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맑음동두천 13.0℃
  • 구름조금강릉 10.1℃
  • 맑음서울 15.3℃
  • 맑음대전 16.2℃
  • 흐림대구 13.1℃
  • 흐림울산 11.5℃
  • 흐림광주 18.0℃
  • 흐림부산 13.1℃
  • 흐림고창 14.8℃
  • 맑음제주 17.9℃
  • 맑음강화 11.2℃
  • 맑음보은 15.0℃
  • 흐림금산 16.1℃
  • 흐림강진군 13.9℃
  • 흐림경주시 12.5℃
  • 흐림거제 12.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은희야, 오늘은 '세계 책의 날'이다

은희야, 오늘은 오늘은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책의 날(정식 명칭 :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World Book& Copyright Day)’이다. 스페인·프랑스·노르웨이·영국·일본 등 전 세계 80여개 국가에서 이날을 기념하고 있다. 스페인의 ‘세인트 조지 축제일’과 셰익스피어·세르반테스의 사망일에서 유래한 이날은 독서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독서 증진에 힘쓰고자 1995년 제정됐다.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부터 ‘책의 날’을 기념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정부, 출판계, 도서관, 독서단체가 함께 범국민적인 행사로 확대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서울 종로구 청계천 광장과 청계천로에서 ‘2014 세계 책의 날 기념 책과 장미가 흐르는 청계천 & 책드림 콘서트’를 개최한다. 작가와의 대담 및 사인회, 한국의 그림책 전시, 그림작가 현장 드로잉 전시, 체험 프로그램 등을 진행한다.

책이란 과거와 현재 왕래하면서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고인들과의 대화도 가능하고…. 가장 좋은 친구를 사귀는 기분이 들때가 있다. 그래서 오늘은 한 독서가를 소개하고자 한다. 내가 아는 이기대씨는 전형적인 ‘책벌레’였다. 그는 20대부터 한의원 약제사, 초·중·고교 과외선생, 통역 가이드, 중국소설 번역가 등 다양한 직업을 거쳐 공무원이 됐다.

어린시절 가난해서 책을 사볼 돈이 없었던 그는 학교 도서관에 파묻혀 살았다. 중학생 시절부터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독서의 흐름이 그렇더라고요. 동화, 소설, 철학, 종교서적 등으로 이어지면서 심층적인 영역에 관심이 생기게 되는 순간이 오죠.” 중학교 1,2학년 때 이미 <죄와 벌> <테스> <주홍글씨> <부활>등 고전소설을 즐겨 읽고 쇼펜하우어의 <자살론>, <니체 전집>,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등을 섭렵했다. “이미 그때부터 철학적인 마음의 갈구가 심화된 상태였던 것 같아요.”

고등학생 때부터는 유교 경전과 도교 경전을 탐독했다. 책은 모이고 쌓였다. 집안 책장으로 안 돼서 방까지 차고 넘치던 책은 빨래를 널 수도 없을 정도로 가득 찼다. 그는 결국 2000년 12월 4톤 트럭에 1만권을 채워 충북 진천의 이삿짐 보관센터창고로 보낸 뒤 14년째 보관료를 물고 있다니 얼마나 그가 책과 함께 사는가를 알 수 있다. 그의 탐독은 자연스레 외국어의 필요성을 느끼게 했다. 그는 중국어, 영어, 히브리어에 능통하다. 모두 원문을 읽기 위해서다. “원문으로 읽어서 느끼는 감동은 번역본과는 비교도 안 된다”고 말했다. <탈무드> 전질도 심층적으로 읽기 위해 원문으로 공부했다니  독서광을 넘어선 감이 없지 않다.

그런가 하면 성서만 수백 번 이상 읽었다. 그가 펼친 성경은 닳고 닳아 책장을 살짝만 잘못 넘겨도 찢어질 것 같았다. 누렇게 바랜 종이는 붉은 줄과 메모로 가득했다. “미칠 정도로 봤습니다. 완전히 몰입하지 않으면 안 되더라고요. 호흡을 하면 안 되는 것과도 같았지요.” 그는 독서도 그런 몰입의 일종이라고 했다. “독서를 어느 방에서 하느냐는 중요하지 않아요. 모든 책은 세계와 연결돼 있으니까요. 모든 인간은 궁극적으로 진리를 추구하게 돼요. 철학적인 용어로는 지혜라고 하지요. 어떻게 보면 문제의 해결점은 지혜에 있어요. 지혜를 통해 깨달음을 얻게 되니까요.”

이 씨에게 종교는 삶이다. 토라에 나오는 법은 매우 엄격하다. 몸, 음식, 교육 등 삶의 전반에 관련한 지침이 들어 있다. 토라에서는 채소, 과일 등의 곡식만 먹도록 하고 육식을 금한다. 술도 그렇다. 흙, 산성으로 된 몸에 산성인 술을 부으면 신과 멀어지게 된다. 토라의 가르침대로 사는 것은 그의 꿈이기도 하다.
 
“신의 자비와 사랑을 닮고 싶은 것이죠. 인간으로서 우리가 세상에 유익을 베푸는 것만큼 훌륭한 것은 없으니까요.” 그가 탐구하는 영역은 철학의 깊이를 뛰어넘은 지 오래인 듯했다. 과거에 머무를 것만 같은 그의 꿈은 누구보다 앞서 있고 원대해 보였다. 앞으로 너도 큰 꿈을 갖고 도전하여 보길 권한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