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부 사람들은 참, 이상한 구석이 있다. 이 세상을 살면서 칭찬보다는 남을 비판하고 헐뜯는 사람들이 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비판을 이용하여 남의 습관을 고치려 한다거나 더 나아가서 자기를 내세우기 위하여 남을 헐뜯는 행동은 이 세상을 너무 삭막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반대로 남을 칭찬하고 그 칭찬을 기본으로 하여 상대를 격려해준다면 정말 가치로운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칭찬은 칭찬을 낳고 인정을 샘솟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비판이나 헐뜯는 행동은 꾸중과 가깝고 그 꾸중은 인간을 절망으로 안내한다. 반대로 칭찬은 관용이나 용서와 가깝고 그것은 바로 인간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것이다. 꾸중은 인색과 가깝지만 관용은 인정과 가까운 것이다. 인색과 관용은 교육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어느 날 초등학교의 F선생님이 과학 시간에 학생들과 실험을 하고 있었다. 그때 한 학생이 실험기구 하나를 잘못 다루어 깨트렸다. 그러자 F선생님은 불같이 화를 내면서 “공부도 못하는 주제에 실험기구나 깨고…”라면서 면박을 주었다. 그 다음부터 그 학생은 과학이나 실험을 싫어하게 되었다. 만약 그런 인색한 말 대신 “인간은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단다. 괜찮아, 자! 함께 공부해보자”라고 관용을 베풀었다면 그 학생은 과학을 좋아하게 되었을 것이다.
역시 초등학교에서 어느 담인 선생님이 공작 만들기 방학 숙제를 냈는데 한 남자 어린이가 아주 그럴 듯 하게 흙으로 승용차를 만들어 왔다. 그 어린이는 학과 공부도 시원치 않는 어린이였다. 그런데 그 담임 선생님이 학과공부와 관련하여 “공부도 못한 놈이 이런 것이나 만들고…”라는 말로 비웃었다면 그는 공작을 싫어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담임 선생님은 “야! 정말 넌 남다른 재주가 있었구나!”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 어린이는 나중에 훌륭한 조각가가 되었다.
꾸중은 부정적인 사고방식과 연결되기 쉽다. 매사에 “틀렸어” “안될걸” “귀찮으니 하지 맙시다”로 일관한다면 절망 쪽으로 몰려고 하는 것이다. 누가 축구를 잘해도 “그 자식, 축구 하나밖에 더 잘해. 딴 것 형편없더라고”하면서 남을 비하하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은 “그 사람 축구도 잘하지만 다른 운동도 잘해. 인간성도 좋고”라는 말로 칭찬을 해준다. 긍정적인 사고방식은 희망을 이룰 수 있게 해주지만 부정적인 사고방식을 절망으로 인도한다.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 중에 성공한 사람이 이순신 장군이다. 원균이 전사한 후 그는 다시 수군통제사가 되어 왜적과 싸우게 되었다. 그가 해전에 나서려고 할 때 많은 사람들이 장군에게 절망을 느끼게 하는 말을 했다. “12척`‘밖에’ 없는 전선(戰船)을 가진 수군이 무슨 수군이야. 그런 수군은 없애버려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이순신 장군은 “우리에게는 아직도 전선이 12척`‘이나’ 있으며 신(臣)이 죽지 않는 한 왜적은 우리를 얕잡아 볼 수 없습니다. 상감마마! 신에게 싸울 수 있는 기회를 주십시오”라는 요지의 상소를 올리고 전쟁에 임해서 적선을 격파시킬 만반의 준비를 갖추었다.
이때 왜군들은 400여 척에 2만여 명의 군인을 싣고 울돌목을 통과하여 예성강으로 진출하기 위해 이미 직산에 머물러 있던 육군과 합세해 서울을 침범하려는 계획이었다. 그러므로 일본군에 있어서 울돌목 장악은 중요한 과제였다. 이순신 장군은 쇠사슬 두 줄을 안 목과 밖 목에 건너 매어서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도록 울돌목에 장치해 두고 휘하 장수들을 불러서 전쟁에 임하는 자세를 말했다.[PAGE BREAK] “병법에 이르기를 ‘죽으려 하면 살고 살려고 하면 죽는다’ 하였고 또 ‘한사람이 길을 막으면 천 사람을 두렵게 할 수 있다’ 하였으니 이것은 지금의 우리를 이름이라. 공들은 살 생각을 말고 조금도 명령을 어기지 말라. 나라를 위해 죽기로서 싸워라. 만일 조금이라도 영을 어기는 자는 군법을 시행하리라”라고 말하면서 임전결의(臨戰決意)를 다졌다. 1597년 9월 16일 새벽. 드디어 어란포(於蘭浦)에 머물고 있던 일본수군들이 밀물을 타고 명량으로 공격해 왔다. 이순신 장군은 12척의 배로 적(敵)을 공격하였다. 결국 이순신 장군의 대승리였다. 그 승리의 바탕을 이룬 것은 긍정적 사고방식에서 나오는 바로 ‘이나’ 정신이었다.
