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6.1℃
  • 흐림강릉 11.5℃
  • 서울 17.6℃
  • 대전 17.7℃
  • 대구 17.5℃
  • 울산 17.0℃
  • 흐림광주 19.5℃
  • 부산 17.3℃
  • 흐림고창 19.1℃
  • 구름많음제주 21.6℃
  • 흐림강화 14.9℃
  • 흐림보은 16.4℃
  • 흐림금산 17.1℃
  • 흐림강진군 18.7℃
  • 흐림경주시 19.0℃
  • 흐림거제 17.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교내 시상품, 온누리상품권으로 하자

 보도에 따르면 시장진흥원에서 집계한 설 명절(2011.12.12~2012.1.20) 기간 온누리상품권 판매액은 507억 원이었다. 이 중 전북은 26억 원으로 나타났다. 26억 원은 지난 해 17억 원보다 53% 증가한 액수다. 이는 공공기관, 기업체 등에서 적극적으로 온누리상품권 구매에 나섰기 때문이다. 남원시는 지난해 판매액이 10억 9백만 원에 이른다.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은 4억 1천만 원의 온누리상품권을 구입해 직원들에게 설 명절에 나눠줬다.

설 명절 온누리상품권 구매는 비단 어느 특정 지자체나 기업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전국적 현상이다. 예컨대 포항시는 6000만 원어치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했다. 포스코는 ‘국가기업’답게 무려 17억 원어치를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전통시장 수요진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온누리상품권이 2년이 되도록 제 구실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홍보부족과 사용불편 때문에 애물단지로 전락한 것”이라는 지적이 그것이다.

경향신문(2011.1.16) 보도에 따르면 실제 한 전통시장 상인은 “상품권을 선물로 받는 직장인이나 공무원들이나 알지 일반인들은 거의 모를 것”이라며 “명절에만 잠깐 상품권이 풀리고 평소에는 거의 쓰는 사람이 없다”고 말했다. 요컨대 설이나 추석 같은 명절에 반짝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지난 해 발행된 온누리상품권 1300억 원어치도 롯데나 신세계백화점 상품권 판매액 1조 5000억 원어치에 비하면 채 10%가 안되는 수준이다. 

조선일보(2012.1.26) 보도에 따르면 2003년 이후 7년 사이에 전통시장 178곳이 문을 닫고 기업형 수퍼는 695개가 늘었다. 1695곳이던 전통시장이 1517곳으로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지난 설을 전후해 지자체나 기업체 등의 온누리상품권 구매 사실 신문기사를 보며 흐뭇해하던 때와 다른 결과여서 의아스럽다. 안타까울 따름이다. 그런 기사들을 접하면서 생각해본다. 교내 시상품을 온누리상품권으로 하자는 것이다. 각 시·도교육청에서 어떻게 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전북의 경우 백일장 등 교내 어떤 대회도 문화상품권으로 시상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지난해 교육청 지시 이후 그대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연전에 터진 ‘바다이야기’ 사건이 얼핏 스쳐갔지만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할 일이 벌어진 셈이다. 
 
자연 수면양말, 스타킹, 노트 따위를 부상으로 주는 일들이 각종 교내대회 후 시상식에서 벌어지고 있다. 책이라면 그럴 듯하지만, 값이 보통 1만 원 정도 하는 터라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그래도 교육감이나 지자체장 상처럼 부상 없이 상장만 달랑 주는 것보다 낫다고 위안해야 하는가. 어째서 문화상품권을 교내 시상품으로 못주게 하는지 자세히 알지 못하지만, 온누리상품권은 다를 것 같다. 오로지 전통시장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상품권이기 때문이다. 게임에 사용하는 등 유해성이 전혀 없는 ‘청정성’이 보장된 것이 온누리상품권이라고나 할까.

전통시장 활성화에다가 부모에 대한 효도 등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온누리상품권의 교내 시상품은 적극 검토해볼만하다. 무엇보다도 상을 받은 학생 홀로 부모 몰래 다른 ‘나쁜 짓’에 쓸 수 없는 온누리상품권이기 때문이다. 전통시장을 살리는데 교과부나 각 시·도교육청이 동참한다는 의미도 더해질 수 있을 것이다. 전국 각급 학교에서 교내 시상품을 온누리상품권으로 한다면 지자체나 기업 등이 앞장서서 생기는 명절 때의 반짝 판매라든가 일반인들의 전통시장 무관심도 상당량 극복될 것으로 보인다. 

교내 시상품, 온누리상품권으로 하자.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