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흐림동두천 24.7℃
  • 구름많음강릉 24.0℃
  • 흐림서울 26.0℃
  • 흐림대전 25.5℃
  • 흐림대구 24.5℃
  • 구름많음울산 21.9℃
  • 흐림광주 24.6℃
  • 흐림부산 22.8℃
  • 흐림고창 24.6℃
  • 흐림제주 24.7℃
  • 흐림강화 21.4℃
  • 흐림보은 23.3℃
  • 흐림금산 25.2℃
  • 흐림강진군 23.6℃
  • 구름많음경주시 22.3℃
  • 흐림거제 23.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요즘 돈으로 초등학생들의 숙제를 대행해 주는 인터넷 '과제 대행'이 판을 치고 있다는 기사를 읽고 한마디로 어이없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수요자가 있기에 숙제 대행의 얄팍한 상술이 되었는지는 모르지만 어린 초등학생들의 장래를 생각해서도 도의적, 도덕적으로도 이렇게 해선 안 된다.

숙제는 학생들의 자율적인 공부의 한 방법으로 학교에서 배운 것의 복습과 예습 및 과외 학습을 목적으로 교사가 내 주는 과제다. 분명한 것은 학생 스스로 실천해야 하는 공부다. 여기에는 학부모도 대신할 수 없으며, 또 대신해 주어도 숙제의 목적에 맞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수행해야 할 숙제를 부모도 아닌 대행사가 한다는 것은 학생들의 공부를 포기하게 한 것과 다름없는 일이다.

사실 요즘 초등학교 교육과정이 해를 해서 바뀌면서 그 내용이 점점 어렵고 까다로운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인지 많은 학부모들은 과거 자신들이 공부한 내용으로는 초등학교 자녀들의 공부도 제대로 도와줄 수 없다고 불평을 하고 있는 것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숙제 대행사에 맡기는 것이 더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모 기사의 사례를 인용하면, 이모(41·여)씨는 지난 4월 초등학교 4학년 자녀의 미술 수행평가 때문에 고민에 빠졌다. 한지를 이용해 창의적이고 독특한 무늬의 책받침을 만들라는 과제였다. 10살짜리가 하기엔 만만찮은 과제였지만 아이가 유독 미술에 재능이 없다는 점이 마음에 걸렸다. 종종 아이 대신 과제를 해줬지만 이번 건은 이씨가 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직장에 다니는 이씨는 퇴근 뒤 밀린 집안일을 해야 했다. 이 과제를 대신할 시간도, 자신도 없었다. 이씨는 얼마 전 '미술 과제를 대행해준다'는 광고가 봤던 인터넷 카페를 떠올렸다. 이씨는 그 카페를 찾아 들어가 운영자에게 과제 내용과 주소, 마감 날짜 등을 보냈다. 가격표에 공지된 3만원을 송금하니 이틀 만에 과제가 집으로 배달됐다,는 내용이었다.

현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과제를 대신 해주는 전문 대행업자들이 온라인상에서 버젓이 활개를 치고 있다. 인터넷에 '숙제 대행'이란 카페나 블로그를 전문으로 운영하는 업체가 150여개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과제 대행의 주요 타깃은 손이 많이 가는 수행평가나 탐구 보고서들로 미술 과제나 가족신문 만들기, 과학 탐구 보고서 등이다.

이러한 과제 대행의 파행을 막기 위해서는 먼저 일선학교 교사들이 고민해야 한다. 과제수행 점검이나 평가에 대해 보다 엄격한 절차와 선별이 필요하다. 물론 대행사가 만든 과제의 선별은 다소 어렵지만 학생들의 수준이나 여건, 재료 등을 고려한다면 일부 시비는 일지 몰라도 충분히 가려내는 일도 가능하다고 할 수도 있다. 아울러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부과하는 과제의 내용수준이나 수행시간 등을 고려한 신중하고 다양한 과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학생 스스로 고민하고 수행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 있는 숙제가 학생들의 학교공부의 연장선이 되었으며 하는 바람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