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구름조금동두천 13.4℃
  • 맑음강릉 14.5℃
  • 구름조금서울 12.4℃
  • 구름많음대전 12.2℃
  • 구름조금대구 12.4℃
  • 맑음울산 11.9℃
  • 구름많음광주 12.1℃
  • 맑음부산 13.5℃
  • 구름조금고창 10.9℃
  • 맑음제주 14.1℃
  • 맑음강화 10.7℃
  • 구름많음보은 11.4℃
  • 구름많음금산 12.0℃
  • 구름조금강진군 13.5℃
  • 맑음경주시 13.0℃
  • 맑음거제 13.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월요논단> 방과 후 학교 도약의 과제

우리나라 방과후학교는 1995년 5·31 교육개혁방안에서 방과후 특기적성 활동으로 제안된 이후 20여 년 동안 양적 성장을 거듭해 왔다.

‘교육적’ 목표가 뭔지 성찰할 때

최근 방과후학교 관련 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거의 모든 초·중등학교가 방과후학교를 운영하고 있고, 특히 초교와 고교는 70% 이상 학생들이 방과후학교에 참여하고 있다. 짧은 기간 동안 양적으로 기록적인 성과를 올렸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제 방과후학교의 참여 수준에 안주하지 않고, 교육서비스의 질 보장과 제고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선적으로 방과후학교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방과후학교의 교육적 효과는 방과후학교의 교육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차원에서 설명할 수 있다.

방과 후 학교 정책의 4대 목표는 다소 입장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학교교육 보완, 사교육 부담 완화, 교육복지 구현, 그리고 지역사회학교 실현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우리가 별다른 의심 없이 수용하고 있는 방과후학교 정책의 목표들은 각기 교육적 목표와는 거리가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방과후학교 정책의 4대 목표들은 서로 성질이 다른 목표이고, 이를 통해 어떤 교육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지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사교육 부담 경감은 교육적 목표라기보다는 방과후학교 활성화 여부에 따른 부수적인 산물이고, 지역사회학교 실현은 방과후학교의 효율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모종의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적 목표는 학교교육의 보완, 교육복지의 실현 차원에서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

교육부는 2006년 운영계획에서 방과후학교의 비전과 목표를 ‘누구나 학교에서 최고의 다양한 교육을-5년 안에 사교육 수요를 학교 내로 흡수-’로 설정, 사교육 수요 감축을 위한 ‘질 높은 방과 후 교육기회의 확대’를 강조한 바 있다. 이어 2011년 방과후학교 내실화 방안에서는 방과후학교의 비전을 ‘공교육 내실화를 통해서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창의인재 육성’으로 수정 제시했다.

수요자중심 원칙만으로는 한계

정부가 설정한 방과후학교의 비전과 목표는 초기보다 교육적 목표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으나, 아직 정규 교육활동의 목표와 차별성이 없고 여전히 추상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방과후학교의 질 향상을 위해 방과후학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재검토를 바탕으로 방과후학교의 비전과 목표를 명료화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수단들을 구체화해야 한다.

방과후학교의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교과 보충 및 심화, 특기·적성 계발, 돌봄 영역별로 교육활동 및 서비스의 내용과 방법, 교사(돌봄사)의 전문성과 안정성, 지원 및 운영 체제, 효과성 측정 및 평가와 모니터링 시스템, 가용 자원들에 대한 체계적인 점검과 재설계가 필요하다. 수요자 중심 교육이라는 원칙만으로 방과후학교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한국방과후학교학회는 지난 연차 학술대회를 통해 효과적인 방과후학교에 대한 정의, 측정, 관리 등 기준을 학술적, 실천적으로 조망하는 기회를 가졌다. 지금까지의 양적 향상을 바탕으로 질적 향상을 본격 도모하는 전환점이 되기를 희망한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