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6 (토)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호주) 숙제 없는 학교의 대안은?


신아연 | 호주 칼럼니스트


“아무개야, 어서 일어나 봐라. 해바라기가 폈다. 드디어 해바라기가 폈다니까.”

이른 아침, 화단에 해바라기 꽃이 핀 걸 보자마자 아직 자고 있는 아들을 흔들어 깨웠다. 해바라기가 폈다는 소리에 아니나 다를까 아들은 “정말?”하면서 튕기듯 벌떡 일어났다. 제 방 창문 앞으로 다가가 팔랑개비 날개처럼 여린 노랑 꽃잎이 막 벌어지기 시작하는 해바라기를 탄성 어린 눈으로 지켜보는 아들의 얼굴에 뿌듯함이 번졌다.

“너한테는 자식 같은 존재다. 씨앗 뿌리기부터 꽃을 피워낼 때까지 네 정성이 보통이었니?”

좀 과장을 섞어 호들갑스레 아들을 추켜 준 뒤 등교를 시키고 나서 해바라기를 키우기 위해 녀석이 공을 들인 지난 두 달 반의 시간을 흐뭇한 마음으로 돌이켜 보았다.

중학교 2학년을 마친 후 두 달간의 긴 여름방학을 보내던 아들애가 어느 날 갑자기 꽃씨를 사러가자고 했다. 식물을 제대로 키울만한 인내심이나 화초 가꾸기에 대한 기초 지식부터 의심스러웠지만 ‘밑져야 꽃씨 값’이란 생각에 그러자며 화원으로 데리고 나섰다.

기왕이면 키 큰 꽃이 자라는 속도가 빠르고 보기도 든든할 테니 그만큼 성취감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아 해바라기를 고르라고 권했다. 돌아오는 길에 아들이 지역 도서관에 들러 화초 기르기에 대한 책도 한 권 빌리자고 하는 것을 보고 내심 ‘제법이다’ 싶었는데, 집에 돌아와서는 다시 인터넷 검색을 통해 ‘해바라기’에 대해 몇 시간을 연구하는 ‘용의주도함’까지 보였다.

저 정도 진지한 자세라면 올여름이 가기 전에 해바라기 한 포기는 구경할 수 있을 것도 같아 본전 아까운 생각도 잠시 떨친 채 아들애가 이론을 마스터하는 동안 옆에서 꽃씨 뿌릴 채비를 도왔다. 잠시 후 컴퓨터 화면에서 눈을 뗀 아들은 밀짚모자까지 챙겨 쓰고 드디어 화단 앞에 섰다. 손에는 꽃삽 말고도 수업시간에 쓰는 플라스틱 자까지 든 채.

“자는 왜?”
“50센티미터 간격으로 씨를 뿌리고 구덩이는 2. 5인치로 파야 한다고 쓰여 있어요.”
“그렇게 자로 재가면서까지 할 필요는 없어. 눈대중으로 대충하면 돼.”
“아니라니까요. 정확히 해야 해요.”

책 속에 쓰인 것을 곧이곧대로 실행하는 자세가 귀여워서 잠자코 있는 사이, 땅속에 자를 대고 금을 그어가며 딱 알맞은 깊이와 간격으로 씨앗을 뿌리고 난 그날 이후, 아들애의 일상은 달라졌다. 늦잠을 자다가도 “아무개야, 해바라기 물 안주냐?”하면 벌떡 일어났다. 싹이 언제 돋아나오나 날마다 꽃밭을 살피고, 방과 후 어쩌다 친구 집에 놀러 갈 때는 해바라기 물을 엄마가 대신 좀 주십사 부탁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마침내 싹이 돋아나고 키가 자라기 시작한 여린 줄기가 바람에 휘청대며 못 견뎌 하자 지지대를 박고 실로 조심조심 줄기를 거기에 묶어 주었다. 그러다 난데없이 옆의 큰 나뭇가지가 떨어져 한창 싱그럽게 돋아나는 줄기를 꺾어 버렸을 땐 실망과 상실감에 안타까워 어쩔 줄 몰라 하기도 했다.

