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대표적인 교육공약중의 하나인 중학교 자유학기제 실시는 1년이 된 현재 어떻게 추진되는 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교육부에서는 자유학기제를 국정과제 66으로 선정하여 2013년 42개 중학교에서 연구학교를 실시하였으며, 2014년에도 40여개 중학교를 연구학교로 추가 지정하기도 하였다.
2013년도에 실시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성과를 교육부에서는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시범운영, 진로ㆍ체험활동의 확대를 통해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및 학업 흥미도가 상승하였다고 진단하고 있다.
학생 측면에서는 “다양한 체험활동과 협동학습으로 학교가 즐거워졌어요”라는 것으로 대표되듯이 학교생활 만족도가 (사전) 5점 만점에 3.34점에서 (사후) 3.72점으로 ( 42개 연구학교 학생 7,457명 대상 ) 높아졌다. 교원측면에서는 “교수. 학습이 개선되고, 학생들의 변화하는 모습에 보람을 느껴요”라는 것으로 대표된다.
교육부에서는 그 한계점도 제시하였는데 자유학기제로 인한 학력저하 가능성, 자유학기 이후 일반학기로의 적응 등에 대한 학부모 우려가 여전하다고 하였다. 학교생활 만족도는 교원(3.88) > 학생(3.85) > 학부모(3.45)로 나타난 것이 이를 반영하고 있다고 보아야 하겠다. 그 한 사례로 자유학기제는 1학년 2학기에만 시행되어, 2학년이 되어 다시 예전으로 돌아간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지 걱정됨(’13. 9월 00일보 학부모기고)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유학기제 희망학교는 대폭 확대되는 데 반해 학생 체험인프라는 부족한 실정도 한계로 지적하고 있다. 연구 희망학교는 약 600교(’14)에서 약 1,500교(’15)로 예상하는데 시도교육청에서 관내 중학교 전체를 자유학기제로 실시하는 경우도 있어 희망학교는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본다. 단위 학교차원의 체험처 발굴 등 교원의 업무 부담이 증가하고, 자유학기 학생체험활동에 필요한 예산 부담도 예상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교육부에서는 2014년에는 학생의 꿈끼 실현을 돕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확산 기반을 구축하려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 확대 운영(약 600교)을 통해 다른 중학교로 성공사례 확산 추진하려 하고 있다. ▲희망학교의 효율적인 운영 지원 및 전면 시행(‘16)에 대비하여, ‘교육지원청’ 주도로 지자체 등 지역사회와 연계한 지원체제를 구축하려 하고 있다. ▲자유학기 중 학생 참여수업, 동아리 진로탐색 활동 등을 일반학기와 연계 운영하고, 자유학기제 운영 성과 비교연구를 실시하려 하고 있다. ▲학생의 자유학기 활동 내역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여 중ㆍ고교 간 꿈·끼 교육활동을 연계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부의 정책이 잘 추진되어 2016년도에는 전국의 삼천여개 모든 중학교에서 차질없이 잘 이루어 지기를 바란다. 그러자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면에서 정책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자유학기제를 통하여 중학생들이 자신이 어떻게 살아야 하고, 앞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 자유학기제 원래 취지에 맞추어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24학기 중 한 학기를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 대한 부담없이 자신에 대한 이해, 미션, 비전설정, 인생목표, 인생계획수립등 본연의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겠다.
둘째, 42개 연구학교 교사들의 헌신적인 노력에 의한 성공한 사례만 분석할 것이 아니라 연구비도 없이, 자유학기제에 대하여 회의적인 교사에 이루어질 일반 중학교에서의 문제점에 대하여도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교사 한명(예를 들어 음악, 도덕 등의 과목교사들은 1학년 전체를 담당하면 수백명이 됨)이 수백명의 학생들에 대하여 서술형 형성평가를 하게 하는 어려움에 대한 분석과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하겠다.
셋째, 학부모에 대한 교육도 중요하지만 이를 실제로 담당할 중학교 교사에 대한 교육도 강화하여야 하겠다. 실제로 자유학기제를 추진하는 것은 중학교 1학년을 맡는 모든 교사이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한 자유학기제의 필요성과 효과 등에 대하여 더욱 심도있는 강의가 이루어져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