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경력이 쌓일수록 아이들과 눈높이를 같이 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실감한다. 초임시절, 굳이 눈높이란 이름을 붙이지 않아도 점심시간이나 방과 후 시간에 어린이들과 함께 노래를 하며 고무줄놀이를 하거나 ‘땅따먹기’놀이, ‘꼬마야 꼬마야’의 긴 줄넘기 등을 하는 것이 자연스러웠는데 언젠가부터 운동장에서 뛰는 것이 부자연스러움을 느끼게 되었다.
세간에 화제가 되고 있는 성신여대 총장의 ‘노바디 댄스’이야기를 들으니 어린이들과 함께 운동장을 뛰던 생각이 떠올라 입가에 미소가 머금어 진다. 학생들과 눈높이를 맞추려는 측면에서 본다면 어쨌든 비슷한 발상이 아닐까 한다. 신입생 2,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는 오리엔테이션 첫날 심화진 총장이 대학 생활을 막 시작하는 새내기들의 새 출발을 축하하고 격려하기 위해 1주일간 학생들에게 직접 배운 댄스를 선보였다고 하니 매우 이례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시대가 변하다 보니 어린이들의 눈높이를 맞추기가 그리 쉬운 일은 아닌 것 같다. 부모님이 맞벌이로 집에 계시지 않아 공허함을 채우기 위하여 이름 모를 컴퓨터 게임을 즐기며, 학교 공부가 끝나자 바로 학원을 전전하다보니 따분하고 지루한 마음을 분출할 길 없어 집에 와서 TV앞에 앉아 화려한 조명 아래 가수들의 박력 넘치는 노래와 댄스에 온 마음을 빼앗기는가 하면 엄격함 아래 포장된 우아한 말씨를 쓰는 선생님과 부모님이 아닌, 오락 프로 등에서 자신들의 수준보다 그리 높지 않은 말을 쓰고 있는 어른들의 말을 즐기며 무한한 쾌락을 느끼고 있는 어린이들이다. 학교에 오면 어린이들은 가는 눈을 뜨고 자신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교사를 바라본다. 교사는 또 그런 어린이들에게 애써 눈을 맞추려 하지 않는 일이 교육현장에서 매일 반복되고 있다.
어떻게 하면 눈높이를 맞출 수 있을까? 어디 요즘 세상에 노력 없이 되는 것이 있는가? 그래도 많은 시간을 어린이들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교사들이다. 조금만 신경 쓰면 그들에게 충분히 감화를 줄 수 있는 역량이 교사들에게는 있다. 수업에 기울이는 노력만큼 결과가 빨리 나타나지 않는 다고 덮어 둘 일이 아니다. 성신여대 총장처럼 노바디 댄스까지는 힘들더라도 교사들부터 마음의 문을 열고 어린이 한 명 한 명 안고 눈높이를 한 번 맞추어 보자. 교사들의 가슴에서 멀어지려고 힘을 쓰는 어린이들과의 사이가 점점 좁혀 올수록 학교와 가정은 물론 우리 사회도 밝은 빛으로 환해지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