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서 ‘설레임’이라는 단어를 많이 본다. 이 단어는 ‘설레다’라는 동사에서 만든 말이다. 하지만 이 표현은 틀린 말이다. ‘설렘’이라고 해야 한다. 우선 ‘설레다’를 사전에서 검색하면
‘설레다’
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들떠서 두근거리다.
- 내일 배낭여행을 떠난다는 생각에 마음이 설레어서 잠이 오지 않는다.
- 그를 만나러 갈 생각에 벌써부터 마음이 설렌다.
‘설레다’는 외부적인 자극이나 영향에 의해 작용하는 심리적 반응이다. 이를 표준어로 정한 것은, 발음이 비슷한 형태 여럿이 아무런 의미 차이가 없이 함께 쓰일 때에는, 그 중 널리 쓰이는 한 가지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도록 한 규정에 따른 것이다. 곧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면 오히려 혼란을 일으키기 쉽다고 보아서 단수 표준어로 처리하여, ‘설레이다’는 버리고 ‘설레다’를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표준어 규정 제2장 제4절 제17항).
‘설레이다’가 잘못된 표현이므로 ‘셀레임’은 바르지 않은 단어다. 이를 명사형으로 만들 때는 어간에 그대로 명사 파생접사 ‘-ㅁ’을 붙이면 된다. ‘설렘’이다. ‘설레이다’를 쓰면서 ‘이’가 피동 혹은 사동 접사라고 우기는 사람이 있다. 사동사나 피동사는 모두 사전에 등재되어 있다. ‘설레이다’는 사전에 없는데, 임의로 만들어 쓰는 것은 곤란하다. 이 단어를 굳이 피동이나 사동으로 사용하고자 하면 ‘-게 하다’나 ‘-어지다’ 구성으로 하면 된다.
우리말은 용언을 활용해 명사형이나 파생명사를 만든다. 이때 어미나 접사가 쓰이는 일반적인 환경은 다음과 같다. 먼저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이나 어미 ‘-었-’, ‘-겠-’ 뒤에는 명사형 어미로 ‘-음’을 쓴다. ‘읽음, 엮음, 웃음, 있음, 높음, 좋음’이다. 단, ㅅ받침으로 끝나는 어간은 지음(짓다), 나음(낫다), 이음(잇다)처럼 ㅅ이 탈락하기도 하며, ㄷ받침으로 끝나는 어간은 걸음(걷다), 물음(묻다), 실음(싣다)처럼 ㄷ이 ㄹ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ㅂ받침으로 끝나는 어간은 ㅂ이 빠지는 대신 ‘우’가 붙은 후에(‘곱다’->고우니) ‘음’과 결합하여 명사형이 ‘~움’형태가 되기도 한다. ‘고움(곱다), 고마움(고맙다), 아름다움(아름답다)’이 그 예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는 ‘-ㅁ’을 쓴다. ‘감(가다), 삼(사다), 구름(구르다), 흐름(흐르다), 씀(쓰다)’이 있다. ‘낯설다, 거칠다, 줄다, 알다, 만들다, 갈다, 흔들다, 베풀다’는 형태가 어색해서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단어들도 ‘-ㅁ’이 붙어서 ‘낯섦, 거칢, 줆, 앎, 만듦, 갊, 흔듦, 베풂’의 형태로 활용한다. 다시 말해 어간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주의할 것이 있다. ‘살다/알다’의 경우 파생 명사로 ‘삶/앎’이 쓰인다. 이는 사전에도 있는 단어다. 그러나 ‘졸다/울다’의 경우는 ‘졸음/울음’이 사전에 올라 있다. 실제로 이 표현을 널리 쓴다. 하지만 이를 파생 명사나 명사형으로 굳이 쓰고자 한다면, ‘졺, 욺’으로 표기해야 한다. 형용사 ‘섧다’의 명사형은 ‘설움’으로 파생 명사와 그 형태가 같으며, ‘서럽다’의 명사형도 ‘서러움’으로 파생 명사 ‘서러움’과 같다. 명사 ‘서러움’은 ‘나라 잃은 서러움이 무엇인지 안다.’와 같이 문장에서 체언으로서의 기능을 나타내며, 형용사 ‘서럽다’의 명사형 ‘서러움’은 ‘나라를 잃어서 참으로 서러움.’과 같이 문장에서 용언으로서의 기능을 나타낸다.
파생 접미사와 명사형 전성 어미는 문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구별한다. 일반적으로 주어가 있거나, 서술성이 있거나, 부사의 수식을 받거나, 선어말 어미가 쓰일 수 있으면 명사형 전성 어미이고, 이것들이 모두 불가능하면 파생명사이다. 이 구분 기준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서술성 유무의 기준이다. 공문서 등에서 개조식 문장(간결형 문장)을 많이 사용한다. 예를 들어 ‘~ 승인함, ~ 작성함, ~이 필요함’이다. 이렇게 맺을 때 온점을 찍어야 하는지 혹은 생략하는지 헷갈린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때도 점을 찍어야 한다.
문장 부호 규정에 따르면 온점은 ‘문장의 종결’에 쓰인다. 여기서 ‘문장’은 생각이나 감정을 말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로서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때로 이런 것이 생략될 수도 있다(“뭐 먹었어?” “밥.”), 독립어(감탄사, 부르는 말, 대답하는 말 등)만으로도 성립이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 승인함, ~ 작성함, ~이 필요함’도 명사형으로 간결하게 종결짓긴 했지만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다. 즉 온전한 문장이다. 따라서 문장에 준하여 온점을 찍어야 한다. ‘~하는 것임’의 경우도 ‘것’ 뒤에 서술격 조사 ‘이다’가 결합되어 서술어 구실을 하는 말의 명사형이므로 역시 온점을 찍어야 한다. ‘~ 등’의 경우는 서술어로 종결된 경우도 아니고 생략된 경우나 독립어인 경우로 보기도 어려우므로 온점을 찍을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