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20.4℃
  • 구름조금강릉 25.5℃
  • 맑음서울 19.3℃
  • 구름많음대전 20.1℃
  • 구름많음대구 26.4℃
  • 구름조금울산 22.2℃
  • 맑음광주 21.6℃
  • 맑음부산 17.9℃
  • 구름조금고창 16.9℃
  • 구름많음제주 19.7℃
  • 맑음강화 15.2℃
  • 구름많음보은 21.2℃
  • 구름조금금산 21.2℃
  • 구름조금강진군 22.8℃
  • 구름조금경주시 27.3℃
  • 구름조금거제 20.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시화전을 준비하며


 어느덧 4회째를 맞이하는 시화전이다. 2003년 3월 13일, 새 학년 새 학기가 시작될 무렵, 교실에서 축 쳐진 어깨를 지닌 학생들을 자주 만나게 되었다. 인문계 학교에 진학하지 못했다는 자괴감과 불우한 가정 환경 탓으로 실의에 빠져 있는 학생들이었다. 의기 소침한 상태로 자신감도 없고 풀 죽어 있는 그들의 모습, 그들에게 뭔가 꿈과 희망을 심어줄 수 있는 그 무엇이 필요했다. 그래서 고민하다 생각해 낸 것이 수업 중에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는 작업에서 시작된 장미문학회 시화전이었다. 어느덧 작품집을 두 번이나 발간했다.
 장미는 우리 학교 교화다. 열정적인 사랑으로 삶을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된 불타는 사랑이었을까?

새벽에 미명타고 그리움 스멀대듯
쉼 없이 일렁이는 열정은 뜨거워라
온 몸에 타오른 불길 소낙비도 못잡네

가시 끝 에인 열정 무섭게 번져가는
멍울 선 사랑이라 세상에 던진 파문
붉은 잎 앙가슴 열고 감로수를 마신다

- 최봉희 <장미>

 그들에겐 사실 자랑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었다.  어떤 긍지나 자부심은 더 말할 나위도 없었다. 그도 그럴 것이 중학교 때에 학과 성적으로 칭찬을 받아본 적이 학생이 없었다. 심지어 그 어떤 것으로도 인정을 받아본 학생들이 많지 않았다. 오로지 학업에 뒤떨어진 학생으로 낙인 찍혀 그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았다. 그것도 인문계 학교가 아닌 전문계(실업계) 학교에 진학했다는 자괴감이 매우 심한 상태였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자신을 그림으로 그리고 자신의 가슴에 담은 속내 이야기를 글로 적는 일이었다. 수업시간 마다 자신의 생각을 그림으로 그리고 짧은 글로 표현하니 재미가 있었나 싶다. 처음엔 학생들이 엉거주춤하더니 시간이 지나면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그 뿐만 아니다. 그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짧은 글로 써서 여러 학생들에게 발표하도록 했다. 그랬더니 가슴 저린 이야기들이 하나 둘 술술 나오기 시작했다. 가슴을 맞대고 서로 울기도 했고 때론 우스꽝스런 글에 배꼽을 잡고 웃는 날도 참 많았다.  다음 글은 3학년 근영이가 쓴 글이다.

아침에 호올로 눈을 뜨면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아버지가 앉아 계셨고
어머니가 웃으셨다

밥 한 숟갈에 아버지가
반찬 한 젓갈에 어머니가

아침 밥상 앞에서
덩그러이 웃는 가족들

밥을 먹는 것은
슬픔을 씹는 일이다.

오늘도 난 홀로
그리움을 먹는다

- 정보전자과 3학년 6반 김근영 <아침 밥상>

이 글은 부모가 돌아가시고 몸이 불편한 할머니를 모시고 사는 3학년 근영의 작품이다. 매일 홀로 밥을 먹어야 하는 부모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을 글로 적은 것이다.