‘오체불만족’으로 베스트셀러를 이룬 이웃 일본의 오토다케는 어떻게 세계적으로 훌륭한 인물이 되었을까? 그것은 그 어머니의 긍정적인 사고방식에서 나온 결과였다. 병원에서 오토다케가 탄생하는 순간 담당 산부인과 의사는 깜짝 놀랐다. 팔다리가 없는 아이, 오직 몸통만 있는 아이 앞에서 의사는 놀라고 말았다. 그리고 아이를 어머니에게 보이는 것을 자꾸만 미루고 있었다. 아이를 보여주면 놀란 어머니가 기절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서 그는 망설이고 있었다.
하지만 아이를 보여달라는 어머니의 성화에 의사는 아이를 보여주었다. 어머니가 아이를 보는 순간을 걱정했던 의사는 마음이 조마조마 했다. 하지만 아이를 보여주자 오토다케의 어머니는 아이를 두 손으로 번쩍 들어 하늘로 올리면서 “오! 하나님! 고맙습니다. 이렇게 특별한 아이를 보내주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아이를 본 순간을 말했다. 오토다케 어머니의 그런 긍정적인 사고방식에서 나오는 가정교육이 오늘의 오토다케를 만들어 낸 것이다. 정말 이런 긍정적인 사고방식이야말로 남을 칭찬하고 격려하려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관용의 원리, 희망의 원리가 아니겠는가!
혹시 일부 사람들은 “제기랄, 그 사람의 행동에서 칭찬할 것이 하나라도 있어야 칭찬을 하지”라고 말할지 모른다. 그래도 칭찬할 것이 있는 것이 사람이다. 내가 O고등학교에 근무를 할 때였다. 학생 깡패로 유명한 Y군이 있었다. 누구나 말했다. 하나에서 열까지 모두 말썽만 피운다고. 그런데 나는 그를 칭찬할 구실을 찾고 있었다. 내 수업시간인데 책상에서 과자를 꺼내 먹고 있었다. 다른 선생님 같았으면 야단을 쳤겠지만 나는 모른 척하고 칭찬의 기회를 엿보면서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때였다. 그가 과자를 입 속에 넣고 오물거리다가 다시 책상 속의 과자를 꺼내기 위해 턱을 고이고 있었던 손을 치우고 고개를 똑바로 하는 순간이었다. “Y군! 정말 지금 똑바로 앉아있는 그 모습이 보기에 좋구만” 이 한마디에 그는 수업시간 내내 똑바로 앉아있게 되고 그것이 인연이 되어 Y군과 나는 특별하게 사제간의 정을 나누었고 결론적으로 그는 지금 성공한 사회인으로 잘 지내고 있는 것이다. 교육적으로는 없는 칭찬을 만들어서라도 해주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오늘날 교육계는 ‘학교붕괴’ ‘교실붕괴’ ‘공교육 부실’ 등 모두가 부정적인 생각으로 꾸중과 비판에 열을 올리는 실정이다. 그 비판자들 일부는 진실로 교육을 걱정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것보다는 부정적 사고에서 교육을 헐뜯고 선생님을 비판하는 사람도 꽤 있다는 생각이다. 그래서 요즘 학생, 학부모, 선생님들의 행동을 싸잡아서 비판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진실로 말하지만 참으로 훌륭한 학생, 진실로 좋으신 학부모, 희생과 봉사를 하면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들이 수없이 많다는 것이다. 극히 일부를 가지고 마치 그것이 전부인양 몰아세우는 부정적 사고방식에서 나오는 풍토가 꾸중과 비판을 가져오는 것이다.
물론 건전한 비판과 꾸중이 때로는 자성적(自省的)인 발판을 주어서 새로운 도약의 길을 모색하게도 하지만 그래도 칭찬보다는 희망적이지 못하다는 데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자, 우리 모두 이제부터 ‘칭찬하며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가자. 사촌이 땅을 사면 기뻐하자. 칭찬을 부각(浮刻)시키고 그 부각을 통하여 칭찬 받는 행동이 스스로 나오게 하자. ‘칭찬하며 살수 있는 세상’을 생각해 보라. 얼마나 많은 즐거움과 웃음꽃이 피어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