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은 홍보다. 민선 교육 자치시대를 맞이하여 홍보는 소통이다. 소통은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의견을 모아가는 것이다. 실제로 소통을 강조하지만 소통은 어렵다. 남자와 여자가 소통하는 것이 어려우며, 공무원과 비공무원간의 소통이 어렵고 교장과 교사간의 소통도 쉽지 않다.
역사는 실증주의적 관점과 해석이 중요하다는 관점이 있다. 역사는 쓰여지는 과정에서 편견이 있을 수 있으며, 누군가의 선택 과정에서 가치관이 들어간다. E.H. 카가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이다."라고 하였듯이 어떤 사실을 중심에 놓을 것인가가 중요하다.
전라남도교육청 홍보담당관실(과장 박성수)은 홍부업무 담당자와 전남교육신문 명예기자단 연찬회를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보성 다비치콘도에서 실시하였다. 연수는 전남교육신문 제5기 교직원 명예기자단, 각지원청 홍보업무 담당자, 도교육청 홍보담당관실 직원 182명을 대상으로 홍보업무 역량 강화 및 전문성 제고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김학주 주무관은 보도자료 작성에 관하여 첫째, 짧고 간결하게 쓴다. 둘째, 독자에게 중요한 뉴스가 뉴스가 된다. 셋째, 육하원칙을 지켜서 쓴다. 넷째, 첨부자료를 붙여 이해를 돕도록 한다. 다섯째, 역삼각형으로 중요한 것을 앞에 넣는 원칙을 강조하였다.
홍보란 정책 입안 단계에서부터 수요자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여론을 수렴함으로써 정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성과를 극대화 하는 일련의 노력이다. 정책의 결과만을 일방적으로 알리면 저항이 따를 수 있다. 보도는 진실인가? 사실(fact)과 진실(true)의 개념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기자는 진실을 말라지 않을 수 있다.
언론 홍보는 매체의 특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V를 통해 홍보하려면 당연히 뉴스의 가지도 있어야 하지만 그림이 되어야 한다. 그림이 되는가를 판단해 방송용인지 신문용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홍보는 돈이 들이 않는다. 내가 쓴 자료가 보도되게 하려면 첫째, 제목이 중요하므로 톡톡 튀게 한다. 둘째, 간결한 리드가 매력적이다. 셋째, 언론은 통계에 약하므로 통계자료를 활용한다. 넷째, '사진은 메시지다'라고 강조하면서 보도 사진 한 장만으로 의미가 전달되어야 한다. 단순한 행사 기념사진은 보도 사진으로서의 가치가 없다. 보도자료는 눈높이를 독자에게 맞춰야 한다. 나의 눈높이가 아닌 학부모, 다른 학교가 참고할 수 있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
홍보사안이 발생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기사가 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홍보 포인트를 생각한다.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취재에 대비한다. 인터뷰어를 미리 선정하고 보도를 확인하고 관련자들에게 결과를 알린다. 마지막으로 기자에게 의견을 전달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할 사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