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까지 의무교육, 문맹률 10% 이하인도네시아 학생들은 아침 7시 이전에 등교한다. 해가 일찍 뜨고, 새벽 4시에 골목골목까지 크게 방송되는 이슬람 기도 시간으로 인해 하루를 빨리 시작하는 편이다. 일반적으로 오후 3시쯤이면 일과를 마치고 하교하는 학생들을 볼 수 있다. 학생들의 두발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편이지만 염색이나 파머는 하지 않는다. 특이한 점은 요일별로 학생들의 복장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평일에는 교복을 입지만 목요일에는 전통 의상인 바틱(batik), 금요일은 이슬람 복장으로 등교한다. 발목 위로 올라오는 흰 양말, 검정 운동화 착용을 원칙으로 한다. 한국국제학교인 자카르타한국국제학교(Jakarta International Korean School, 이하 JIKS)에서도 글로벌화를 위해 매주 금요일을 ‘인도네시아의 날’로 지정하고 있으며, 교직원과 학생들은 인도네시아 전통 바틱 복장으로 등교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교육과정은 초등학교(SD) 6년, 중학교(SMP) 3년, 고등학교(SMA) 3년, 대학교 4년, 총 16년으로 우리나라와 같다. 의무교육 기간은 중학교까지로 1970년대 40%에 이르던 문맹률이 현재는 10% 미만으로 떨어졌다. 영토가 넓고 섬이 많은 인도네시아는 지역마다 독특한 언어를 가지고 있다. 한글 사용으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찌아찌아족’도 인도네시아의 한 부족이다. 통일된 국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통된 언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초등학교 과정부터 공식적인 인도네시아어 교육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초등학교 3학년까지는 각 지역의 언어도 사용하지만, 이후에는 공식적인 인도네시아어로 통일해 가르친다. 고등학교부터는 의무교육이 아니며, 중학교 졸업자의 50% 정도만 고등학교에 진학한다. 따라서 시내 일반 매장에 가면 중학교만 졸업한 17~18세의 청소년들이 점원으로 근무하는 것을 손쉽게 볼 수 있다. 근무조건이나 급여도 고등학교 졸업과 큰 차이가 없다. 인도네시아의 경제적 상황에 비해 고등교육기관의 학비가 상당히 비싸서 고등학교 졸업자의 절반 정도만 대학에 진학한다. 이는 초등학교 입학 학생 수 대비 20% 남짓한 비율이다. 한국에 비하면 종합대학의 수는 적은 편이고 대학교 입학은 그다지 까다롭지 않다. 외국인들도 인도네시아어 또는 영어로의 의사소통에 별 지장이 없는 학생은 간단한 입학시험만 통과하면 된다. 그러나 대학교 졸업은 상당히 까다롭고 어렵다. 국가고시를 통과하고, 졸업논문을 제출해야 한다.
교사 복지혜택 열악, 직업선호도 떨어져인도네시아에서도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4년제 대학교 이상을 졸업하고 교사 자격증을 소지해야 한다. 하지만 급여가 기업체에 비하면 절반 정도의 수준에 불과하고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교사직은 크게 선호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유능한 인재들이 교직을 기피해 교육 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또 교사들도 방과 후에 아르바이트나 부업을 하는 경우가 많아 교사의 질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시기에 한국의 고도성장을 이끌었던 배경에는 교육에 대한 국가의 과감한 지원과 투자, 교사에 대해 신뢰와 존경의 사회 분위기,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국민성 등이 큰 역할을 했다. 장차 인도네시아가 정치·경제적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 강국이 되어야 하기에 교육에 대한 투자와 교사에 대한 대우 및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시급해 보인다. 이에 대한 모범적인 해답과 실천을 보여주는 곳이 바로 자카르타한국국제학교(JIKS)다.
해외 한국학교의 요람, 38년 역사 JIKS
인도네시아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은 자녀를 국제학교에 입학시킬 수 있다. 대표적인 국제학교로는 한국 교민들에 의해 1976년 개교한 JIKS가 있으며, 그 외에도 JIS, BIS 등 여러 국제학교가 있다. JIKS는 올해로 개교 38주년을 맞아 전 세계에서도 오래된 역사와 규모가 큰 한국학교로 유명하다. 글로벌 소양을 갖춘 창의 인재 육성을 비전으로 삼아 한국 정체성 확립과 영어교육 내실화, 글로컬(Global+Local) 인재양성 등 3가지 축을 바탕으로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정체성 교육을 위해 국어 수업 시수를 충분히 편성하고, 한국사도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학교시설을 교민들의 문화예술 공연과 활동을 위해 항상 개방해 교민사회의 중심축이 되고 있으며, 장서를 보유한 도서관은 평생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글로벌 소양을 갖추기 위해 효율적인 영어몰입(Immersion) 교육을 함으로써 다른 국제학교들과 대등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게 될 글로컬 인재를 양성하는 것도 JIKS의 중요한 목표다. 정규 수업에 인도네시아어와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편성했으며, 현지 명문인 ‘SMA68’과 MOU를 체결해 인도네시아 문화를 직접 체험할 기회를 늘리고 있다. 방학기간 중에는 인도네시아국립대학교(UI)에서 실시하는 문화체험 강좌를 들을 기회도 제공한다. 그 외에도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EBS와 협약을 맺어 3억 원가량의 콘텐츠를 무상으로 기증받아 EBS 학습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밤늦도록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을 위해 불이 꺼지지 않는 자율학습실인 ‘반딧불이관’도 운영하는 등 실력이 뛰어난 학생들을 배출하고 있다.
한국-인도네시아 교육적 교류 확대
자카르타에 위치한 인도네시아국립대학교에는 한국학과가 개설돼 있다. 이 학과는 한류 열풍을 이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있으며 JIKS와 MOU를 체결해 다양한 문화 인적 교류를 하고 있다. 최근 급부상하는 인도네시아의 경제 상황과 맞물려 교민들의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어를 배우려는 교민과 학생들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국립대학교에서는 BIPA(외국인을 위한 어학연수 프로그램) 과정을 개설해 인도네시아어를 가르치고 있다. 3학기 1년 과정으로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을 배우게 된다. 필자가 재직하고 있는 JIKS에서도 한국으로의 대학입시를 마친 12학년 학생들 사이에서 BIPA 과정을 이수하거나 인도네시아어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열풍이 불고 있다. 한국-인도네시아의 적극적인 교류와 협력은 앞으로 더욱 긴밀해질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따라 JIKS를 중심으로 한 인도네시아 현지 교민 세계의 역할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