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5.8℃
  • 흐림강릉 11.3℃
  • 흐림서울 17.2℃
  • 구름많음대전 17.7℃
  • 흐림대구 17.2℃
  • 울산 15.5℃
  • 흐림광주 18.6℃
  • 부산 16.3℃
  • 구름많음고창 17.9℃
  • 흐림제주 16.3℃
  • 맑음강화 17.1℃
  • 흐림보은 16.7℃
  • 구름조금금산 16.8℃
  • 흐림강진군 17.0℃
  • 흐림경주시 16.6℃
  • 흐림거제 17.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중부지방의 가뭄이 심상치 않다

 올해 기상이 좀 심상치 않다. 강원도·수도권이 심한 가뭄을 겪었는데 북한도 100년 만의 가뭄이라고 한다. 그런 가운데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5월 세계 평균기온이 관측이 시작된 1880년 이래 사상 최고치였다고 발표했다. 1~5월의 다섯 달 기온도 20세기 평균보다 0.85도나 높았다. 전문가들은 적도 부근 태평양 수온이 상승하는 엘니뇨 현상이 강력하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기상전문가는 NOAA 자료를 분석해 2012년 볼라벤과 같은 무시무시한 태풍이 들이닥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태풍은 한반도를 비켜 일본열도를 덮쳐 엄청난 피해를 가져왔다. 이바라키현에서는저수지 둑이 무너지고 주택이 파괴됐다. 그 배경에는 뜨거운 태평양 해수 온도가 강한 태풍을 만들어내는 열에너지를 공급한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가 하면 부경대 변희룡 교수(환경대기학과)는 올해는 1901년→1939년→1977년→2015년으로 이어지는 '38년 대 가뭄 주기'의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올해 수도권엔 아예 장마가 찾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고 예측하였는데 이같은 결과로 지금 중부지방의 가뭄은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왠지 1998년 상황이 떠오른다. 그해도 '20세기 최강'이라는 수퍼 엘니뇨가 찾아왔다.

그 무렵 필자는 중학생들에게 엘리뇨 현상을 열심히 가르친 기억이 떠오르기도 한다. 기온은 '20세기 최고'를 기록했다. 워낙 기온 그래프가 높이 올라가 그 뒤 10여년 동안은 1998년 기록을 좀체 뛰어넘지 못했다. 그래서 ‘지구 온난화가 끝났다’거나 '희미해졌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그런데 올해는 상반기까지 자료를 보면, 1998년 비슷한 강한 엘니뇨 현상을 보이면서 1998년보다도 기온이 높이 올라가는 추세다. 1998년 8월 양쯔강에서 대홍수가 나 2000명 이상이 죽었다. 중국 정부는 양쯔강 지류 제방을 폭파시켜 물줄기를 돌려서 하류 도시를 보호하는 방법을 썼다. 그해 봄엔 인도네시아 산불로 동남아시아 하늘이 연무에 덮였다. 국내에선 7월 31일 밤 지리산 일대를 덮친 국지성 호우가 야영객들을 덮쳐 100여명의 인명 피해가 나기도 했었다. 올해 또 무슨 흉측한 기상 이변이 있을지, 최근 가뭄이 그 전조는 아닌지 불안하다.

1993년 1월 '한강이 3년째 얼지 않는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온난화와 수질 오염을 이유로 들었다. 하필 기사가 나간 당일 날 아침 한강이 얼어버렸다. 날씨는 함부로 예측하는 법이 아니다. 눈에 보이는 현상 가운데 어떤 게 잡음이고 어떤 게 주 흐름인지 종잡기가 어렵다. 그렇다 해도 올해 기상 변화에선 1998년을 떠올리게 하는 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만이 아닌 인도네시아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농원에 건조 피해가 발생하여 팜유의 성장이 더디게 되는 등 이러한 피해는 상품 시장의 선물가격은 유제품은 36%, 설탕 31%, 팜유 13.1%, 밀은 6.1%(월스트리트저널)가 상승추세이다. 그런가 하면 건조한 공기는 산불 증가의 원인이 되어 산림화재로 인한 연기 피해도 심각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는 다소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무사히 넘어갔으면 좋겠지만 중부지방의 가뭄으로 급수 제한을 하는 것을 보면서 자연의 위력 앞에 다시 한번 인간의 노력이 얼마나 한계가 있으며 그 힘 또한 미미함을 느끼게 된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