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에게는 할아버지라고 불리고 주로 있는 공간은 두 평 남짓 수위실이지만 사실상 자신이 평생에 걸쳐 축적한 경험과 시간을 전부 기부하는 사람, 바로 김국남 배움터지킴이다. 경찰 고위 간부라는 꽤나 높은 자리에서 정년퇴임을 하고 퇴직금도 있으니 얼마간 여행도 다니고 자신과 가족을 위해 시간을 쓴다 해도 누구 하나 뭐라 할 사람이 없을 터인데 그는 자신의 경험과 열정, 심지어는 시간까지 싹싹 긁어모아 수도여자고등학교에 쏟아 붓는다. 우리나라 공교육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애정, 그리고 경험 기부에 대한 오랜 욕심 때문이다.
그는 경찰관으로 재직하면서 무수히 많은 방황하는 청소년들을 만났다. 그러다보니 그들이 왜 비뚤어지는지, 가정의 해체가 얼마나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 우리나라 공교육의 문제가 무엇인지 고민할 수밖에 없었던 것. 하루가 멀다고 바뀌는 교육정책, 날로 무너져가는 교권, 인생의 목표와 가치관을 상실한 채 부모 손에 떠밀려 학교로 빨려 들어가는 학생들을 보면서 가슴을 치며 안타까워했던 날도 셀 수 없이 많았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학생들을 이해하고 품어주지 못한 것 같아 스스로 죄책감도 느꼈다.
그래서 언젠가 제복을 벗는 날, 학교 현장으로 가 교사의 입장을 헤아리고, 학생들을 가슴으로 품으며 토닥여주고 격려해주리라 다짐했었다. 그의 이러한 생각은 2009년 마침내 실현됐고, 지금 수도여고 배움터지킴이라는 자리를 지키며 수십 년간 되뇌던 고민과 숙제를 하나씩 풀어가고 있다.
“걱정 붙들어 매! 나 경찰 출신이라고!”
본래 그는 경찰관이다. 대학에서 행정학을 공부했고 졸업 후에는 군장교로 복무했다. 제대하고 31살에 경찰관 시험을 통과해 경위부터 시작해서 경감, 경정까지 차곡차곡 능력과 인품을 인정받아 승진하다가 1999년에는 경찰총경이라는 직함까지 달았다. 남다른 행보였고, 자부할 만한 족적이다.
하지만 배움터지킴이를 하고 있는 지금, 그는 뒤를 돌아보지 않는다. “내가 과거에 아무리 높은 자리에 앉았을지라도 그건 과거일 뿐이지. 과거에 매이면 앞을 못 봐.” 간결하고 명쾌한 대답에서 그의 진면목을 발견한다.
그는 경찰 시절부터 몸에 밴 시간 새벽 4시 30분이면 일어나 출근 준비를 한다. 지난 30년간 변함없이 지켜온 기상시간이다. 경찰서로 출근할 때야 순찰, 범인 수색, 교통정리, 또 때로는 시끌시끌한 경찰서 데스크에 앉아 부하 직원들의 보고를 받고, 인사를 받고, 결재 사인을 하는 것이 주요 업무였지만 학교로 출근하는 2009년부터는 이전과는 360도 달라진 삶을 산다. 일찍부터 서두른 부지런한 개미 학생들이 마음 편히 자습할 수 있도록 교내외 주변 순회를 하고, 7시부터는 학생지도부 선생님들과 함께 정문 앞에 서서 흰 머리가 듬성듬성한 머리를 90도로 숙이며 학생들을 맞는다. 학생들이 학교에 올 때 가장 먼저 만나는 얼굴이 된 셈이다. 9시 30분부터는 정문 옆 작은 수위실을 지키며 학교 안팎을 살피고 출입하는 학생들과 외부인을 통제·관리한다.