한번 꺾이면 그냥 시들어 버린다는 걸 잘 알면서도 1미터 남짓 자란 줄기의 중간 부분에 하얀 붕대를 처매놓고 마치 금간 뼈가 붙듯 꺾어진 줄기에 물이 다시 오르기를 하릴없이 염원하는 날도 있었다. 그럴 때면 하찮은 식물임에도 내 마음까지 덩달아 안쓰럽고 울적해지곤 했다. ‘아들의 해바라기’는 그렇게 피어난 것이다. 이제 저 꽃잎이 활짝 피고 지면 씨앗이 여물어 이듬해 다시 새싹을 틔울 것이다.

씨만 뿌려놓고 며칠 만에 팽개쳐 버릴 줄 알았던 예상과는 달리 두 달 반 동안 하루도 거르지 않고 정성스레 돌봐 온 녀석의 끈기가 피워 올린 꽃이니 어찌 대견하지 않으랴. 아들은 까만 해바라기 씨에서 하얀 싹이 돋아오를 때부터 탄성을 지르기 시작하여, 쑥쑥 키가 자라고 해사한 얼굴의 꽃이 피어나는 순간순간을 관찰하며 학교에서 배운 것과는 다른 경이로운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식물도감을 펼쳐놓고 세상의 모든 꽃과 나무에 대해 줄줄 읽고 외운다 한들 제 손으로 키워 본 소중한 한 송이 꽃의 경험과 어찌 견줄 수 있으랴.

최근 호주의 한 공립 초·중등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방과 후 과제물이나 숙제를 내주는 대신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정원 일이나 재봉, 요리 등을 해보도록 권장키로 했다고 한다.

‘숙제 금지 조치’를 내린 이 학교의 교장선생님은 구시대적 교육관습으로 인해 ‘방과 후 학부모들의 위안거리를 주기 위해 학생들에게 숙제를 내주고 있다’고 전하며, ‘집에서 숙제를 많이 한다고 해서 학업성적이 향상되는 것은 아니며, 그 시간을 가족들과 보내면서 생활의 지혜와 실질적인 정보와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보다 교육적’이라고 강조한다.

아울러 숙제를 내더라도 책상 앞에서 머리만 쓰게 하는 그런 내용이 아닌, 다양한 방식의 사고와 복합적 행동을 요하는 입체적이고 창조적인 능력을 자극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아동심리학자들과 자녀교육 전문가들도 ‘무숙제 교육’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저녁 시간이면 으레 ‘너 숙제는 다 했니?’, ‘숙제부터 하고 노는 거야?’하는 말로 자녀의 기분을 상하게 하고 결국에는 부모와 자식 간의 대화 단절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숙제를 내주지 않으면 방과 후에 할 일이 없어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앞에 더 붙어있게 되고 자칫 청소년 범죄나 마약 등에 접할 기회도 더 많아질 것이라는 일부 사회단체의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방과 후의 과제 유무와 나태와 방종, 청소년 비행과는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 교육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이 같은 보도가 한창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숙제 없는 방과 후 생활’에 대한 모범답안을 우리 아들이 이미 제시한 것은 아닐까 돌이켜 보게 된다.

한 송이 해바라기 꽃을 피우기 위해 노심초사, 지극정성을 쏟아온 아들의 머릿속에는 비록 일부분이라 할지라도 식물의 성장원리에 대한 산지식이 확실하게 자리를 잡게 되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하루하루 자라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생명에 대한 신비와 경이로움으로 가슴 한 켠을 가득 채웠을 것이다. 한 송이 꽃을 피우며 아이큐와 이큐를 동시에 개발시켰으니 이게 바로 숙제 없는 방과 후에 대한 소기의 목적달성이 아니고 무엇이랴.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