르치려 하면 선생님들께서 가르치지 못할 것은 없지만, 통합적 지식을 갖게 해주는 수업은 전체적인 지식 체계를 파악한 전공자가 아니면 불가능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공통사회, 공통과학의 내실화를 위해선 연수만으론 부족하다는 데 공감했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선 교원양성체제부터 미리 바꿨어야 하지만 이제라도 조속한 정비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당장 개선이 어려울 경우, 강사 배치를 늘리거나 기존 과목 전공자를 증원해 협력수업으로 진행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수능 연계에 대해서는 교육부가 뚜렷한 계획을 밝히지 않고 있는 가운데, 교원들 간에 의견이 갈렸다. 충북 D고 교사의 경우 "수능 연계가 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수업진행이 어렵다는 것은 이미 증명된 사실"이라며 필수화를 주장했다. 반면 경기 B고 수석교사는 "통합과목에 대한 균등한 수업 질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필수화할 경우 소규모학교 학생이 크게 불리해질 수 있다"며 반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