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23.1℃
  • 맑음강릉 23.0℃
  • 맑음서울 22.1℃
  • 맑음대전 22.1℃
  • 맑음대구 22.4℃
  • 맑음울산 19.9℃
  • 맑음광주 21.1℃
  • 맑음부산 18.8℃
  • 구름조금고창 21.0℃
  • 맑음제주 17.4℃
  • 맑음강화 17.3℃
  • 맑음보은 22.6℃
  • 맑음금산 22.6℃
  • 맑음강진군 21.6℃
  • 맑음경주시 23.0℃
  • 맑음거제 20.4℃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요즘 탈북청소년 교육 강화해야

요즘 우리는 연일 북한의 전쟁위협 속에 마음 조리며 생활하고 있다. 일촉즉발의 위기에서도 대부분의 국민들은 크게 동요없이 일상생활을 하는 것을 보고 외국인들은 한국 사람들 참 독하다는 생각을 한다는 것이다. 일부 외국인들은 전쟁위협으로 인해 이미 자국으로 돌아갔다는 얘기까지 나돌고 있다. 이렇게 분단의 현실을 직시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북한의 전쟁위협과 협박은 이번만은 아니지만 그래도 이번에는 그 수준이 그야말로 극한에 이른 것이다. 언어적 위협도 더 이상 말로 담을 수 없을 정도이며 국내 체류 중인 외국인들의 안전까지 거론하고 있다. 같은 동족이라는 생각이 더 이상 들이 않을 정도다.

이러한 국내 상황에서 국내에 들어온 탈북청소년들의 마음을 어떠할까.‘하는 것이다. 또한 북한의 돌발적인 행동에 부담을 느끼고, 우리들의 잘못된 타룩자의 인식으로 인해 더 이상 적응과 정착을 못하고 다시 이방인으로 한국을 떠나지나 않을까 염려스럽다.

한국교육개발원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김신희 연구원이 경남대 북한대학원에 낸 '탈북청소년의 시민성 연구'라는 박사학위 논문에 따르면 탈북청소년 287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6.9%(106명)가 '한국을 떠나 다른 나라에서 살고 싶다'는 질문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또 '한국에 살고 있는 것에 대해 자부심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한국은 다른 나라보다 살기 좋은 나라다'라는 질문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각각 16.3%와 15.7%로 나타났다.

김 연구원은 이같이 탈북청소년의 국가 정체성이 약한 것은 우리 사회가 탈북청소년을 지원의 수혜자와 북한 연구를 위한 대상으로 바라봄으로써 그들이 차별받고 있다거나 배제되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탈북자를 같은 국민으로 인정하지 않는 우리 국민의 포용성 부족도 탈북청소년의 국가 정체성을 약하게 만드는 이유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반면 '한국을 매우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가 이룩한 발전에 대해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는 질문에 동의한 응답자는 각각 84%와 89.2%로 나타났다. 김 연구원은 "북한이탈주민은 국가 정체성이 약한 반면 민족 정체성이 강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탈북청소년도 우리 사회의 정치경제적 현실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우리나라에 대한 소속감과 정체성을 충분히 느끼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요즘과 같은 시기에 우리 이웃에 있는 이들에게 보다 따뜻한 마음으로 바라보고 함께 걱정하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북한의 위협 행동에 혹여 이들의 마음에 상처가 되지 않도록 하는 폭 넓고 여유 있는 배려와 포용이 필요하다.

사실 탈북청소년들이 느끼는 북한에 대한 감정은 우리가 느끼는 증오심보다 몇 배 더할 것이다. 이들이 진정한 한국인으로 소속감과 정체성을 가질 수 있느냐는 우리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 같은 민족이면서도 탈북자라는 이유만으로 우리 사회의 이방인이 돼서는 안 되며, 이들이 다시 제 3국을 택하는 것은 우리의 잘못된 의식이 빗어낸 결과임에는 틀림없다.

국내 거주 외국인 100만 명 시대다. 이제 우리는 다문화의 시대가 펼쳐진 셈이다. 문화적 차이로 다문화 가정 어려움 있고, 갈등도 존재하지만 탈북자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한다. 탈북자는 외국인이 아니다. 단지 북한 사회가 싫어서 택한 우리 사회이므로 우리가 따뜻하게 맞이해 주어야 한다.

요즘과 같은 시기에 일반 학생들의 탈북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편견을 해소하는 학교교육을 함께 이 위기를 넘겨야 한다. 특히 탈북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지도로 사회적응력을 높이고, 교과과정 및 수업에 탈북청소년 이해와 관련된 요소를 적용해 모든 학생들이 탈북청소년을 이해해 우정과 형제애를 돈독히 해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