배움터지킴이라고 해도 업무시간은 교사, 학생과 마찬가지다. 지켜야 하는 규칙도 많다. 주어진 근무시간은 8시간이지만 새벽 6시 30분부터 분주하게 뛰어다니면서 학생들 등교지도, 교통지도, 가끔씩은 담배피우는 학생들과 무단 외출하는 학생들에 대한 생활지도, 교내외 취약 장소 순회를 하다 보면 10시간, 11시간 근무하는 날이 대다수다.
교육의 시작은 학생들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부터 그는 ‘안 되면 될 때까지’ 하는 마음으로 매사에 완벽을 기해야 직성이 풀린다. 그러다보니 잊히지 않는 에피소드도 제법 있다.
하루는 학생들 등교지도를 마치고 수위실에 앉아 있는데 80대로 보이는 노부부가 무거운 발걸음으로 찾아와 수위실 창문을 두드렸다. 문을 열고 얘기를 들어보니 손녀를 만나려고 왔다고 하면서 이름도 말해주지 않는 게 아닌가. 안되겠다 싶어 수위실 안으로 모시고 상담을 했더니 노부부에게 맞벌이하는 아들, 며느리가 있는데 고부갈등이 너무 심해져 아들 내외가 집 전화번호, 핸드폰번호도 싹 바꾸고, 주소도 말하지 않고 이사를 가버렸다는 것. 그래도 노부부는 당신네들 손으로 키웠던 손녀가 눈에 아른거려 쌈짓돈 20만 원을 들고 와서 손녀에게 전해 달라고 했던 것이다.
“아, 그렇다고 내가 덥석 돈을 받을 순 없잖아. 그래서 지도부 선생님한테 사정을 얘기하고 수소문해서 지도부 학생 명단에서 학생 이름을 찾았어. 복도에서 학생한테 돈을 주면서 밖에 할아버지, 할머니가 와 계신데 만날 의향이 있느냐 물었더니 아, 글쎄 안 만난다는 거야. 뭐 어떡해, 싫다는데. 노부부가 울면서 갔어.”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었다. 이후로도 노부부는 여러 차례 와서 손녀를 만나려고 했고 그때마다 조부모와 손녀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하며 서로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결국 손녀는 마음을 돌이켜 할머니를 만나 극적인 화해를 했고, 노부부는 감격해서 지금까지도 고맙다는 인사 전화를 한다고 한다.
소통을 향한 한걸음 학교폭력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교육계와 경찰계가 손을 잡고 학교폭력 근절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요즘, 그는 학교로 흡수돼 학생들을 보호하고 배움터 주변 환경을 지켜낸다. 은퇴 후 배움터지킴이로서 또 다른 인생 목표가 생겼기 때문이다. 이제 그는 각이 선 제복을 벗고 인심 좋은 ‘선생님’으로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나누는 제2의 삶을 살고 있다.
“변화무쌍한 교육환경과 과중한 업무 속에서 교사들이 얼마나 힘들게 가르치고 있는지 학교에 오기 전까지는 몰랐지. 지치지 않는 게 이상할 정도야. 그런데 그렇게 되면 가장 큰 손해를 보는 건 학생들이야. 교사가 학생들을 품어주지 못하니까 학생들은 할 얘기가 있어도 참는다고. 그러면 소통이 안 되잖아. 가장 중요한 건 이해와 소통인데 말이야.”
그는 오랫동안 경찰관으로 있으면서 깨달은 것이라며 젊은 교사들을 위한 조언을 조심스레 전한다. “관계의 핵심은 결국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인데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힘은 소통에서 온다고, 그걸 꼭 기억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학생들이 ‘선생님~’ 부르면서 달려오면 기분이 상쾌해진다”고 얘기하는 그는 “건강이 허락하는 한, 즐거운 마음으로 배움터지킴이로 살면서 함께 나누는 진정한 삶의 스승이 되고 싶다”고 말한다. 학교에서 만나는 학생, 선생님 모두가 그에게는 가장 귀한 인적 재산이라고 속삭이는 그에게서 주변 사람들을 전염시키는 기분 좋은 에너지가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