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맑음동두천 29.0℃
  • 맑음강릉 29.3℃
  • 맑음서울 30.0℃
  • 맑음대전 31.6℃
  • 맑음대구 32.9℃
  • 구름조금울산 25.1℃
  • 흐림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5.4℃
  • 구름많음고창 27.3℃
  • 흐림제주 25.8℃
  • 맑음강화 26.2℃
  • 맑음보은 30.5℃
  • 구름조금금산 29.7℃
  • 구름많음강진군 26.3℃
  • 구름많음경주시 27.9℃
  • 구름조금거제 24.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신세대 교사는 이제 학교조직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명석한 두뇌와 빠른 판단력, 그리고 SNS의 높은 활용은 학교조직 성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신세대 교사들의 잠재적인 교육역량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면, 학교조직의 새로운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요즘 40-50대 교원들이라면 모두가 겪은 고통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세상을 만드는 스마트한 기기들이다. 이들도 20-30년 전에는 최첨단을 자랑하는 신세대였다. 그러나 나이가 들고 세상이 변하니 점점 밀러나는 것이 빠른 소통방식에 대한 무능이다. 50-60대가 최신 스마트폰을 사면 몇 주정도는 수 십번을 후회한다고 한다. 기기를 익히는데 편리함보다 스트레스를 더 받는다. 물론 열심히 따라잡기를 하는 열성적인 경력자는 뒤처지지 않고 앞을 달리고 있다.
 
요즘 각 세대들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각기 다르다. 60대 이상은 “만나서 이야기 하세”, 50대 베이비부머세대는 “전화 해”, 30~40대 X세대는 “이메일로 보내”, 20~30대 Y세대는 “문자로 보내”, 20대 초중반 밀레니얼세대는 “트위터에서 보자” 라는 것이다. 그 내용의 핵심은 IT 친숙성 측면에서 세대별 소통 방식의 차이를 기술한 것이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에 실린 ‘How Gen Y & Boomers will reshape your agenda(2009)’라는 글에서는 Y세대는 성공하고자 하는 야심이 크고 모험심이 강하며, 다양한 문화와 인간관계에 적응력이 높은 반면, 베이비부머 세대는 ‘나’보다는 ‘우리’를 중심으로 생각하고, 가족에 대한 책임감이 높으며 지속적으로 일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다고 Y세대와 베이비부머 세대의 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이러한 세대 차이는 그저 ‘다르다’라고 생각만 할 이슈는 아니다. 특히 여러 세대들이 함께 모여 일하며 ‘교육성과’를 내야 하는 학교조직으로서는 더욱 세대 차이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세대 차이는 학교구성원간 커뮤니케이션, 회의 등 업무과정에서 새로운 갈등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학교조직에선 늘 교사와 학생간의 세대차를 자주 얘기하곤 했지만 이젠 교사간의 세대차를 다시 생각해 봐야할 때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는 연륜과 경륜을 존경시하고 우대해 왔다. 내가 당신보다 나이가 많으니깐, 선배니깐, 경력이 많으니깐 등등으로 대접을 받고 큰소리도 쳐 왔다. 그러나 이젠 변했다. 많이 변했다. 이들을 핑계로 큰소리도, 대접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모르는 것은 배워야 한다. 물어서, 아니면 밥을 사주고서라도 알아야 하는 세상이다. 즉 선배들로부터 한 수 배우기가 아닌 신세대 교사 따라 잡기가 필요한 것이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 웹 기반의 새로운 프로그램들을 신세대들로 배우는 '디지털 역멘토링(Digital Reverse Mentoring)' 제도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세대 차이, 이해를 넘어 학교조직 인력관리가 필요하다. 갈수록 신세대 교사들이 늘어나고 신세대 내에서도 또 다른 하위 세대들이 형성될 정도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세대의 특성을 잘 파악함과 동시에, 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활용함으로써 학교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것은 오늘날 학교조직이 당면한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