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대학의 시간강사 서모씨가 대통령에게 유서를 남기고 자살했다. 1년에 1명꼴인 대학 시간강사의 자살은 교수임용비리가 어떤지 새삼 일깨우고 있다. 여기서 ‘새삼’이라 말한 것은 지난 2월에도 전북의 어느 전문대 총장이 교수임용 대가의 검은 돈을 받아 구속된 바 있기 때문이다.
배울 만큼 배운 사람이 오죽했으면 그 질기다는 목숨을 스스로 끊었을까! 연민도 생기지만, 초·중등 교육계 비리뿐 아니라 대학의 교수임용비리, 특히 금품수수에 대해서 혁명적 수준의 척결이 필요함을 환기시키는 시간강사 자살사건이 아닌가 한다.
서씨의 유서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이 있다. 12년 전 전남 6천만 원, 두 달 전 경기도 한 사립대학에서 1억 원을 교수임용 대가로 요구받았다는 내용이다. 그것은 10년 넘게, 그러니까 그 동안 언론 보도로 간간이 불거진 바 있지만 그때뿐, 교수임용시 계속 금품이 오갔음을 반증한다.
잊을 만하면 터져나오는 대학의 교수임용 금품수수사건은, 우선 국민에겐 심한 불신, 박사급 인재들에겐 상대적 박탈감을 갖게 한다. ‘저 사람도 돈쓰고 교수가 된 것인가’, ‘검은 돈을 쓰지 않아 탈락한 것이구나’라는 생각 따위가 그것이다.
그러고보면 대학교수라는 자들은 사회정의나 학자적 양심이라곤 없는, 그냥 거래꾼일 뿐이다. 적어도 돈주고 교수가 된 이들은 그렇지 않은가? 그렇게 돈으로 교수직을 사고도 학생들을 어떻게 대하고 가르치는지 그 배짱과 이중성이 놀라울 뿐이다.
그 연장선에서 과연 교수임용시 금품수수가 일부 대학만의 일이겠느냐는 의구심이 떠나질 않는다. 확인할 길은 없지만, ‘4년제 대학은 1억, 전문대는 5천만 원’ 어쩌구 하는 말이 떠돈지도 이미 오래이다. 그것은 서씨의 유서를 통해서 다시 사실로 확인되었다.
그러지 않는 대학이 더 많다해도 그런 말들이 떠도는 자체가 문제이다. 대학의 교수임용 비리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절실한 이유다. 교과부는 “사학의 자율성을 존중해 검찰수사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을 때만 감사에 들어가는”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나야 한다.
차제에 전국 대학의 교수임용 실태를 대대적으로 감사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교수임용에 따른 검은돈 수수가 드러나면 일벌백계로 처벌해야 한다. 대학 측은 물론이고 돈을 건네고 임용된 교수들도 자격을 박탈하는 등 파면 따위가 아닌 형사적 처벌이 그것이다. 가능하면 원조교제한 파렴치한처럼 명단공개도 생각해봄직하다.
시간강사 서씨의 자살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자연스런 관행처럼 아주 은밀하게 자행되는 대학의 교수임용에 따른 금품수수는 우리 사회의 슬픈 자화상이라해도 틀리지 않다. 정부가 강력한 의지를 갖고 없어지게 해야 맞다.
어렵게 공부하여 박사가 되고도 검은 돈을 줘야 대학교수가 될 수 있고, 그럴 돈이 없어 시간강사가 자살하는 사회라면 제대로 된 나라는 아니다. 도대체 언제까지 이 불신과 박탈감이 팽배해지는 교수임용 금품수수사건을 접하며 살아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