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우리는 그들을 ‘교포교사’ 라고 불렀다. 소수점까지 따지는 치열한 경쟁을 외면한 교사들. 하지만 교직사회가 안정되고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지면서 ‘웰빙교사’라는 신조어가 등장했다. 승진보다 교사로서 개인적인 삶에 비중을 둔 교사들. 언어의 유희라는 지적도 있지만 교장?교감으로의 승진에 집착하던 시대가 변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사립인 서울 A고등학교 교사 김모씨(52)는 지난 겨울방학 내내 아프리카와 유럽여행을 다녀왔다. 지난해 여름방학을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보냈던 그는 올 겨울 남미 여행을 준비 중이다. 방학 시작하는 날 떠나서 개학 전날 귀국하는 ‘화려한’ 방학 생활은 수년전 교감 승진을 포기하면서 부터 시작됐다. 교감 승진을 접은 날 그는 자신이 그토록 꿈꿨던 세계 일주와 교사로서 본분인 학생들과 교감(交感)에 전념하겠다고 다짐했다. 교무실 책상엔 전공인 영어교과 자료와 세계 여행 책자들로 빼곡했다. 주말이면 조그만 텃밭에 나가 야채를 기르는 것도 쏠쏠한 즐거움을 줬다. 승진 티켓을 버리자 교직생활에 새로운 활력이 찾아왔다. 학생 하나 하나에 관심과 애정을 쏟았고 교직의 새로운 기쁨을 맛봤다. 그는 지금 학교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선생님 중 한사람이다. 교사들의 승진경쟁이 본격화 된 지난 80년대 후반, 교장 교감 승진을 포기했다는 의미의 교포(敎抛)교사란 말이 나왔다. 이후 교포교사는 교직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단어가 됐다. 얼마 지나지 않아 보다 순화된 표현으로 교양(敎讓)교사가 등장했다. 교장?교감 승진을 양보했다는 말의 줄임이다.
“승진하면 뭐해...” ‘교포교사 → 웰빙교사’ 진화하는 교단 교감이나 교장이 되기 위해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점수를 계산해야 한다. 공무원 승진평정체계를 보면 교사가 승진하기 위해서는 경력점수(70점)와 근무성적(100점), 연수성적(교육성적-27점, 연구실적-3점) 그리고 연구학교나 교육기관 파견근무와 같은 가산점(13점)을 합쳐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지 못하면 승진은 꿈도 꾸지 못한다. 62세 정년까지 30여년을 준비해야 하는 승진의 길. 교장으로 화려하게 꽃피우지 못하고 교직생활을 마무리해야하는 교사들. 그들은 한 때 교포교사라는 낙인을 꼬리표처럼 달고 다녀야 했다. 하지만 2014년 지금, 교포교사와 교양교사는 웰빙교사라는 말로 진화하면서 교직사회 새로운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교포나 교양교사가 현실 도피적 성향을 띄고 있다면 웰빙교사는 자기만족에 방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이들은 교장?교감으로의 승진 보다 교사로서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충실하기 위해 평교사 길을 ‘선택’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강요나 능력의 한계 때문에 승진을 못한 것이 아니라 소신에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다. 행복하고 안락한 삶을 지향하는 문화 현상을 뜻하는 웰빙이 정년이 보장된 교직과 맞아떨어지면서 40대 이후 교사들을 중심으로 ‘나만의 삶’을 추구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취재 도중 만난 한 초등학교 교사는 승진의 꿈을 접은 대신 학생들에게 충실하고 취미활동 등 자기계발에 열심이며 일찌감치 정년 이후의 삶을 준비하는 것을 웰빙교사의 전형으로 꼽았다. 그는 “승진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일 뿐”이라며 “교사가 됐을 때의 초심을 잃지 않고 내가 원하는 교직생활에 충실 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한때 교장을 꿈 꾼 적도 있었지만 점수 경쟁에 내몰리면서 학생들 교육에 소홀해지자 마음을 고쳐먹었다고 털어놨다. 우리반 아이들에게 정말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를 생각하는 시간이 많아져 보람을 느낀다는 그는 앞으로도 평교사로서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생활 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학교 행정업무 기피... 교단 얌체족 비판도 경기도 B중학교 교사 임모(38)씨는 교장 교감선생님들의 권위가 예전같지 않을 뿐더러 부장 교사들이 일에 치여 허덕이는 모습을 보면서 일찌감치 방향을 바꿨다. 미술 교사인 그는 전공을 살려 웹툰 작가로의 데뷔를 준비중이다. 제자들과 동호회를 만들고 학원도 다니면서 조금씩 꿈을 실현해 가는 지금이 더 없이 행복하다고 말했다. 반면 이같은 경향을 곱지 않게 보는 시선도 있다. 서울지역 한 고등학교 교감은 ‘자기만 아는 얌체족’들 이라며 웰빙교사들을 향해 불만을 나타냈다. 부장 자리라도 부탁할라 치면 줄행랑 놓기 일쑤라면서 학교 행정업무는 일체 하지 않으려는 통에 골머리가 아프다며 손사레를 쳤다. 이런 류의 교사들이 학교마다 3분의1 정도는 되는 것 같다는 그는 교직사회에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지면서 이같은 현상이 더 심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