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7 (일)

  • 구름조금동두천 9.5℃
  • 맑음강릉 18.8℃
  • 구름조금서울 11.0℃
  • 구름많음대전 11.7℃
  • 흐림대구 12.5℃
  • 흐림울산 15.4℃
  • 구름많음광주 12.9℃
  • 구름많음부산 14.7℃
  • 구름많음고창 7.8℃
  • 구름많음제주 13.1℃
  • 구름조금강화 8.7℃
  • 구름많음보은 5.9℃
  • 흐림금산 6.9℃
  • 구름많음강진군 8.3℃
  • 구름많음경주시 8.9℃
  • 구름많음거제 10.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갖자

봄비도 그치고 따스한 봄바람이 옷깃을 스친다. 꽃구경 가기 좋은 날씨이다. 학교 주변에도 파란 새싹이 돋아 생명의 약동감을 느낄 수 있는 계절이다.

하지만 중,고등학교에서는 학사일정에 의하여 중간고사가 다가오고 있다. 시험을 앞두고 아이들은 과거의 생각에 자신을 지배하고 있다. 무엇보다 학력이 낮은 학생들은 이 수렁에서 탈출이 어려운 것이다. 한마디로 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없다는 것이다. 학습자신감이 낮은 학생들은 공부할 의욕을 잃기 쉽다. 이들은 “공부에 시간을 들이지만 노력에 비해 성적이 나오지 않는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시험 보기 전부터 목표를 낮게 잡는다. 이 때문에 아무리 공부해도 성적은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면서 자연스럽게 공부와 담을 쌓게 된다.

이 지역 한 고교 3학년 김모 군(18)은 대입을 위해 지난해 내신 관리에 힘쓰겠다고 마음먹었지만 1학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서 오히려 수학과 영어 성적이 떨어졌다. 공부해도 나아지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시작하면서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1학년 때보다도 줄었다. 김 군은 “주요 과목 목표를 90점 이상으로 잡고 공부 시간을 늘렸는데 오히려 70점대가 나와 좌절감만 느꼈다”고 말했다.

이처럼 무기력증에 빠진 학생들에게는 학습자신감을 높여주는 처방이 필요하다. 이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평상시 수업에서 학생들의 자신감을 높여주는 교사의 긍정적인 힘이다. 한 시간의 학습 목표를 정하고 이에대한 질의 응답을 통하여 확인을 하는 것이다. 문제의 핵심을 잡지 못하는 학생들 모두에게 적용된다. 그리고 자신의 일과에 하루 동안 성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목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는 작은 기쁨을 매일 느끼는 식으로 학습방식을 바꿔나가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계획만 세우고 실천을 하지 않는 학생들은 처음부터 무리한 계획은 아니었는지 점검해야 한다. 전체 학습량은 줄이더라도 우선은 하루에 달성 가능한 목표로 계획을 세분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영어 가정법 이해하기’가 아니라 ‘영어 교과서 113쪽 읽고 예문 5개 외우기’를 목표로 두고 접근하라는 것. 낮은 학습자신감이 문제가 되는 학생은 그날그날의 작은 성취를 맛보면서 공부에 재미를 들여야 한다. 하루 공부량을 마무리했다는 뿌듯함이 쌓이면 학습의욕도 되살아나게 된다.

학습자신감이 낮은 학생은 스스로 조정 가능한 시간과 학교·학원 수업 등 고정시간을 파악하고 스스로 조절이 가능한 가용시간을 중심으로 자기주도학습 계획을 짜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자신감이 낮은 학생일수록 고정시간에 파묻혀 타성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무기력증이 심해질 개연성도 더 커지기 때문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