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6 (토)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수석교사 성공의 열쇠는 공정한 선발과 강화된 연수

교원들의 숙원인 수석교사제가 법제화된 기쁨은 잠시, 이제는 4년간의 시범운영을 통해 드러난 대체 시간강사, 업무분장 등의 문제를 되짚어보고 더 강화된 연수를 통해 수석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



2011년 6월 29일 18시 7분, 제301회 국회(임시회) 제7차 본회의에서 ‘수석교사제에 관한 법안’이 통과됐다. 지난 30년간 교사들의 숙원이 현실화되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그 동안 오직 법제화를 위해 뛰었던 필자와 수석교사협의회 집행부 교사들은 벅찬 감격에 흘러내리는 눈물을 주체할 수 없었다.
드디어 시범 운영이 종식되고 떳떳이, 온전히 수석교사로서의 역할과 사명을 수행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었다. 그간의 노고와 피로가 주마등처럼 스쳐가며 법제화된 기쁨을 전국의 수석교사들과 함께 하고 싶었다. 오늘을 위해 애써 준 많은 이들에게 고마운 인사를 나누며, 얼싸안고 춤추고 싶었다.
그러나 제도 입법의 기쁨은 이제 시작일 뿐이요, 단순히 여기에 안주하고만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지금까지 수석교사 활동의 허와 실을 찬찬이 되짚어보고, 시범 운영을 통해 얻어진 값진 결과를 법제화에 반영하는 모든 작업을 냉정히 그리고 구체적으로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1년 단위 수석교사 선발의 한계
2008년 초 · 중등 수석교사 176명의 선발로 시범운영이 시작돼 2009년 295명, 2010년 333명이 참여했고, 2011년 현재 초 · 중등 수석교사 765명이 전국 각지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그런데 2008년 1기에서 시작해 2011년 4기까지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수석교사는 고작 60여 명에 불과하다. 그만큼 지난 4년간이 수석교사들에게는 참으로 어렵고 힘든 시간이었다.
여러 측면에서 활동의 어려움과 제약도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1년 단위의 시범운영기간이 수석교사가 제 역할을 하는 데에 큰 걸림돌로 작용했다. 수석교사는 처음에는 모든 교사들에게 자타 공인 그야말로 ‘수석’이었다.
그러나 온전한 위치도 보장받지 못한 채로 수업에 대한 연구나 컨설팅을 하다 보니 교장, 교감, 부장교사, 평교사들과 마찰 없이 한결같은 호평을 얻어내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러다보니 활동을 수행하고 1년 뒤에 다시 선발 과정을 겪을 때는 새로 응시하는 교사에 비해 오히려 불리한 면이 있었다. 활동하다 보면 고마워하는 교사와 상대적으로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교사가 있게 마련인데 이들로부터 모두 좋은 평판을 얻어내야 하는 평가에서 기존의 일부 수석교사는 실패와 좌절을 맛볼 수밖에 없는 일들이 많았다.
현재까지 수석교사 선발은 ‘수업전문성+교직관+도덕관+소명의식’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를 좀 더 구체화하면 현장 다면 평가, 수업시연, 수업컨설팅과 구술 면접을 거쳐 선발된다.
그러므로 수석교사는 교과내용, 교과수업, 교육학 등 전문분야의 지식 기반 전문성을 갖추고, 교과에서 교수-학습의 전문성, 학생지도, 교사 수업 코칭, 컨설팅, 리더십에 대한 능력 기반의 전문성을 보여야 한다. 또 교직적성, 교직관, 소명의식, 태도 등 신념 기반의 전문성과 자신의 전문성을 동료 교사와 공유할 수 있는 인성을 갖추어야 하는 등 요구되는 자격 기준이 높다.
그러므로 이러한 까다로운 3단계 역량평가를 해마다 다시 치러내야 하는 것은 수석교사로서 제 역할을 다하고, 다시 선발되는 데에 큰 어려움으로 작용했다. 때로는 교장이나 교사 한 사람의 감정적 처사에 따라 낙방됐다는 말도 나왔다. 교사의 능력을 어떻게 계량화해 선발할 것인지가 수석교사 제도 성공의 관건이며 열쇠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견디고 지속적으로 선발돼 온 수석교사들의 활동과 노고를 앞으로의 선발과정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선행돼야 할 것이다.

