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문만복래(笑聞萬福來), 복도 사람 가리는 재주가 탁월하여 기왕이면 기쁘게 환하게 웃는 사람을 찾아간다는 말이다. 그러나 복은 비웃음이나 가식적인 웃음, 혹은 헤픈 웃음까지 선별해 내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일소일소 일로일로(一笑一少 一怒一老), 더욱이 복은 화내거나 짜증내는 사람을 용케 알아본다. 화는 명을 짧게 한다고 하니 늘 매사에 밝게 웃으면서 살아가야 복이 되는 것이다.
요즘 교육 현장에서 점차 웃음이 사라지고 있다. 경찰청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5월까지 3개월 동안 학교폭력 자진신고 접수와 집중단속을 벌인 결과 1만4천266명을 적발했다고 한다. 아직도 학원내에 학교 폭력이 줄지 않고 있다는 사실에 놀랍기 까지 하다. 또한 대학 입시에서 내신 반영 문제로 교육부와 대학 간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가 하면, 국정 교과서를 검정체제로 전환하는 문제, 무자격 교장 공모제와 근평 10년 연장에 관한 승진 개선안 등으로 교육계가 술렁이고 있다. 또 어느 모고등학교에서는 촌지를 받고 학생의 성적을 조작했다는 보도가 있어 가슴을 철렁하게 했다.
교육 현장은 분명 즐거워야 한다. 인간이 없는 교육은 더 이상 교육이 아니다. 참살이(Well-being)는 신명나는 웃음에서 비롯된다. 교육 현장에서도 신명나는 웃음이 넘쳐 나면 얼마나 좋을까? 요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각별하다. 그와 더불어서 다이어트엔 웃음이 좋다면서 '웃음학교'혹은 '웃음을 가르치는 학원'까지 생겨나고 있는 상황이다. 오죽이나 웃음이 메말랐으면 돈까지 내면서까지 배워야 하는 세상이 되었다.
사실 정치 경제적으로 어려운 일들이 많다보니 우리 주변에서 웃음을 찾기가 그리 쉽지 않다. 텔레비전의 각종 개그 프로그램에서 억지 웃음을 만들어내곤 있지만 서민의 마음을 달래기엔 역부족이다. 더욱이 지구촌은 어떤가? 이스라엘 요르단강 서안의 정착촌의 유대인들은 고향을 잃은 아픔을 삭이려고 웃음 교육을 하고 있단다. 또 미국 국방부에서도 이라크 파병 군인 가족을 상대로 웃음클럽을 운영한다는 외신을 접한 적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사회의 어두운 부분을 치료하는 웃음의 명약이 필요한 상황이 되어 버렸다.
웃음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웃음의 크기에 따라서 얼굴빛을 부드럽게 하여 활짝 웃는 파안대소(破顔大笑)와 손뼉을 치면서 크게 웃는 박장대소(拍掌大笑)가 있고, 떠들썩하게 크게 웃는 홍소(哄笑), 소리를 내지 않고 빙긋이 웃는 미소(微笑)가 있다. 태도와 모양에 따라서 아양을 떨며 곱게 웃으며 아첨하는 미소(媚笑)가 있고, 쌀쌀한 태도로 비웃는 냉소(冷笑), 쓴 웃음인 고소(苦笑), 비웃는 웃음인 조소(嘲笑), 어처구니가 없어 자기도 모르게 툭 튀어 나오는 실소(失笑) 등이 있다.
웃음의 면역 효과는 많은 임상실험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강직성 척수염이란 희귀병이 있는데 뼈와 뼈 사이에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몸이 시멘트처럼 굳어져서 결국에는 죽음에 이른다고 한다. 이 병의 치료법은 오로지 웃을수록 통증이 사라지고 병이 낫는다고 한다. 말 그대로 환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병이 더 악화하기도 하고 낫게도 한다는 것이다. 부정적인 정서는 신체에 나쁜 영향을 주고 긍정적인 생각이나 환한 웃음은 살균작용을 하는 것이다. 웃음은 병균을 막는 항체인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를 200배 이상 촉진한다고 한다. 웃을 때마다 대뇌에서 부신 수질 호르몬인 카테콜아민을 분비시켜 각종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이다. 거기에다 엔돌핀이나 엔케팔린 같은 호르몬을 분비시켜 모르핀보다 200배의 진통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뇌에 베타 엔돌핀과 알파파를 생성하여 마음이 밝고 편안한 상태가 되도록하고 활력이 넘치게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부정적인 생각을 불러올 만한 TV 프로그램이나 책을 피하고, 희망적인 책을 읽거나 웃음이 있는 코미디 프로를 보고 크게 웃으면 건강에 좋다는 것이다. 사람이 크게 웃을 때마다 막혔던 혈관이 뚫리고 혈액순환이 잘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웃음은 모든 병에서 나을 확률이 커지는 것이다.
