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맑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0.9℃
  • 맑음서울 16.7℃
  • 맑음대전 16.7℃
  • 흐림대구 13.3℃
  • 흐림울산 12.2℃
  • 흐림광주 18.3℃
  • 흐림부산 13.2℃
  • 흐림고창 14.5℃
  • 맑음제주 18.8℃
  • 맑음강화 11.4℃
  • 맑음보은 14.7℃
  • 흐림금산 16.4℃
  • 흐림강진군 14.5℃
  • 흐림경주시 12.6℃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수업은 재미있는 드라마가 될 수 있는가

오늘날 현장의 교사는 행복한가? 특히 중학교에 근무하는 선생님들의 상황이 어떠한가 궁금하기도 하다. 왜냐하면 모두 중학교가 힘들다고 이야기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상황은 학교에 땨라 매우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모든 학교가 그런 것이 아니라 교사에 따라, 그리고 학교의 문화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새 학기를 맞이한 지 이제 2개월이 지났기 때문이다.

인간은 어떤 정보를 수집할 때 감정이 개입된다. 수업도 정보수집의 일종이다. 단지 학생이 원하여 수집하는 것이 아닌 최종적으로 교사가 선택한 것이 다르다. 이 전달과정에서 교사가 아무리 좋은 것을 이야기 하고 싶어도 학생이 졸거나 장난을 치고 있다면 소용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의도적으로 목표세우기를 통하여 학생들의 의식을 일깨우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감정의 작동이 일어난다. 이미 조금이라도 연관된 것이 있다면 감정은 긍정적 반응을 보일 것이다. 감정은 무엇인가를 하고자 하는 동력이 생기도록 하는 동시에 주변 환경 및 자신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만약 어떤 사람이 “많을 것을 배웠다”라고 말할 때도 실제로 누적된 학습정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했다기보다는 배움의 과정에서 느낀 감정의 강도에 의지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실제로는 배운 게 없어도 감정 경험이 강렬하면 많이 배웠다고 착각할 수 있다.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텍사스기술대, 미네소타대 공동연구진은 감정이 배움에 대한 판단을 실제로 부풀리는지 탐구하기 위해 4차례 연구를 진행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미국인 58명에게 삶을 통해 무엇인가를 많이 혹은 적게 배운 경험에 대해 생생하게 적으라고 한 뒤 그 내용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감정을 강렬하게 표현하는 경우 삶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다고 기술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269명을 7개 집단으로 나눠 실험했다. 먼저 분노, 공포, 수치, 흥분, 자부심, 죄책감 및 중립적 감정 등의 특정한 감정을 경험하도록 했다. 이후 해양생물학에 관한 글을 읽도록 했다. 잠시 후 해양생물학에 대해 어느 정도로 많이 배웠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질문했다. 이와 함께 시험을 통해 참가자들이 해양생물학에 대해 실제로 학습한 정도를 측정했다. 실험 결과 중립적인 감정을 경험한 집단에 비해 특정 감정을 경험한 집단이 많은 것을 배웠다고 생각했다. 반면 실제로 학습한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세 번째 연구에서는 학습 이전에 감정을 유발한 두 번째 연구와 달리 학습 이후에 감정을 유발했다. 그러나 결과는 두 번째 연구와 같았다. 네 번째 연구에서는 네덜란드인을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진행했다. 결과는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와 같았다.

감정 경험이 수반되면 많이 배웠다는 착각을 하게 된다. 따라서 좋은 강의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교육생들로 하여금 강렬한 감정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역으로 감정 경험이 강렬한 강의였다면 강의 평가는 좋아도 실제로 그 교육을 통해 배운 것이 그리 많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좋은 강의 평가에 힘쓰는 것이 아닌 좋은 학습경험으로 연결되는 수업이 되기에 단지 드라마와 같이 재미가 없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드라마 같기만을 원하는 학생들의 생각에 변화를 주는 것도 선생님의 몫이 아닐까 생각한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