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초등학교 6학년 시절, 선생님 말씀 중에 창밖을 내다보며 고개를 끄덕였다는 이유로 방과후에 남아서, 친구의 부축을 받을 정도로 매를 맞았던 경험이 있다. 그것은 분명 아픈 기억이었으며 지금까지 잊혀지지 않는 상처라면 상처일 수 있다.
지금 학교 일선에선 체벌 금지와 학생 인권존중이 대세인 듯하다. 그것에 대해 기본적으로 반대할 뜻은 없다. 그것이 교육적으로 바람직하다면 표를 의식하여 그러한 공약을 내세워 당선되었다고 해도 그것을 탓하고 싶지는 않다.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체벌이냐, 체벌 금지냐가 아니라 바로 교육(敎育), 가르침과 배움, 교육(敎育)은 무엇인가 하는 본질적인 물음이다. 가르친다는 것과 배움은 여러 가지 측면이 있겠지만 여기서 논하고자 하는 것은 교육의 대상이 우선 '사람'이며, 방법적으로는 '말을 하고 듣고 행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학생의 인권은 당연히 존중되어야 한다. 그에 앞서야 할 조건으로 학생과 교사간 어느 한 쪽 일방적인 아닌 상호 인격 존중이 되어야 할 것이다. 학생 인권존중이라고 해서 상대적으로 '교사의 인권은 무시되어도 된다'고는 아무리 학생 인권을 부르짖는 사람일지라도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우선, 교사와 학생, 누구의 인격을 더 존중해야 하는가를 따지기 보다 동등하게 존중되어야 한다고 본다. 전문가인 교사가 학생을 당연히 존중하고 이성적으로 대하여야 하나 교사도 감정이 있는 사람인만큼 때로 감정적일 수 있다.
이성적인지 못한 체벌, 그러한 감정적 대응 방법은 당연히 척결되어야 하고 그러한 교사의 행동은 지탄 받아야 한다. 다만 대다수 학생들이 그러하듯, 교사의 가르침을 잘 듣고 따르다면 누가 나무라고, 화를 내며 감정을 드러낼 교사가 어디 있겠는가. 교사의 기본적인 인격마저 무시하고 가르침에 의도적으로 학생이 듣지 않고 따르지 않았을 때, 교사는 당연히 학생의 잘못에 대해서 지적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교사의 가르침을 일방적으로 듣지 않고, 수업 진행을 방해하고, 남을 괴롭히고, 폭력을 휘두르며, 존중되어야 할 교사의 인격조차 무시했다면, 가르치고 배우는 교실의 기본적인 질서가 무너진 것 아닌가.
실제로 작금의 사회적 시각은 다른 정당한 교사의 입지마저 약화시킬 정도로 그러한 상황에 대해 지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철없는 학생은 그렇다하고 성인인 학부모가 동조하는 것에 교사가 당하는 것이 억울해서가 아니라 그렇게 하는 것이 과연 자기 자녀를 위하는 일인지 묻고 싶다.
기존의 사회에서 이성을 갖고 있는 성인들도 죄를 지으면 그에 적법한 벌을 주지 않는가. 그와 마찬가지로 학교에서 교실 학습 분위기를 해치고, 남에게 피해를 주고, 폭력을 휘두르는 학생들에 대해 그에 따르는 적절한 제재조치는 당연히 있어야 한다. 사회에서 그러한 학생들의 일탈 행동에 대해서 어떠한 물리적 정신적 제제도 하지 말라는 것은교 교육을 포기하라는 것과 다르지 않다.
작금에 교사의 주의와 지시를 무시했고, 남의 핸드폰을 빼앗은 원인 행위에 대해서는 책임을 묻지 않고 단지 '30 초 엎드려 팔 굽혀 펴기' 기합을 준 교사는 징계위원회까지 열어 징계하고, 학생들 앞에서 교사를 폭행한 학생은 다른 학교 전학조치로 간단히 마무리되는 현 사회적 정서는 정말 우리 교육의 미래가, 우리나라가 어디로 갈 것인지 심히 염려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