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6 (토)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호주) 자율에 맡겨진 성적관리제도

과목이나 반에 따라 하루 먼저 시험을 치르기도 하고 같은 날이라 해도 시간을 달리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맘만 먹으면 시험문제를 미리 알 수 있다. 또한 재시험 제도를 악용할 수도 있다. 호주는 학생들의 성적관리조차 큰 테두리 내의 ‘자율’에 맡기되 그 결과에 대해서는 스스로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신아연 / 호주칼럼니스트(ayounshin@hotmail.com)


2학기말 고사를 치루고 있는 9학년생(한국의 중 3에 해당) 아이가 다음 날 시험공부를 시작하려다 말고 “아이, 하기도 싫은데 문제가 뭔지 그냥 물어볼까 보다”하는 게 아닌가. 무슨 소린지 의아해서 “무슨 문제를 누구한테 물어본다는 거니? 설마 선생님께 미리 문제를 가르쳐 달라는 건 아닐테고”하며 되물었다.

“아니야, 엄마. 그냥 장난으로 해본 소리예요. 그런 짓 절대 안 해요”라며 변명을 하듯 손사래까지 쳐가며 강하게 부정을 했다. 그럼에도 내가 말귀를 못 알아듣자 비로소 자초지종 설명을 했다. 과목에 따라서는 같은 학년이라 해도 반드시 한날한시에 시험을 보는 것이 아니라, 반에 따라 하루 먼저 치르기도 하고 같은 날이라 해도 반마다 시간을 달리해서 보는 일도 있기 때문에 마음만 한번 나쁘게 먹으면 다른 반 친구를 통해 시험문제를 미리 ‘빼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가하면 ‘재시험 제도’를 악용할 수도 있다는 것. 호주 학교는 대부분 시험 당일에 몸이 아프거나 피치 못할 사정으로 결석을 한 학생들을 모아 다음날 재시험을 치르게 한다. 따라서 시험 치는 날은 적당히 꾀병을 부려 빠진 후 친구를 통해 문제를 알아내서 다음 날 재시험 때 ‘정답만’ 쓰고 나올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아이의 설명에 기가 막혀서, 실제로 그렇게 부정행위를 하는 애들이 있냐고 묻자 ‘모르긴 몰라도 아마 더러 있을 걸’하며 남의 이야기 하듯 하는 게 아닌가. 학생들의 성적 관리를 어떻게 그리도 엉성하게 할 수 있을까 싶어 은근히 불안해지기 시작했다.

그렇게 받은 성적으로 학년 말이면 우등상도 받고 상급학년에 올라갈 때는 성적 우수자로 혜택도 누릴 게 아니냐고 하자 “그러면 뭐해요. 자기 실력 아니면 어차피 11, 12학년(고 2, 3학년) 때 고생하는 걸. 자기를 속여 가며 상 받으면 뭐 하냐고요. 실력이 안 되면 대학에 가고 싶어도 못 가는 거잖아요”하며 아이는 태연하게 대답했다. 결국 학생들의 성적관리조차도 큰 테두리 내의 ‘자율’에 맡기되 그 결과에 대해서는 스스로 책임을 지도록 하는, 위험부담이 다분히 내재된 ‘현장 교육’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었다.

성적을 올리기 위해 부당한 방법으로 자기 양심을 속이는 일의 유혹을 이겨내는 것도 소중한 자기 훈련이요, 개중에는 한두 번 실제로 경험해 봄으로써 부정행위에 대한 가책과 바른 양심을 되찾게 된다면 그것은 더욱 의미 있는 공부라는 점에서 결정은 학생들의 몫이 되도록 한 것이다. 한 사람의 생애 가운데 가장 감수성이 예민하고 심신의 변화가 급격한 성장기의 10여년을 보듬는 학교라는 커다란 집은 성인이 된 후의 ‘생의 실전’을 뛰기 전에 미리 다양한 경험을 해 볼 수 있는 ‘실험장’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 당연한 지도 모른다.

따라서 아이 학교의 허술하기 짝이 없어 보이는 성적관리 시스템도 점수 1, 2점에 양심의 소리를 저버릴 것인지, 아니면 떳떳하게 자기 실력으로 시험을 치르고 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일 것인지를 학생들로부터 갈등케 하고, 행동을 결정케 하는 양심의 저울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실력이로든 눈치로든 중학교 3학년이나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성적은 대학입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의 평가 자료로는 특별한 의미가 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에 해당하는 11, 12학년이 되면 성적관리가 엄격해 진다. 이때부터는 학과 시험이 더 이상 양심 수련과 병행될 수 없다. 대학 입학을 위한 선택과목도 전공과 적성에 따라 6개 과목으로 압축된다. 본격적인 대학입시 준비를 위해 자신의 강점을 가장 부각시킬 수 있는 6개 과목으로 전열을 정비한 후 치열한 전쟁에 돌입하는 것이다.

부정한 방법으로 중학교 과정의 점수를 얻어온 학생이라면 심도 있는 학문 영역을 구축해가는 여섯 개의 선택과목의 정답을 무심코 알려주는 급우는 이제 어디에도 없다는 것을 뼈저리게 깨닫는 순간을 맞이해야 한다. 호주의 초․중․고등학교의 학습 분위기는 획일적이거나 주입적인 방법을 최대한 제한하고 수행평가도 연구 보고서나, 자료 모음, 프로젝트 및 과제물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학습 진도도 학생들 개개인의 능력에 맞는 ‘맞춤 교육’에 바탕을 둔다.

그러다보니 사지선다형으로 질문과 정답을 나열하는 방식의 평가는 극히 제한적이다. 10 개가 넘는 학과목 가운데 전체 학생들이 일률적인 시험 방식으로 치르는 과목은 몇 개 안되며, 시험을 치른다하더라도 그 성적은 한 과목에 대해 여러 항목으로 나누어진 분류방식 가운데 한두 개 항목만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일례로 영어 과목을 평가할 때는 듣기와 말하기, 읽기와 쓰기 등 네 항목으로 분류되는데, 이 가운데 문제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는 항목은 ‘쓰기’ 정도이다. 그렇기 때문에 몇 과목, 몇 항목에서 부정행위를 한다고 해도 결국에는 자기 유익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대부분의 학생들이 공감하고 있으리라.

제 말을 듣고 이런저런 상념을 부풀리고 있던 엄마의 마음에는 아랑곳없이 아이는 어느 새 제 방으로 들어가 공부를 시작했는지 조용한 가운데 문틈으로 스탠드의 백열등 빛만 새하얗게 새어나오고 있다. 아이 방에 들여놓아 줄 과일을 깎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당면한 가장 큰 유혹인 성적과 평가에 대한 것을 학교 측이 학생들을 믿는 마음으로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점에 대한 의미를 재삼 되새겨 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