모내기 하는 날은
언제나 덥다
땀 흘려 일한 보람

배고프다, 목이 탄다
막걸리가 그립다

새참이 왔다
꿀맛이다.  다섯 그릇 먹었다

은근히 배가 아프다
욕심이 잉태한 죄 값이다

숲에 들어가 큰일을 보다
뱀에 물렸다.
그리곤 기억이 안 난다.

-자동차시스템과 3학년 8반 이종욱의 <모내기 하는 날>

 이렇게 해서 시작한 것이 매년 5월 말에 열리는 장미문학회 시화전이다. 올해 어느덧 4회째를 맞이한다. 작년까지 교내 행사로 꾸준히 시화전을 열었는데 입 소문이 번져가면서 지역사회에서 전시 요청이 들어왔고 작년에는 우수 동아리 경연대회에 출전할 정도로 그 빛을 보기 시작했다.

급기야 올해는 경기문화재단에 공모한 2007 청소년 문화활동 우수단체에 선정하는 행운도 따랐다. 150만원의 지원금까지 받게 되었으나 얼마나 신나는 일이던가. 아이들에게 좋은 붓과 멋진 그림 물감도 사줄 수 있으니 얼마나 신나던지, 더욱이 더운 날 아이스크림 하나라도 더 사줄 수 있기에 더 더욱 반가운 일이 아닌가 싶다.

얼마 전 영화배우 성기가 나와서 하는 은행광고를 본 적이 있다. 은행은 절하다고 말하면서 또한 은행은 실력이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하는 멘트가 인상적이다. 친절은 실력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닌가? 사실  지금 시대는 암기하는 능력만으로 세상을 살아가기가 쉽지 않다. 따뜻한 가슴을 지닌 인간관계 필요한 세상이다.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도 필요한 사회가 되었다. 사실 학교에서 이를 배워야만 한다. 하지만 학업능력만으로 학생들을 판가름 하는 세상이다 보니 힘겹기만 하다.

요즘, 의사,검사,변호사라는 직업이 사회의 주류에서 밀려나는 시대가 되었다. 문화가 사회를 이끌고 있고 탁월한 재능(끼)이 세상을 이끄는 세상이다.

그래서 생각한 수업 형태의 하나가 바로 시화전을 준비하는 일이었다. 아이들이 자신의 속내를 적은 글을 쓰면 그것을 퇴고한 후에 그림을 잘 그리는 친구들을 만나서 대화하고 로 협력하여 시화 한 작품을 만드는 것이다. 그 비용은 물감과 도화지는 학교에서 준비한다. 아이들이 부담하는 비용은 표구비 1만원이다. 이것도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겐 무료다. 많은 학생들을 참여하기 위한 유인책이자 사랑의 마음이다. 더욱이 올해는 시화 작품집을 1,000권을 제작하기로 했다. 올해 시화전을 6번 정도 갖을 계획이기 때문이다.

올해는 5월 24일부터 25일까지 파주시 택지지구 근린공원에서 파주시민과 함께 하는 '숲속의 시화전'을 처음 개최한다. 또 6월 9일에는 파주 청소년 문화의 집에서 전시하기로 초빙을 받았다. 오늘도 시청과 교육청, 동사무소 그리고 택지지구 아파트 단지에 협조공문을 직접 전하느라 분주한 하루를 보냈다.

 실업계 학생들이 시화전을 연다고 하면 그 분들은 어떤 생각을 가질까? 혹시 지난 시절, 나처럼 편견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앞으로 시화전이 닷새 남았다. 현수막도 두 개 정도 달아야 하고 시화를 걸 이젤도 준비해야 한다. 포스터도 준비해야 하고 방명록도 준비해야 한다. 이리저리 분주하지만 이처럼 행복한 것은 무엇때문일까? 아마도 희망이 있기 때문이리라. 꿈과 사랑이 함께 하는 제4회 장미문학회 시화전, 아름다운 글로 행복한 세상을 만드려는 젊은 손길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