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위주의 국·영·수 중심 교육의 한계를 직시하고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창조교육을 시작하자는 ‘학교폭력예방 및 교육개혁을 위한 세미나’가 지난 4월 17일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공교육살리기학부모연합, 대한체육회, 한국미술협회 주최로 열린 세미나 내용을 소개한다.
우리 교육을 변화시킬 시기가 이미 지났음을 자각하고 하루빨리 창조적 발상에 따른 교육개혁을 서두르자는 취지로 열린 ‘학교폭력예방 및 교육개혁을 위한 세미나’의 출발점은 예술체육 교육 강화였다. 예술체육 교육 강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인성과 창의력을 길러줘야 한다는 것이다. 세미나는 최용석 공교육살리기교육자연합 간사의 사회로, 김종효 서울 중원중 체육교사, 박석순 경기 석우중 음악교사, 전재현 서울 신서고 미술교사의 주제발표와 3명의 토론으로 진행됐다. 각 발표자의 주요 내용을 정리한다.
체육활동은 전인교육의 최고 수단 ‘전인교육의 가장 효과적인 수단은 체육활동’이란 주제로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김정효 서울 중원중 체육교사는 우리 사회의 체육에 대한 편견과 몰이해를 먼저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정부가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으로 중학교의 체육수업 시수 확대 방안을 내놓은 이후 중학생들의 신체활동 시간은 증가했다. 그러나 이것이 체육 교과목의 격상이나 스포츠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아직까지도 고등학교의 비정상적인 체육수업 형태가 지적되고 있는데 중학교에만 한정해서 체육수업과 스포츠 활동 시수를 확대하는 것은 균형이 맞지 않은 절름발이라는 것이다. 김 교사는 또 신체는 길러지는 것이고 그를 위해서는 목적과 이념이 필요한데 그간 우리나라는 근대화와 산업사회에 공헌하는 노동력 육성이나 국가를 수호하는 강인한 체력을 위해 체육교육이 행해졌다고 지적했다. 이런 인식은 체육의 역할을 육체의 건강과 단련을 담당하는 주변부 교육으로만 생각하도록 하는 그릇된 사고를 키웠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는 체육교과 활성화를 위해선 진학을 위한 기초자료로 체육 교과 혹은 학교 내 스포츠 활동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건강하지 못한 신체를 부끄러움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도 필요하다. 또 이를 바탕으로 학교 내 스포츠 활동을 장려하고 이를 통해 얻어지는 효과를 계량화해 진학에 반영하는 제도적 장치 또한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리더십, 동료에 대한 배려, 규칙 준수 등 실생활에서 요구되는 인성적 요소들은 교육적으로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내용들인데 스포츠 활동은 어느 교과에서도 얻을 수 없는 바람직한 인성적 요소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마지막으로 피곤한 얼굴로 늦은 귀가를 서두르는 학생들에게 운동 후의 샤워시간을 돌려주는 것, 그리고 살아가는 일이 참 상쾌하고 즐겁다는 느낌을 갖는 기회를 만들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