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맑음동두천 29.0℃
  • 맑음강릉 29.3℃
  • 맑음서울 30.0℃
  • 맑음대전 31.6℃
  • 맑음대구 32.9℃
  • 구름조금울산 25.1℃
  • 흐림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5.4℃
  • 구름많음고창 27.3℃
  • 흐림제주 25.8℃
  • 맑음강화 26.2℃
  • 맑음보은 30.5℃
  • 구름조금금산 29.7℃
  • 구름많음강진군 26.3℃
  • 구름많음경주시 27.9℃
  • 구름조금거제 24.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우리교육, 지금 위기탈출이 급하다

요즘 세상일을 보면 나라가 제대로 돌아가는 것이 하나도 없다는 생각이다. 그 중에서도 우리교육은 전반적으로 위기에 처한 것 같아 걱정이 앞선다. 나라밖에선 한국교육을 배우고 본받자는 칭찬의 말이 많지만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청년실업과 대학 반값 등록금, 친전교조 교육감과 학생인권조례 등 교육과 관련된 문제는 학교내의 또 다른 갈등으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지금까지 교육은 교사가 주도적으로 학생을 교육해 왔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교육이 경제 논리가 도입되면서 교육수요자란 이름으로 교육의 주체로써 자리 잡게 되었면서 학생과 학부모의 목소리가 커지게 되었다. 그래서 요즘은 교육이 학생중심의 교육을 넘어 배움학습으로 교수법까지 대 전환기를 맞고 있다.

우리는 요즘처럼 교육의 어려움을 겪은 시기도 일찍이 없었다. 모름지기 교육은 불안과 혼란보다는 안정되고 조용한 환경 속에서 깊게 생각하고 몰입해야 교육성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교육이 사회의 문제로 대두된다는 것은 그 만큼 교육이 중요하고 시급한 당면 과제임은 인정하지만 온 나라가 교육문제로 시끄럽다는 것은 다시 한 번 위기의식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우리나라는 그야말로 모든 국민이 교육의 전문가다. 특히 학부모가 자녀교육에 관심이 큰 것도 원인이지만 교육이 인간의 삶에 중요한 역할임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목소리에 묻혀 진짜 교육 전문가는 제대로 된 교육정책을 펴지 못하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교육은 교육 본연의 철학과 이론이 존재한다. 이러한 본질적인 교육은 교육 전문가들의 생각과 가치, 그리고 논리를 존중해야 올바른 교육정책이 이루어져 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우리교육은 정치적인 외압과 국민들의 여론에 너무 휘둘리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교총보도에 의하면 교사 97%가 "수업 중 문제 학생 일부러 피한다"는 내용이다. 한 마디로 교육권의 포기다. 교사가 학생을 가르치는 교육권을 포기한다면 교사의 임무를 저버리는 교사 포기인 것이다. 참으로 걱정되는 현실이다. 교사가 교육권을 포기한다면  문제학생 지도는 누가한다는 것인가. 이 같은 사태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시·도교육청의 일관성 없는 교육정책으로 일선학교만 혼란을 겪게 되는 것이다.  

학생지도는 교사에게 맡겨야 한다. 교원자격증은 가진 교사만이 교육의 검증된 전문가임을 인정하고 믿어야 한다. 만약에 의사 선생님의 진료가 국민의 여론이나 정치적인 압력에 따라 진료와 치료방법이 달라진다면 환자의 질병상태는 어떻게 되겠는가.

요즘 교사들은 우리교육의 위기를 학교현장에서 생생히 체험하고 있다. 교육정책자들은 우리교육의 진정한 교육이 무엇인지를 깨닫고 그 본질을 회복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정치인의 한마디에 우리교육이 온통 쑥대밭이 되는 현실에서는 올바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다.

그러므로 진정한 교육을 위한 정책에 반하는 교육정책은 과감히 개혁되어야 한다. 특히 교사의 업무는 정책과는 달리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고 있다. 그 대부분은 교육 외적인 정치인들의 국정감사 자료 제출이다. 이러한 감사 자료는 시도 때도 없이 항상 '긴급'으로 교사의 일상적인 교수활동까지 마비시킬 정도이다.

학교장의 중심의 학교경영, 책임경영, 자율경영은 말 그대로 이름뿐인 정책이다. 지금의 교육정책 하에서는 학교의 창의적인 자율경영은 할 수도 없지만 해서도 안 된다. 오직 주어진 내용과 과정으로 따라야 할 뿐이다. 설사 자율적인 학교경영을 했다면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철저한 검증방법인 감사를 받아야 한다. 그렇다면 누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정말 답답한 일이다.

교육은 믿음과 신뢰에서 출발해야 한다. 조그마한 교육비리가 온통 우리나라 전체의 교육현실인 것처럼 보도하는 우리의 언론도 문제이다. 물론 교육은 다른 어떤 업무보다 높은 도덕성과 청렴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공룡처럼 거대한 교육조직에선 작은 문제들이 없을 순 없는 일이다. 이러한 사실로 모든 교사들이 범죄자인 것처럼 호도되는 것은 교사의 자존심마져 상하게 한다.

우리 교육이 국가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한다면 교사들에게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용기를 주어야 한다. 교사의 소명감을 일깨우고, 자율성과 책임감으로 학생들에게 희망의 교육을 심을 수 있는 국민적인 합의의 힘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교육의 힘은 오직 교사의 존중과 존경 그리고 사기진작인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교육의 위기를 탈출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인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