학교 관리직 71% “수석교사 성과 있다”
법제화를 이룬 이 시점에서 향후 성공적인 수석교사제 운영의 방향 설정을 위해 지난 4년간의 시범 운영을 숫자로 정리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듯하다.
지금까지 4년에 걸쳐 시범 운영에 참여한 수석교사 수는 모두 1569명이다. 먼저 경력별 분포를 보면, 교직경력 26년~30년이 약 30%로 가장 많으며, 30년~35년이 27%, 20~25년 교직경력자는 25%, 15년~20년의 경력자도 10% 정도 분포돼 있다.
수석교사 시범운영 성과 면에서 학교 관리직인 경우 약 71%가 성과가 있다고 했고, 교사 그룹도 63%가 성과가 있다고 답을 했다. 이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수석교사 시범운영 대상자들의 희생과 봉사를 통해 일구어낸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수업시수 경감에 따른 시간강사 채용의 문제
시범운영기간 동안 수석교사에 대해서는 주당 수업시수를 50% 경감해 주고, 경감된 50% 수업에 대해서는 시간강사를 채용하도록 했다. 그러나 수업의 질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시간 강사를 채용하기보다는 수석교사 대체 인원을 정식으로 교원 정원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단위학교에서는 수석교사의 경감된 수업을 대체할 시간강사를 채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거나 채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시간강사의 시간당 임금이 1만6000~1만7000원으로 너무 적어 실력을 갖춘 지원자가 나타나지 않아서다. 특히 도서벽지 지역의 학교 같은 경우에는 문제가 더 심각했다. 결국 시간강사 채용으로 수업경감 50%를 대체하기로 한 방안은 허울 좋은 생색내기에 지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특히 고등학교의 경우 수업의 질을 담보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아예 시간강사를 채용하지 않고 있다. 수석교사 본연의 업무 수행을 위해 혜택으로 주어진 수업경감에 대해 일시적인 시간강사로 대체하기보다는 부족 교사를 정식 교원으로 채용하게 한다면 수업의 질 하락이라는 비판이나 모순적 상황을 다소나마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학교구성원 간의 명확한 업무분장
법제화 이후 내년부터 단위학교에서 시행되는 수석교사제는 관리직인 교장과 교감의 관심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수석교사제가 빠른 시일 내에 바르게 정착하기 위해서는 학교공동체 구성원들이 수석교사에 대한 직무와 역할을 바르게 인지하고 교사와 관리자, 수석교사가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연구부장과 수석교사, 교감과 수석교사의 업무 분리가 합리적이고 명확하게 이뤄져야 한다.
연구부장은 학교 교육과정의 계획을 수립, 실천하고, 수석교사는 각 단계에서 코칭과 컨설팅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감은 관리자로서 행정적인 업무 중심으로 지도력을 발휘하고, 수석교사는 교수직으로서 교사의 수업 지원 부분에서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역할의 분리가 잘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지원청의 공문부터 역할에 맞게 분배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실행하는 과정에서도 업무의 분리가 바르게 이루어져 수석교사의 업무가 명확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

연수 수준 높여 전문성 향상에 집중
그동안 관리행정 직렬로 승진해 교장 선생님이 돼야 인정과 우대를 받는 것이 교단을 지켜 온 우리들의 현실이었다. 그러나 교사가 되고자 꿈을 꾼 이유는 늘 학생들과 함께 하며, 가르치고 배우며 생활하는 교사의 모습을 동경했기 때문이 아니었던가? 오랜 시간 교단에서 최고의 교사로 그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길! 그래서 교수 직렬의 수석교사제가 많은 교사들로부터 환영을 받고 있는 것이다.
수석교사제를 입법 예고한 국회 「초 · 중등교육법」 개정 발의 이유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는 시대가 전문화된 교사를 요구하고 있으며 학교현장에서 교수학습에 관한 전문적인 능력과 역량강화가 절실하게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현대 사회는 빠른 속도로 자동화, 정보화, 세분화, 다각화되고 있으며, 미래사회 인재로 전문화된 창의적 · 창조적인 인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 시점에 발맞추어 학교현장에서도 학생들의 잠재적 재능을 계발하고, 학습에 대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교실혁신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이를 위해 교단에서 수업하는 교사들도 일방적인 지도가 아닌 학습자와 공감을 토대로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흥미롭고 재미있는 교실수업을 통해 창의성을 이끌어낼 수업혁신이 필요한 것이다. 그 어느 때보다 교사의 역량이 강화된 교실수업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수석교사의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적임자가 선발되도록 투명성과 공정성을 담보해야 한다. 선발된 후에도 현재 60시간으로 실시하고 있는 직무연수를 교감이나 교장 자격 연수 수준으로 상향 조정, 최소 180∼360시간 이상 실시해 수석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 전문성과 인성적 권위가 전제돼야
수석교사는 교육적 리더십과 효과적인 수업 설계 및 경영 방안, 교사 전문성 개발 전략을 연구해 주변 동료교사들과 함께 창의력 있고 미래 지향적인 수업 모형을 만들어 가는 데에 주력해야 한다. 수석교사는 학교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쌓아온 수업전문성을 동료교사와 공유하고, 학생과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교실수업의 구심점 역할을 해내야 한다. 승진만이 길이던 관리체제에서 벗어나, 교실이 살아 움직이게 할 수 있는 수업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우대받을 수 있는 풍토가 조성돼야 한다.
교수 직렬의 최고 교육전문가 역할을 수석교사가 담당하기 위해서는 자기계발이 필수이며,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 배려와 나눔의 소통을 충분히 실천하는 인성적 권위도 갖춰야 한다.
이제 우리의 꿈은 글로벌 시대의 새로운 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부끄럽지 않은 대한민국의 수석교사가 되는 것이다. 더욱 참신하고 좋은 수업 만들기에 최선을 다해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인정받고, 동료 및 후배 교사들에게는 훌륭한 모범이 되며, 나아가 교육의 본질을 회복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그리하여 이 땅의 모든 교사가 교사로서의 자긍심을 갖고 훌륭한 교사로서 우뚝 서게 되기를 기대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