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13.4℃
  • 맑음강릉 19.5℃
  • 맑음서울 14.3℃
  • 맑음대전 15.1℃
  • 맑음대구 19.2℃
  • 맑음울산 16.1℃
  • 구름조금광주 15.4℃
  • 맑음부산 15.4℃
  • 구름조금고창 10.9℃
  • 맑음제주 14.9℃
  • 맑음강화 11.7℃
  • 맑음보은 14.6℃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2.2℃
  • 맑음경주시 16.4℃
  • 구름조금거제 13.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내가 배운 것을 들려주며 성장하는 아이들을 보고 싶다

 우리는 무슨 일을 계획하면서 과연 잘 해 낼 것인가라는 두려움을 갖고 살아간다. 학창 시절 높이뛰기나 멀리뛰기를 시도할 때 ‘과연 할 수 있을까’ 라면서 의심한 경우 성공했던 기억이 거의 없다. 자신도 모르게 심리적 한계를 긋고, 그 한계가 몸을 움츠러들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포츠 선수들은 도전 과제를 앞에 두고 “나는 할 수 있다”고 끊임없이 자기 주문을 건다고 한다.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 관건인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운동선수들은 삶의 한 계단을 더 생각해 본 적이 있는 사람들이라 생각할 수 있다.

삶의 여정에서 나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는 기회를 가졌다. 정년은 하였지만 지금도 1학년 학생들과 1주일 한 번 만나는 기회를 갖고 이 학생들에게는 내가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다. 여러 인물 중 특히 기억에 남는 사람들이 있다. 특히 특수교육을 하면서 보통 사람들이 만나기 쉽지 않은 분들을 만났다. 몇해 전 돌아가신 강영우 박사와 정유선 교수다. 강영우 박사님은 내가 특수교육을 전공하면서 대구에서 처음 만난 분이다.

두 사람에겐 공통점이 많다. 우선 두 사람 모두 장애를 극복하고 놀라운 성취를 이뤄낸 입지전적 인물이시다. 지금은 돌아가셨지만 강 박사님은 시각장애인 최초로 박사학위를 받고 미 정부 고위직(백악관 차관보)까지 지낸 한국이 자랑할만한 일을 해냈다. 이러한 업적은 장애가 없다 해도 쉽지 않은 일이다. 그리고, 정유선 조지 메이슨대 교수도 뇌성마비 장애인 최초로 박사학위를 받고 교수로 임용됐다. 그는 대학의 최우수 지도상까지 받아 화제가 됐다.

보통 사람이 생각하기 어려운 장애라는 끈질긴 노력과 성실함도 이들이 공통적으로 보여주는 덕목이다. 고 강영우 박사는 늘 배우고 나누는 삶으로 주변의 귀감이 됐다. 돌아가시기 전 췌장암 시한부 선고를 받고도 그는 책을 쓰는 데 마지막 불꽃을 살랐다. 후세들을 위해 하나라도 더 자신의 경험을 남기고 싶다는 것이었다. ‘보조공학’을 가르치는 정 교수 역시 주 1회 2시간 30분짜리 수업을 위해 일주일을 온전히 바친다니 그 정성이 대단하다. 언어장애가 심한 그는 컴퓨터 음성장치의 도움을 받아 강의를 하는데, 혹 실수라도 있을까 봐 수업 전에 항상 리허설을 한다. 이 지루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지난 10여년간 한 번도 거르지 않았다고 한다.

두 사람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 세상을 관조하는 이들의 철학에 숙연해진다. 인생의 교훈을 묻는 질문에 대해 고 강 박사는 “안 좋은 일이 있으면 다음에 더 좋은 일이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살았다”고 답했다. 이분의 자랑은 “내가 시각장애인이라 아들이 세계적인 안과의사가 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정유선 교수는 “인생엔 직선도로만 있는 게 아니다. 목표를 잃지 않으면 그곳에 도달하는 길은 여러 갈래가 있다”고 힘주어 말한다.

이들은 어지간한 사람들이라면 쉽게 포기할 만한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었다. 강 박사님은 열네 살 때 갑작스러운 실명 후 홀어머니마저 잃고 소년 가장이 됐다. 어린 시절 모든 가족이 뿔뿔이 흩어지는 고난의 세월이 계속된 것이다. 하지만 그는 희망을 잃지 않고 뚜벅뚜벅 자기의 길을 걸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간 정 교수는 언어장애로 영어발음을 할 수 없어 심한 고통을 받았다. 도중에 눈물도 많이 흘렸을 것이다. 하지만 둘 다 뼈를 깎는 노력으로 어려움을 이겨냈다. 그 비결을 “나를 믿고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는 것”이라 말한다. 장애인에게 장애는 있으나 그 의지만큼은 보통 사람들을 넘어선다.

자신이 처한 상황을 극복하고 비장애인과 당당히 겨뤄 일가를 이룬 이들을 보면 과연 장애란 무엇인가 돌아보게 된다. 결국 장애란 스스로 심리적 한계를 긋고 자신과의 싸움을 쉽게 포기해 버리는 행위 그 자체가 아닐까. 내가 오늘도 아이들 앞에 서는 이유는 강박사님에게서 배운 늘 배우고 나누는 삶을 살기 위해서이다. 지금까지 내가 축적하여 온 경험과 내 몸에 지닌 지혜를 전하기 위해서이다. 이같은 가르침은 배움에서 시작한다. 문제는 이를 받아들이는 아이들이 어떻게 받아들이는가가 중요하다. 그들이 가슴을 열고 "오늘은 무엇을 들려주시겠는가?"라는 질문하는 자세가 아쉬워진다. 날마다 자신과 싸워가면서 한 단계 성장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고 싶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