결국 우리 몸에 있는 질병 치료제는 웃음이다. 혼자 웃는 것보다 함께 웃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은 말할 나위 없다. 환한 웃음으로 교감하고 공감하는 것이야말로 장수의 묘약인것이다.
웃음은 또한 스트레스 고혈압 관절염에 등에 효과가 있다. 신체의 650개 근육 가운데 230개를 순식간에 수축시키는 운동효과가 매우 크다고 한다. 20초 동안 웃으면 5분간 에어로빅을 한 효과와 같고, 한 번만 크게 웃어도 윗몸일으키기 25번이나 한것과 같다. 또한 15초 동안 박장대소하면 100m를 전력질주한 효과가 있단다.
반대로 한 1시간 동안 화를 내면 80명을 죽일만큼의 독소가 사람에게서 나온다고 한다. 따라서 웃어서 나와 이웃에게 건강을 줄 것인지, 화를 내어서 상대를 질식시켜야 할 것인지는 오로지 나에게 달린 것이다.
우리 민족은 웃음을 사랑하는 민족이다.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외침을 무수히 당했고, 가난과 질병의 굴레에서 살아온 탓에 웃음을 많이 잃어버렸다. 한국인의 웃음은 겉으로 크게 드러내지 않는 은근한 미소를 가졌다. 석굴암 석가여래상의 은은한 미소, 신라의 기와집 막새에서 볼 수 있는 천년의 미소, 최근에 발견된 신라 토용의 수염 난 남자 의 웃음, 가르마를 탄 여인의 고운 미소, 선인들의 해학이 담긴 판소리의 너털 웃음, 봉산탈춤 같은 것에서 해학적인 미소를 쉽게 만날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밝고 환한 표정의 웃음을 자주 만날 수 있다. 지나치게 웃고 떠들어서 눈살이 찌푸리는 일이 종종 있지만 밝고 명랑한 모습을 만나면 참 흐믓하다. 다만 지나치게 헤프고 경박한 웃음이나 비굴한 웃음이 문제다. 조소와 냉소 등 부정적인 웃음은 역시 좋지 않다. 폭소나 호탕한 웃음도 때와 장소를 가려야 한다.
나 역시 웃는 얼굴을 좋아한다. 하지만 나 역시 삶에 찌들린 탓인지 미간에 찌푸른 주름살이 덕지덕지 붙어 있다. 물론 나름대로 거울을 바라보면서 환한 웃음을 지어보이려고 애쓰곤 한다. 하지만 그리 쉬운 것은 아니다.
내가 가르치는 학생들은 나를 보고 여러 해 전에 선풍적인 인기를 모았던 만화 주인공 보거스를 닮았다 한다. 그렇게 내 인상이 환한 웃음이 있는 얼굴이라서 다행이다. 하지만 나의 얼굴은 선천적으로 웃는 얼굴보다는 찡그린 얼굴 표정이 다반사다. 학생들을 향해 권위적이거나 혹은 의심에 찬 눈초리로 바라볼 때가 많기 때문이다. 학생들을 가르친다는 명목으로 나도 모르게 학생들에게 편견의 잣대를 자주 들이대곤 했다. 그러다 보니 웃음이 사라져 버린 것이다.
사실 학생들에게 행복을 전해주는 환한 웃음을 건네고 싶다. 보다 이해와 배려로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싶은 것이다. 바쁜 일상 중에서도 다른 이에게 생긋 웃어주는 너그러운 여유를 갖고 싶다. 그들과 더불어 한바탕 웃음으로 하루의 스트레스를 날려버리면 어떨까? 진정 유쾌한 웃음을 갖고 싶다. 웃음은 건강한 복을 가져온다고 하지 않았던가. 진정 웃음을 창조하는 아름다운 삶이고 싶다. 파안대소 속에서 하루하루 밝고 건강하고 유쾌한 삶을 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