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3 (수)

  • 구름많음동두천 8.9℃
  • 흐림강릉 9.2℃
  • 구름조금서울 10.9℃
  • 구름많음대전 13.0℃
  • 구름많음대구 13.3℃
  • 구름조금울산 10.7℃
  • 박무광주 15.2℃
  • 구름많음부산 12.6℃
  • 맑음고창 11.4℃
  • 흐림제주 13.7℃
  • 구름많음강화 12.0℃
  • 흐림보은 13.7℃
  • 흐림금산 15.5℃
  • 흐림강진군 14.6℃
  • 흐림경주시 11.4℃
  • 흐림거제 13.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학생부 수상기록 금지, 능사 아니다

참여정부가 방과후학교에만 올인했다면 이명박정부 교육정책의 특징 중 하나는 ‘양산’이다. 하도 많은 걸 쏟아내 기억하기 힘들 정도다. ‘자사고·자율고의 내신·면접전형’도 그 중 하나다. 국·영·수 필기시험 금지, 수상(受賞)실적 금지 등의 내용으로 보아 사교육비를 줄이려는 일종의 고육지책으로 읽힌다.

그런데 학생부 수상기록 금지는 거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미 일선학교에 내려보낸 ‘학교생활기록부기재 길라잡이’를 보면 “교외 수상경력은 초·중·고 공통으로 입력하지 않으며, 초·중학교의 자격증 및 인증취득상황란은 더 이상 기록하지 않는다”고 되어 있다.

 언론보도를 통해 기재가능 및 금지되는 것들을 적시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입력 가능한 예로 효행상·선행상·모범상·봉사상 등이 있지만, 이것도 교과와 관련된 경우는 안 된다. 가령 어느 학생이 ‘효행글짓기대회’에서 상을 받더라도 학교생활기록부(이하 학생부)에 기록할 수 없다.

이러한 수상실적 학생부 기록 금지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대책이다. 초·중·고를 불문하고 전반적으로 교육활동 위축이라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단적으로 수업외 어떤 교육활동도 할 필요가 없다는 명령과 같아서다.

예컨대 학생부에 수상사실을 올리지도 못하는데, 누가 백일장대회에 굳이 나가려 하겠는가? 설사 상을 받았다해도 교내 시상식은커녕 수상자 혼자만 일기처럼 간직해야 할 판이다. 당장 방과후학교를 통한 특기·적성교육의 유명무실화가 우려된다. 

더불어 ‘빈대 잡으려 초가삼간 태운다’는 말이 떠오른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근다’는 말도 생각난다. 자사고나 자립고, 외국어고나 과학고 등 소위 특목고 때문 대한민국 전체 학생들의 수업외 다양한 교육활동을 원천봉쇄하는 것은 대책이 아니다.
 
지난 정부에서도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대책의 하나로 ‘학력경시·경연대회 개선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핵심 내용은 경시·경연대회의 수상 실적을 대입시에 반영하지 않는 것이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덩달아 입시제도가 요동치는 걸 경험해온 터지만, 수상실적 기록 금지는 아무리 생각해봐도 올바른 방향이 아니다. 특히 사교육과 전혀 상관없을 뿐아니라 기본적 열패감에 빠져 있는 전문계고 학생들에겐 깊은 상실감을 안겨준다. 

이제 많은 전문계고 학생들이 기능과 문예, 체육과 음악 등 각종 대회참가 및 수상으로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질 수 없게 됐다. 이명박정부는 특기 있는 학생이 수능이나 내신성적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해당 대학에 갈 수 있게 하는 것도 좋은 입시정책임을 모른단 말인가?  힘주어 말하지만 학생부 수상기록 금지가 능사는 아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