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3 (수)

  • 맑음동두천 11.8℃
  • 흐림강릉 10.1℃
  • 맑음서울 12.7℃
  • 흐림대전 16.3℃
  • 흐림대구 14.5℃
  • 흐림울산 13.6℃
  • 구름많음광주 16.2℃
  • 구름많음부산 15.1℃
  • 구름많음고창 11.8℃
  • 구름많음제주 13.5℃
  • 맑음강화 13.0℃
  • 흐림보은 16.2℃
  • 흐림금산 16.6℃
  • 구름많음강진군 15.1℃
  • 흐림경주시 13.4℃
  • 구름많음거제 16.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뇌교육에 관한 1차보고서

'가시나무라 해서/ 해님이 피해가는 것 보았니?/ 보잘것 없는 풀 위에/ 눈곱만한 꽃이 핀다고/ 눈곱만큼만 해가 드는 것 보았니?'

특수학급에 속한 민규가 동시 한 편을 읽어 내려가자 우리 반 아이들이 환호하며 격려했다.

민규(가명)는 선천성 난독증으로 듣고 말하는 데는 어려움이 없지만 그동안 읽거나 쓰는 것을 잘 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젠 아무도 민규를 책을 읽지 못하는 아이로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림 잘 그리고 궂은 일을 스스로 찾아하는 모범 어린이로 여자아이들이 서로 같이 앉고 싶어하는 인기 많은 남자아이이다.

여기엔 특수학급 선생님의 섬세한 맞춤식 언어교육과 학교 교육을 끝까지 믿고 따라준 민규 부모님의 신뢰감, 그리고 늘 남들과 똑같이 대해준 같은 반 아이들의 넓은 마음이 담겨있다. 덧붙여 필자가 요즘 가장 관심을 갖고 탐구하고 있는 '뇌교육'의 원리가 한몫했다고 할 수 있다. 한 마디로 무척 발달된 민규의 감성적인 우뇌를 더욱 자극하고 보상하여 닫혀있던 좌뇌를 활성화시켜 언어영역의 발달을 꾀하였다.




처음 민규를 만났을 때 미술적인 감각이 매우 독창적이고 뛰어난 것을 발견하였다. 섬세한 표현력은 많은 선생님들을 놀라게 했고 6학년 누나들을 제치고 4학년인 민규가 미술대회에 학교 대표로 나갈 정도였다.
자신의 잠재능력을 인정받자 그동안 '한글 미해득'이라는 낙인감으로 눌려있던 학교생활은 몰라볼 정도로 활기차게 달라졌다. 그리고 스스로 알아서 뒤늦은 언어공부에도 관심을 갖기 시작한지 몇 달 만에 남들 앞에서 책도 소리 내어 읽고 자신이 그린 그림에 제목을 써서 자랑하는 데 신이 나있다.

이것은 뇌의 '가소성'(可塑性·Plasticity)과 관련이 있다. 다시 말해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뇌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할 수 있으며 또한 그것은 풍요로운 삶을 만드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모든 동물 중에서 가장 발달된 우리의 대뇌는 21세기 글로벌 경쟁시대를 맞아 도전과 성취라는 욕심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스트레스를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긍정과 나눔이라는 영양분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면역력은 떨어지고 불치의 병까지 얻게 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좀 더 여유를 갖고 배려하는 마음으로 때론 뇌를 쉬게 할 필요가 있다.

지금 이 글을 읽는 독자들도 잠시 일상을 멈추고 창밖으로 보이는 하늘이나 나무를 바라보라. 그리고 눈을 감고 즐거웠던 기억을 떠올리며 머리를 천천히 가볍게 좌우로 돌리기만 해도 한결 몸과 마음이 가벼워진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넓은 우주 속의 하늘과 끝이 보이지 않는 너른 땅 사이에서 겨우 티끌만한 나의 존재를 발견할 때 그동안 내가 쌓은 지식과 물질은 이 우주에서 아무 의미가 없음을 알게 되고 또 내 것이 아님을 이제야 깨닫는다. 비로소 겸손해진 인간들이 헐레벌떡 자연을 걱정하고 함께 보전하자고 약속을 하지만 이미 늦은 것은 아닐는지.

이렇게 하늘과 땅 그리고 그 속의 사람이 원래 하나이고 모두가 함께 어우러져 건강하고 행복하며 평화롭게 살아가고자 하는 것이 '뇌교육'의 출발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