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진아. 네가 선택하여 취업한 곳에서 직장 생활은 잘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네 또래의 다른 친구들은 대학에 다니고 있는데 가끔 나만 지금 힘들게 일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들 때도 있겠지? 그러나 너무 많은 학생들이 대학에서 공부는 하고 있지만 장래 가야 할 방향을 잡지 못하여 고민에 빠져있는 현실이다. 이런 청년들이 너무 많아서 청년실업 대란이란 말까지 나오고 있는 현실이다. 어쩌면 그들은 너무 많이 배웠기에 오라고 하는 곳이 없을 수도 있다. 이같은 사실을 네가 알면 조금은 위로가 될 것이다.
지금은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어 이에 적응하기가 쉽지가 않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책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긍정적인 사람들은 항상 배우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누구나 전문성을 높이려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평생교육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여 주는 것이 곧 사이버대학이다. 대학은 그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새로운 지식을 만들고 가르치는 곳이다. 또한 그 지식을 새로운 방법으로 재구성 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최근 일부 인기있는 사이버대학에는 입학생 중에서 직장인 비중이 늘어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는 학벌 중심에서 능력 중심 사회로 전환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며, 자신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직장에서 일을 하면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충족시켜 주는 것이 온라인 기반의 사이버대학이다. 그 이유는 지식의 유통 주기가 짧아지고 현장 실용적인 학문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는 점이다.
우리는 지금 신속한 정보 통신시대에 살고 있다. 세계의 넘쳐나는 정보를 저장하고, 지구상의 어느 곳에서든 거의 모두가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정보의 힘을 잘 이용하면 너의 능력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고, 너의 주변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배움의 의미는 중요한 것이다. 기존에는 사이버대라고 하면 경제적 사정 등 학생 개인의 어려움 때문에 학업을 포기했다가 뒤늦게 지원하는 학교쯤으로 인식했다. 하지만 지금은 마음만 먹으면 자신의 능력을 키워 자신이 희망하는 것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최근에는 여성에 대한 배려가 눈에 띈다. 최근 여성 입학자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는 추세를 고려해 ‘주부장학’을 신설했다. 여성에게는 입학 후 1년간 수업료 20%를 감해주는 혜택을 제공하는 학교도 있다. 이에 따라 주부들이 많이 찾는 전공이 늘어나면서 아동학과의 여성 비율은 90% 선에 이르고, 상담심리학과는 70% 수준, 사회복지학과는 70%에 달한다. 아마 네가 영어를 충분히 하여 국제 금융분야에 취업하고 싶다면 그 길도 가능할 것이다.
이제 너에게는 안정된 직장이 주어졌고 경제적으로 독립을 할 수 있으니 넓은 세상을 보면서 네가 지금 하고 싶은 일을 찾아 너의 시간과 정성을 쏟으면 10년 후 너의 모습은 달라질 것이다. 그리고 다시 10년 후를 상상하면서 준비를 한다면 네 일생은 행복으로 가는 길을 찾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