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내가 먼저 왔어.” “아냐, 내가 먼저 왔단 말야.” “얘들아, 또 누가 새치기 하지? 차례대로 줄을 서야지.” “선생님, 오늘은 제 자리에 앉아서 드세요.” “응, 그래. 오늘은 어디에 앉아야지.” “여기요, 여기”
서로들 먼저 왔다고 줄서기부터 실랑이가 벌어지고 자기 자리에 앉으라고 아우성이다. 이것은 우리 반 급식 시간의 진풍경이다. 급식 시간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고기, 튀김, 소시지 같은 반찬을 자기네들에게 나눠주니까 그것을 조금이라도 더 얻어먹으려고 나를 자기들 자리에 앉히려고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학교 급식사고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더구나 6.2 지방 선거에서 진보 교육감이나 보수 교육감은 물론 일부 정치인들도 선거 공약으로 무상급식을 거론하는 등 연일 사회면의 최대 이슈가 학교 급식 문제였다. 그만큼 학교 급식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자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학부모 단체들은 식중독 사고가 일어날 때마다 학교 급식을 최대의 사회 및 교육 문제로 거론하고 이에 여론이 가세하여 여지없이 신문의 사설 내용으로는 학교 급식 문제에 대한 논평이 실린다.
초등학교 교사로서 급식 시간만 되면 다른 때와는 달리 ‘우리 아이들 중에 혹시 식중독은 걸리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지난 여름 방학 때 농업 박물관에서 유초중고 교사를 대상으로 연천 전곡리 구석기 시대 유적지와 김치공장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공장장님께서 김치를 담그기까지의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을 해주셨는데 정말 집에서 담가서 먹는 김치보다 훨씬 더 청결하고 갖은 양념도 많이 들어가서 우리 김치에 대한 믿음이 갔고 기분이 좋았었다.
그런데 김치 공장을 나오면서 씁쓸한 기분을 감출 수 없었다. 학교 급식 시간에 매일 먹는 김치의 가격이 궁금해서 물어봤더니 일반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가격에 비해 단가를 맞추다보니 양념이나 다른 재료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담당자 분의 말도 일리는 있지만 아이들이 매일 먹는 급식이 일반인들이 먹는 것에 비해 그 질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동안 위탁 급식을 하는 학교에서 많은 문제가 있어왔다. 일부 급식업체는 자신들이 학교에 투자한 시설비와 이윤 등을 고려하여 불법, 편법적인 방법으로 급식을 운영해왔다. 수입농산물을 싼 가격에 대량 구입하여 장기 보관을 위해 다양한 화학물질이 첨가되어 식자재 자체가 건강에 치명적인 위협을 줄 수 있었다. 더구나 한 업체가 여러 학교와 계약을 하여 동일한 식단과 식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식중독 사고가 대형화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한 학교만을 위탁운영해서는 손익이 맞지 않기 때문에 여러 학교와 무리하게 계약을 유지하려고 학교장을 상대로 로비를 벌이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위탁급식의 폐단을 없애고 식중독 사고를 없애기 위해서는 단위학교별로 직영급식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급식의 위생 및 안전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 단위 학교의 경우 급식에 필요한 식재료와 우유 등을 납품하는 업체 선정을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시행하고 있다. 우리 학교에도 학교운영위원회 내에 급식소위원회라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 운영위원과 관심 있는 학부모께서 자주 식자재의 위생 및 안전을 점검하고 있다. 그 후로 학교 급식에 대한 믿음도 더 가고 급식을 먹을 때도 안전하고 깨끗하다는 선입견이 들어 참 기분이 좋았다. 현재 급식 전담인력이 부족하여 사전, 사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급식을 시행하는 학교나 각 기관별로 이러한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급식의 질을 높이고 안전을 위해서 보다 더 적극적인 생각을 해보면 위생관리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예산상의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시행하기 어려운 점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양질의 급식을 제공하기 위해 시설비와 운영비에 대한 별도의 재원을 마련하여 대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급식비를 좀 더 상향 조정하더라도 양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학교의 실정에 맞게 학교급식 운영계획을 수립하여 학생들에게 질 좋은 급식을 제공해야 한다.
재정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행정적인 측면에서도 급식업체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 현재 일반 식품이 각 시·도의 위생과에서 감독을 하고 있지만 학교급식소의 지도점검은 지역교육청이 맡고 있어 위생 감시 상태가 허술한 실정이다. 더구나 도시락을 납품하는 도시락 제조업체의 경우 대부분 그 시설이나 규모가 매우 영세하여 위생상태가 불량하여 식중독 사고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급식업체에 대한 지도, 감독을 강화하고 업체선정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해야 한다.
이러한 전반적인 시스템이 잘 구축되고 학교 급식에 대한 깊은 애정과 관심을 가진다면 학생들에게 보다 양질의 급식이 제공되어 국민건강 증진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아이들이 안심하고 급식을 먹을 수 있는 날이 하루 빨리 왔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